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없는 세상
앨런 와이즈먼 지음, 이한중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신문에서 소개된 기사에 반했다. 기회가 되면 꼭 읽어보리라 생각을 했는데, 회사 도서관에서 드디어 조우했다.

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인간이 사라진다면이란 단순한(?) 질문에 대한 과학적인 답변이다. 저널리스트이자 과학자인 저자의 답변을 거칠게 요약한다면....인간이 없어 쓸쓸하지만(지구상에 남게될 동식물들이 쓸쓸하다라는 감정을 느낄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인간의 입장에서는 저렇게 느낄 확률이 높다고 한다) 야성으로 활기한 지구가 될 것이란다.

인간이 만들어 놓은 위대한 문명도 관리자인 인간이 어느 순간 증발해 버린다면, 스스로의 운전에 따른 마모와 부식 그리고 적절한 관리를 못받아 생긴 결함 등으로 인해 지구상에 존재했던 인간이란 존재를 희미하게나마 알려주는 흐릿한 이정표 역할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도시 구석구석 뻗어있는 가스배관이 폭발해서 도시 전체가 불바다가 되고, 거대도시를 환하게 밝혀주는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거대한 원자력발전소에서 수만년 동안 뿜어져나올 방사능도, 그리고 영원히(?) 썩지 않을 것 같은 플라스틱조차도 영겁의 시간에서 본다면 바닷가 깊은 물속에서 현미경으로 들여다 보아야할 작은 조각이 되어, 결국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생명체의 진화에 따른 결과, 자연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란다.

만만치 않게 두꺼운 내용 가운데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자연의 보고가 소개되어 있어 눈길을 끈다. 서로 총부리를 마주댄체, 반세기 가량 지켜만 보고있었더니 자연스럽게 자연생태계가 회복되어 지구상에 희귀한 공간이 되어 다음 세대 사람들에게 지켜주어야할 소중한 공간이 되어버렸다는 역설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단다. 지구 곳곳에 넘쳐나는 쓰레기들과 그 사이 사이에서 포스트 인간 세상을 연구하는 다양한 과학자들의 영감넘치는 이야기들을 읽고 있노라면, 그닥 두껍지만은 않다.

뱀발...하루하루 아둥바둥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장자의 큰 이야기도 소중한 깨달음을 주겠지만, 몇 만년 후에 야성으로 가득찬 지구의 모습을 상상해 보는 것도 나름 큰 울림을 줄 것이라 감히 상상해본다. 특히 좁은 책상 머리에서 하루 죙일 허리 구부리고 앉아, 상상의 잔소리와 더불어 아둥바둥 살아가는 동시대의 서글푼 직딩에게 필히 일독을 권해본다. 수만년이란 긴 시간으로 보면 오늘 하루도 별거 아니거든요.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