1. 손실이 났을 때는 절대적으로 7~8% 하락한 수준에서 손절매하고, 이익이 나면25~30% 상승했을 때 매도해보라. 이렇게 세 차례 정도만 거래했다고 하면 포트폴리오의 누적 수익률은 100%가 넘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어떤 종목이 25~30% 상승했다고 무조건 팔아서는 안된다. 시장 주도주이면서 기관 투자가의 매수가 뒷받침되고, 시세 전환 시점에 정확하게 매입한 뒤 1주, 혹은 2~3주만에 20%이상 올랐다면 이런 주식은 최고의 주식이 될 수 있으므로 잠재적인 엄청난 주가상승을 한번 기다려봐야 한다. P1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로써 나는 이익과 손실에 대한 계획을 수정한 셈이 됐다 : 20%의 이익을 내는 주식은 팔되 상승세가 아주 강력한 주식은 예외로 하고, 매수가격대비 최대 8% 하락한 주식은 손절매한다.

이 같은 이익과 손실에 대한 계획은 여러 면에서 효과적이다. 당신의 판단이 한 번은 맞고, 두 번은 틀렸다고 해도 그리 심각한 손해는 보지 않을수 있다. 또 당신의 매수 결정이 정확하게 들어맞았고, 소폭 상승한 주식을 추가 매입하고자 한다면 당신의 포트폴리오에서 손해가 났거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종목을 팔아야 한다. 결국 수익률이 안좋은 주식에 묶여 있던 자금이 최고의 주식쪽으로 계속 흘러 들어가는 셈이다. 시기가 괜찮으면 1년에도 두 세 차례씩 20%의 이익을 보고 주식을 매도할수 있고, 주가가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하는 동안에도 주식을 너무 오래 보유하는 바람에 조정 국면을 버텨야 하는 우를 피할 수 있다.

3~6개월 만에 20%의 이익을 올리는 것은 20%의 연간 수익률을 거두는 것에 비해 훨씬 효율적이다. 한 해에 두 번만 20%의 수익률을 올리면 연간 44%의 수익률을 올리는 것과 마찬가지다: 나도 한번 경험해보았지만자신의 투자 금액 만큼 신용을 받아 투자했다면 거의 100%에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다. P1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런 사실을 알고 나서 나는 새로운 원칙을 세웠다.

각 종목을 반드시 정확한 시세 전환 시점에 매수하되 최초 매수 시점으로부터 5%이상 오르면추가 매수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20% 상승했을 때는 매도하기로 했다. P1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
윌리엄 오닐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1960년에 처음 세운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1. 현재 주가가 20달러 이상이면서 적어도 몇몇 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종목들을 매수 대상 후보로 압축한다.

2. 주당 순이익은 최근 5년간 계속 증가했어야 하고, 현재의 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적어도20%가 넘어야 한다.

3. 주가는 충분한 조정과 양호한 주가 패턴을 완성하고 이제 막 신고가를 기록했거나, 신고가를 치려는 종목이어야 한다. 또 거래량은 지금까지의 하루 평균 거래량보다 최소한50%이상 증가해야 한다. P1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윌리엄 오닐의 성장주 투자기술
윌리엄 J. 오닐 지음, 이은주 옮김 / 리딩리더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포트폴리오상의 주식 매수 및 관리 방법

매수 시점을 좀 더 정확히 파악하려면 주식 차트를 이용해야 한다. 의미있는 바닥선을 넘어 가격대가 너무 넓게 확장되어 있는(바닥선 패턴에 관해서는 9, 10, 11장 참조)트를 이용해야 한다.

매수가에서 8% 이상 주가가 하락하여 해당 종목을 전량 매도한다면 위험에 대비한 보험에 든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미적거리다 매도 시점을 놓쳐버리면 나중에 정말 큰 손실을 보게 된다. 이 8% 매도 법칙은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거나 큰 수익을 올리고 인는 종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 법칙의 융통성이 발휘되는 부분이라 하겠다.

물론 매수 대상 종목은 앞서 설명했던 모든 기본적 분석 수치를 충족시켜야 한다. 업계 1위여야 하고 주당순이익EPS은 이전 3년 동안 매년 증가해야 하며 몇 개 분기 동안 이익과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해야 한다. 매출액이익률이 증가해야 하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7% 이상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대적 주가 강도 등급은 80 이상이어야 한다. 시장 주도 업종에 속한 종목이고 고실적 기관투자가의 지원(대량 매수)을 받는 종목, 즉 스폰서십이 있는 종목이어야 한다. P1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