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소유의 종말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희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접속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쓴 제러미 리프킨의 '소유의 종말'은 우리가 지금 살아가고 있는 세상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와 어떻게 변해갈 것인지에 대해 조목조목 잘 설명해서 보여주고 있다. 전통적인 재산권이 소유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이뤄졌기에 앞으로는 이러한 소유의 개념은 사라질 것이라며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접속이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러프킨에 의하면 소유의 반대말은 무소유가 아니라 접속이다.

<소유의 종말>의 가장 큰 미덕은 사회변화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해준다는데 있다. 방대한 양의 논문과 참고문헌을 섭렵한 저자의 부지런 덕분에 '소유의 종말' 한 권을 읽음으로서 다가올 사회에 대한 밑그림을 생생하게 그려낼 수 있게 해준다.

리프킨은 앞으로 기업은 평생고객인 소비자에게 물건인 상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상품을 제공하고 그 상품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기업활동을 영속해 나가게 된다는 것이다. 에어컨을 파는 것이 아니라 에어컨은 운영하는데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이윤을 창출해 낸다는 것이다. 앞으로 기업이 중시해야 할 것은 팔리는 물건의 양이 아니라 바로 소비자와의 적절한 유대관계맺음이라는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접속의 사례 가운데 가장 놀라운 것 가운데 하나는 바로 공동관심단지이다. 부동산 가운데 거주의 공간만을 공유하고 나머지 공동구역은 공유하는 형태로 이러한 공간에 접속할 수 있는 권리만을 거주자는 접속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거공간 속에서 소유는 의미를 상실하게 되고 그 속에서는 오히려 접속이 더 효과적으로 소유를 설명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평생을 접속해서 살아가야 하는 소비자는 무엇에 접속하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체험이다. 체험을 얻게 해주는 다양한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것으로 좀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그러한 체험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는 접속할 수 있는 권리를 사는 것이다. 놀이동산에 가는 소비자는 놀이기구에 접속해 경험하게 되는 소비자의 체험을 사는 것이다.

체험을 얻기 위해 문화라는 상품을 소비하고 있는 우리에게 문화상품의 고갈이 초래할지도 모르는 위기에 대한 러프킨의 충고는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대량소비를 위한 문화의 획일성, 그로 인한 문화의 다양성의 상실이라는 악순환고리가 기존의 생태계 파괴처럼 일어날지도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

<소유의 종말>에는 무궁무진한 사례들이 담겨있다. 그러한 사례들을 읽으면서 이전에 우리가 접하면서 알아채지 못했던 것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소유의 종말'에 '접속'할 가치는 충분하다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가능한 꿈은 없다
딕 배스 외 / 랜덤하우스코리아 / 1998년 11월
평점 :
절판


성공을 이룩한 뒤에 스스로 그 성공의 달콤함에 취해서 망가지는 많은 사람들을 볼 때마다 그런 사람에게 도전의 아름다움을 깨닫게 해주는 이 한 권의 책을 권하고 싶다.
그 책이 바로 '불가능한 꿈은 없다'라는 책이다. 이 책의 원제는 세븐서미트(seven summits)이다. 세븐서미트는 지구상에 존재한다는 7개 대륙의 가장 높은 지점인 7개의 극점을 일컫는 단어.

하늘의 순리를 안다는 50대에 달한 두 명의 성공한 사업가(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회사를 직접 경영하는 두 명의 전문 경영인이다. 한명은 워너브라더스를, 다른 한명은 동계올림픽을 개최할 정도로 큰 스키장인 스노버드를 개발하는 리조트 개발회사를 운영하고 있다)가 남들이 아직 이룩하지 못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세븐서미트에 도전한다.

이 책은 성공한 사내 둘이 불가능해 보였던 세븐서미트의 꿈을 현실로 만들어 가는지를 보여주는 한 편의 보고서다. 계획을 짜고, 없는 시간을 짜내 틈을 만들고 그 틈을 이용해 몸을 만들어 서미트를 공략하였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세븐서미트에 오르기 위해 이들을 도왔던 수많은 사람들과 함께 이들 엮어내는 삶과 죽음이 담겨 있는 여행담 속에서 우리네 인생살이를 발견하게 한다. 아무리 치밀한 계획을 세워서 도전하더라도 뜻대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과 무엇가를 얻기 위해선 무언가를 잃기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책에서 가장 감동적인 부분은 아마도 불가능한 꿈을 현실로 거의 다 이룩한 상황에 이르러서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세븐서미트의 꿈을 포기할 때이다. 인생의 불가능한 꿈을 이룩하는 것만큼이나 꿈을 포기하는 것도 아름답다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50을 넘긴 그들이 그토록 세븐서미트에 오르고 싶었던 이유는 무었일까. 아마도 딕배스가 즐겨 암송했던 시구절 <....어린이의 호기심 어린 눈길로....밝게 빛나는 별에서 한 톨의 모래까지 거대한 것에서 지극히 작은 것까지....난 그것들을 모두 보려 하노라>처럼 모든 것을 자신의 눈으로 직접 보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흔히 경영을 하나의 예술이라고 표현하지만 이 책을 읽는 동안 산을 오르는 것 또한 하나의 예술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한 예술이 우리에게 주는 감동을 배가시키는 것은 바로 그들의 참신한 도전정신이다. 비록 두 명 가운데 비록 한 명만이 세븐서미트에 올랐다 할지라도 그 두 사람이 보여주었던 도전정신이야말로 이 책의 백미라 할 것이다.

참고로 세븐서미트는 다음과 같다. 남미의 아콩가과, 아시아의 에베레스트, 북미의 매킨리, 아프리카의 킬리만자로, 유럽의 엘브루스, 남극의 빈슨, 오스트레일리아의 코지어스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