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최고경영자 9인, 그들에게 배워라
길인수 외 지음 / 이야기꽃 / 2004년 12월
절판


고정 관념의 노예가 되면 순간순간의 적응력이 우둔해질 수밖에 없어. 교과서적인 사고방식이 곧 고정관념이야. 그것은 곧 우리를 바보로 만드는 함정이야

- 정주영 - -34쪽

사람이 살아가는 데는 가변수와 불변수가 있어. 대학교수에게 불변수란 65세가 되면 틀림없이 정년퇴직하게 된다는 것이야. 가변수란 어쩌다 장관이라도 된다든가 큰 병에 걸린다는가 하는 것이지. 천재지변을 맞을 수도 있고, 이런 가변수에 대해서는 어쩔 도리가 없지.

하지만 불변수에 대해서는 얼마든지 미리 준비하고 계획을 세울 수가 있거든. 가변수란 불변수에 비하면 그리 많은 것도 아니야. 우리나라 대학교수에게 가변수가 있다면 얼마나 있겠냐?

그런데도 그 친구가 정년퇴직이라는 불변수에 대해서 아무 대비도 않고 있다는 것은 나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야

- 최종현 - -147쪽

일본 전국시대 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오다 노부나가는 매일 새벽 네 시면 일어나 가장 빠른 말을 타고 왕복 40리 길을 달렸다. 가는 길에는 전략을 짜고 돌아오는 길에는 결단을 내렸다.

그는 하루를 '이른 아침, 아침, 낮, 밤' 등 4등분해서 사용했다.

그가 어지러운 전란 속에서도 날카로운 예지와 단호한 결단으로 패권을 잡을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아침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상대방보다 한 발 앞선 선제공격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15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