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액은 일반적으로 당기순이익(Net Income, NI)에서 영업활동으로인한 현금흐름(Cash Flows from Operating activities, CFO)을 뺀 값으로계산한다. 즉 순이익에서 비현금인 부분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지표다. 구글에서 회사 영문명‘ + net income macrotrends‘, 그리고회사영문명‘ + cash flows from operating activities macrotrends’로 검색하면 된다.
발생액은 해당 기업이 재무적으로 건강한지를 나타낸 지표로, 마이너스 값일 때가 좋다. 손익계산서상의 수익에 비해 현금흐름표상의 현금 유입이 많을 때 마이너스가 되므로, 많이 들어온 현금을 미리 무리하게 수익으로 인식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일시적으로는 ‘다음 분기에 더 적은 현금의 유입‘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음의값은 좋은 지표다. 양의 값은 현금 유입에 비해 무리하게 수익을 인식했다는 의미이므로, 미래에 언젠가는 수익이 줄어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발생액이 작을수록 기업은 미래에 더 많은 비중을두고 있다.
참고로, 발생액 지표는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를 밝혀냈을 때아주 좋은 지표로 사용되었다. 손익계산서상에서 순이익은 엄청나게 플러스로 생겨나는데, 현금흐름표상의 현금흐름은 상대적으로작아 발생액이 양의 상태였고, 결국 회계 조작으로 매출이 현금흐름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을 잡아냈다.
보통 발생액 자체로 쓰이면 비교 분석이 힘들어서 대개 총자산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것이 정규화에 유리하다. 좋은 기업은 -0.2‘까지 내려가는데, 쉽게 말하면 들어오는 현금의 20%는 미래의 수익으로 남겨놓았다는 의미다. 반대로 0.2’라면 나중에 들어올 현금의20%를 미리 수익으로 당겨 썼다는 의미이므로, 순이익에 미래의 쇼크를 담고 있을 수 있다. 사실 발생액은 복잡해서, 보통은 부호 정도만 확인해도 크게 문제는 없다. - P1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고로, 잉여현금흐름은 잭스닷컴에서 좀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구글에서 amazon free cash flow zacks‘라고 검색하면, [그림 34]와 같은 그래프를 볼 수 있다. 파괴적 혁신 기업에게 잉여현금흐름은 보통 손익계산서상 EPS의 선행지표다. 파괴적 혁신 기업은 보통미래를 위해 현재의 손익을 포기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잉여현금흐름이 더 중요해진다. - P1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스크와 불확실성의 또 다른 차이는 사전을 참조하면 된다.

리스크는 손상 또는 손해를 볼 가능성‘ 이고, 불확실성은 ‘불확실한 상황으로, 불확실은 ‘알 수 없음 또는 확정 지을 수 없음‘을 뜻한다. 리스크는 언제나 손실이라는 개념을 포함한다. 반면에 불확실성에는손실 가능성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투자자들은 왜 리스크와 불확실성을 구분해야만 할까? 가장 큰 이유는 투자가 기본적으로 확률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매일같이 투자기회를 확률로 전환시킨다. 사실은 그것이 핵심기술이다. 우리는 다양한 상황에서 가능성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 잠재적인함정이 어디에 숨어 있는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 P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간의 미래 - 코로나가 가속화시킨 공간 변화
유현준 지음 / 을유문화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래가 코끼리보다 큰 이유코끼리는 체중이 몇 톤이지만 고래는 수십 톤에 달한다. 대체적으로 수중 포유류 동물은 육지 포유류 동물보다 덩치가 훨씬 크다. 과학자들은 그 이유가 차가운 바닷물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진대사가 많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몸집이 클수록 효율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가로 세로 높이의 길이가 2배가 되면 면적은 4배가 되지만 체적은 8배가 된다. 덩치가 커질수록 차가운 바닷물과 닿는 표면적의 늘어남에 비해 체적이 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때 바닷물과 닿지 않는 안쪽의 세포는 체온을 유지하는 데 유리해진다. 그래서 가장 큰 수중 포유류는 가장 큰 육지 포유류보다체중이 25배 정도 무겁다.

여기에 구조적인 이유가 추가된다. 길이가 2배 늘어나면 체적은8배 늘어나서 체중은 8배가 된다. 늘어나는 무게는 오롯이 뼈가 지탱해야 한다. 이때 뼈의 강도를 위해서 뼈의 단면적이 8배 늘어날 수는없다. 단면적은 면적이기 때문에 4배만 늘어난다. 그러니 단위 면적당 받아 내야 하는 무게가 2배가 늘어나야 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단순 산술적으로 길이가 2배 늘어날 때마다 뼈의 밀도도 2배여야 늘어나는 체중을 버틸 수가 있다. 그래서 동물은 몸집이 커질수록 뼈가 단단해져야 한다. 몸집이 작은 닭 뼈는 씹어 먹을 수 있지만 몸집이 큰소뼈는 씹어 먹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런데 뼈의 밀도가 늘어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육지 동물의 몸집은 무한대로 커지기 힘들다. 반면 바닷속에서 살면 늘어나는 체중을 물의 부력으로 감당할 수 있다. 그래서 고래는 코끼리보다 몸집이 수십 배 큰 것이다. - P3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마트한 생각들 -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52가지 심리 법칙
롤프 도벨리 지음, 두행숙 옮김, 비르기트 랑 그림 / 걷는나무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행동이 인류와 생태계에 미치는영향을 자발적으로 진지하게 고민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한사람 한 사람을 변화시키면 공유지의 비극 따위는 일어나지 않을수 있다고 믿는 정책은 세상을 모르는 순진한 발상이다. 모든 사람이 윤리적인 이성을 갖고 있다고 가정해서는 안 된다. 사회비평가 업턴 싱클레어는 이렇게 말했다. "누군가에게 뭔가를 이해시키기란 어려운 일이다. 만약 그 사람이 벌어들이는 소득이 그 뭔가와 깊은 연관이 있다면 그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된다."

모든 경우의 수를 살펴보아도 공유지의 비극을 해결할 수 있는방법은 이미 말한 두 가지뿐이다. 사유화하거나, 아니면 관리하는것. 그리고 사유화할 수 없는 바다와 오존층, 우주 같은 것들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내야 할 것이다. - P194

1972년 시카고대학의 한 연구팀은 전형적인 전기 자극 실험을진행했다. 연구가들은 실험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첫 번째 그룹에는 전기 자극을 받을 확률이 100퍼센트라고 말해줬다.

그리고 두 번째 그룹에게는 전기 자극을 받을 위험이 50퍼센트라고 말했다. 이어 연구가들은 실험이 시작되기 직전에 피험자들에게 일어나는 신체적 흥분 상태(심장박동, 신경과민, 손에서 땀이 나는정도 등등)를 측정했다. 결과는 당혹스러웠다. 양쪽 그룹이 똑같은정도로 흥분하고 있었던 것이다. 연구가들은 그 후 실험에서 두번째 그룹에게 전기 자극을 받을 확률을 20퍼센트, 10퍼센트, 5퍼센트로 점차 줄여 나갔지만 결과는 여전히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그다음 실험에서 연구가들은 전기 충격의 강도를 예고 없이 높였다. 그러자 양쪽 그룹의 차이는 없었지만 신체 흥분 정도는 눈에띄게 상승했다. 이 실험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사람들이 어떤 사건의 예상된 정도(도박 상금의 크기, 또는 전압의 강도 따위)에는 분명하게 반응하지만, 그 사건이 일어날 확률에는 크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우리에게는 확률에 대한 직관적인이해가 결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람들은 종종 가능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을 무시한다. 이것을 확률의 무시(Neglect of probability) 라고 부른다. 이런 경향은 결과적으로 의사결정의 오류를 낳게 된다. - P207

우리는 앞의 장에서 사람들이 서로 다른 정도의 위험성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방사능처럼 위험성이크면 클수록, 또 그 주제가 감정적일수록 위험성의 감소는 우리를별로 진정시키지 못한다.

전기 자극 실험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사람들은 유독성 화학 물질에 의한 오염을 그 위험성의 확률이 99퍼센트이든 1퍼센트이든 똑같이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비합리적인 반응이지만 보통은 그렇다.

이런 경우에는 오직 제로 리스크만이 중요한 모양이다. 제로 리스크는 마치 빛이 모기를 유혹하듯이 우리를 끌어당긴다. 그래서 우리는 아주 사소한 나머지의 위험성마저 완전히 제거하려고 종종 엄청나게 많은 돈을 투자할 마음까지 먹는다. 그리고 이러한 의사결정의 오류를 제로 리스크편향(Zero-risk bias) 이라고 부른다. -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