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쓴 제러미 리프킨의 '소유의 종말'은 우리가 지금 살아가고 있는 세상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와 어떻게 변해갈 것인지에 대해 조목조목 잘 설명해서 보여주고 있다. 전통적인 재산권이 소유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이뤄졌기에 앞으로는 이러한 소유의 개념은 사라질 것이라며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접속이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러프킨에 의하면 소유의 반대말은 무소유가 아니라 접속이다. <소유의 종말>의 가장 큰 미덕은 사회변화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해준다는데 있다. 방대한 양의 논문과 참고문헌을 섭렵한 저자의 부지런 덕분에 '소유의 종말' 한 권을 읽음으로서 다가올 사회에 대한 밑그림을 생생하게 그려낼 수 있게 해준다. 리프킨은 앞으로 기업은 평생고객인 소비자에게 물건인 상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상품을 제공하고 그 상품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기업활동을 영속해 나가게 된다는 것이다. 에어컨을 파는 것이 아니라 에어컨은 운영하는데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이윤을 창출해 낸다는 것이다. 앞으로 기업이 중시해야 할 것은 팔리는 물건의 양이 아니라 바로 소비자와의 적절한 유대관계맺음이라는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접속의 사례 가운데 가장 놀라운 것 가운데 하나는 바로 공동관심단지이다. 부동산 가운데 거주의 공간만을 공유하고 나머지 공동구역은 공유하는 형태로 이러한 공간에 접속할 수 있는 권리만을 거주자는 접속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거공간 속에서 소유는 의미를 상실하게 되고 그 속에서는 오히려 접속이 더 효과적으로 소유를 설명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평생을 접속해서 살아가야 하는 소비자는 무엇에 접속하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체험이다. 체험을 얻게 해주는 다양한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것으로 좀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그러한 체험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는 접속할 수 있는 권리를 사는 것이다. 놀이동산에 가는 소비자는 놀이기구에 접속해 경험하게 되는 소비자의 체험을 사는 것이다. 체험을 얻기 위해 문화라는 상품을 소비하고 있는 우리에게 문화상품의 고갈이 초래할지도 모르는 위기에 대한 러프킨의 충고는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대량소비를 위한 문화의 획일성, 그로 인한 문화의 다양성의 상실이라는 악순환고리가 기존의 생태계 파괴처럼 일어날지도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 <소유의 종말>에는 무궁무진한 사례들이 담겨있다. 그러한 사례들을 읽으면서 이전에 우리가 접하면서 알아채지 못했던 것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소유의 종말'에 '접속'할 가치는 충분하다 할 것이다.
꼭 떠나야만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