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e - 시즌 5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지식e 5
EBS 지식채널ⓔ 지음 / 북하우스 / 2009년 11월
절판


이렇듯 극적인 변신을 추동한 내면의 변화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현실이 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980년대 말 초대전 때문에 독일에서 서너 달 체류했던 경험이 직접적인 변화의 계기가 되었다. 우리보다 한발 앞서서 자본주의의 진행을 경험하고 있는 사회를 직접 가서보니 세상의 변화가 더욱 절실하게 다가왔던 것 같다. 독일에 있으면서 케터 콜비츠 관련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다 찾아다녔다. 놀라운 것은,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도 뜨거운 이름이었던 콜비츠가 모국에서는 이미 싸늘하게 식어 있었다는 점이다.

......아무리 위대한 예술적 언어들도 시대적 소임이 다하고 나면 이처럼 뒷방물림이 되고 만다는 것을 목격한 셈이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변화에 대한 고민이 그런 경험등을 통해 확신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이미 나의 '거친 언어'에는 아무도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었다. '대중을 따라다닌다'는 말을 들어도 유감은 없지만, 나는 늘 대중이 현장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대중에게 외면받는 목소리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다.

- 판화가 이철수 인터뷰 중에서 - -92쪽

대중성이란 양날의 칼이다. 세상과 싸울 수 있는 도구이기도 하지만 나를 잡어먹을 수도 있는 칼이다.

하지만 피할 수 없는 칼이다. 내 그림을 갖게 되는 사람들도 물론 통속적인 방식 또는 시장적인 방식으로 작은 대가를 치르기는 하지만, 그것이 성찰의 아이템으로 그 옆에 존재하게 될 것이라는 믿음 내지 바람이 있다.

내 그림을 곁에 두고 보면서 소비에 지친 자기 일상을 한번쯤 되돌아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따지고 보면 지금 내가 하고 있는 모든 작업은 내 삶에 관한 반성문에 지나지 않는다. 다른 이들에게도 그런 역할을 해줬으면 한다. 말랑말랑하지만 끊없이 존재를 붙들고 의심하게 만드는 그런 역할 말이다.

......분노에 차 있거나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는 방식으로 언어를 구사하는 데 대해 두려움과 환멸을 느끼고 산 지 오래다. 설사 내가 언젠가 분노에 찬 언어를 다시 사용해야 할 경우가 생기더라도 그것이 나를 삼켜버리지 않기를 바라고, 그것이 남에게 전해질 때도 반어적인 순기능이 충분히 전해질 수 있는 수준이었으면 좋겠다.

- 판화가 이철수 인터뷰 중에서 - -95쪽

첼로

심장 가장 가까이에 있는 악기

- 첼리스트 파블로 카잘스 --129쪽

기본적으로 나는, 공적인 영역에서든 사적인 영역에서는 누구나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자유롭게 밝힐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예인도 마찬가지고, 방송에서도 마찬가지다.

만약 손석희가 정말 좌파라면 방송에서 '나는 좌파다'라고 당당하고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게 정상적인 사회다.

연예인의 '정치적 발언'도 아닌 '사회적 발언'이 논란이 되는 것 자체가 기형적인 상황이다.

여기서 정치적 발언과 사회적 발언을 구분하고 넘어가자. 한국에서 정치적 발언이라고 하는 것은 특정 정파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말이다.

김제동이 트위터에 썼던 '이란과 쌍용을 잊지 맙시다'라는 글이라든지 그가 노무현 전 대통령 노제에 참석해서 했던 말들은 특정정파의 이해를 대변하는 발언이 결코 아니었다. 사회정의라는 보편적 가치를 이야기했을 뿐이다.

- 공연기획자 탁현민 인터뷰 중에서 --139쪽

지식 :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얘기일 수도 있겠다. 그런 사람들이 많아야 이 세상이 바뀌겠지만, 무색무취의 처세술이 결과적으로 늘 옳았기 때문에 이 세상이 현재 이런 양상이 된 것 아닌가.

탁현민 : 나는 보수우익적인 발언에 대해 근본적으로 분노하지 않는다. 나는 누군가가 어떤 정치적 발언을 하더라도 먹고사는데 아무 지장이 없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아무 정치의식이 없다'라고 말할 때 박수를 받는 사회가 짜증난다는 것이다.

- 공연기획자 탁현민 인터뷰 중에서 --146쪽

일단 외부에서 끌어온 플러그 없이 무엇인가 작동시키는 것을 보여주거나 직접 체험하게 하면 사람들은 에너지를 몸으로 느끼게 됩낟. 굳이 원리를 설명해주지 않아도 에너지의 절실함과 소중함이 몸에 각인되는 거죠.

바로 그 순간 사람들은 묘한 희열과 감동을 느끼게 됩니다. 저 역시 그랬거든요. 그래서 제가 강조하는 것도, 한번의 이색체험이 아니라 취미삼아서라도 사람들이 직접 전기를 만들어 써보라는 거예요.

- 친환경에너지 발명가 황성순 인터뷰 중에서 - -233쪽

당시 서울대 수학과에 다니던 과외선생이 대답해줬다.

"야, 우리가 원시인일 때는 숫자를 하나, 둘, 많다 적다 이렇게만 다루면 되잖아. 3이면 다 해결되는 거잖아. 하지만 하늘을 올려다보면 별의 숫자를 다루어야 하고 상상 너머의 수많은 숫자를 다루어야 할 필요가 생기잖아. 그러니까 숫자들들 좀더 세밀하게 통제할 필요가 있었던 거지. 로그나 지수는 그렇게 크고 작은 숫자들을 잘 다루기 위해서 고안한 방식이란 말야"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가슴이 뻥 뚫리는 기분이었다.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공부가 왜 필요한지 설명해주고 가르치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 내가 대학생이 되어 과외선생이 되었을 때, 나는 아이들에게 공부를 가르치지 않았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었다. 문제아 전문 과외선생이었던 셈인데, 그들돠 대화하고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 개선되는 아이들이 많았다.

흔히 오해하기를, 청소년기를 무조건 많은 정보를 흡수해야 하는 나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밖으로 자기 이야기와 고민을 쏟아내야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 신해철 인터뷰 중에서 --268쪽

하지만 대학이 취업의 도구처럼 되고, 대학을 나와도 사회로 진출하기 위해서 또 다른 형식의 과외를 받아야 하는 현실에서 대학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봐야 한다.

다소 엉뚱하지만 러시아의 감독 티무르 베크맘베토프가 만든 영화 <나이트워치>를 생각해보자. 이 영화는 러시아의 영화전통을 완전히 뒤집는 컴퓨터그래픽과 특수효과로 도배되어 있다. 여기에 참여한 수많은 기술자와 디자이너들은 단 한번도 서로 만난 적이 없다고 한다. 모두 인터넷과 이메일 등으로 서로 소통하고 배워가면서 이 영화를 완성했다고 한다.

내가 생각하는 미래교육의 상징적인 예가 바로 이것이다.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모여서 배우고 공부하고 완성하고, 이런 것이 종으로 횡으로 확대되면서 기존 권의를 가진 교육기관들을 해체하고 재구성 하는 것.

- 신해철 인터뷰 중에서 --270쪽

인권의식의 측면에서 한국인들이 성숙한 단계라고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이 문제는 사실 한국사회 구조적인 측면, 일상생활의 측면에서 봐야 할 것 같다. 외국인의 시각에서 보면 한국인의 일상이 너무 폐쇄적이다.

한국인 학생들을 예로 들어보자. 그들은 공부를 해야 하고, 학비가 너무 비싸기 때문에 방학 때는 아르바이트를 해야 한다. 졸업과 동시에 취직을 해야 한다. 이렇게 학생시절에 이미 정영화되고 규격화된 삶이 졸업 후에도 계속 이어진다. 대부분 저녁 여섯시까지 회사에 묶여야 한다. 사장이 회식을 하자면 그대로 따라가야 하고, 한국인들은 이런 구조적인 일상의 스트레스에 찌들어 사는 것처럼 보인다. 한국인들의 사회생활이 규율과 제약으로 점철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국인들에게 일상에서 즐기고 사고를 확장시킬 오락의 경로가 너무나 제한되어 있다. 술 아니면 노래방이다. 스트레스를 풀 길이 별로 없다. 인권이 타인에 대한 이해와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한다면, 인권의식이 제대로 발전하지 못하는 것은 이런 연유가 크다고 본다.

- 보노짓 인터뷰 중에서 - -30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