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CEO 누르하치 - 중국을 M&A한 오랑캐式 경영전략 SERI 연구에세이 23
전경일 지음 / 삼성경제연구소 / 2005년 7월
품절


1. 누르하치는 중국에 대해서 누구보다도 잘 알았다. 가까이 있는 1위를 늘 주시하고, 따라붙으면서 끊임없이 배웠고, 틈새를 엿봤다.
2. 지속적인 아웃소싱과 벤치마키응로 적의 경쟁력을 자신의 경쟁우위로 전환시켰다. 결과적으로 당연히 저보다 적을 더 잘 알게 되었다. 나아가 준비의 정도도 두터웠다.
3. 소속의 범위를 넓혀, 만주에서 중국 전체로 나가려는 지향점을 분명히 설정했다. 나아가 만주족과 한족으로 대결구도를 정해 극복해야 할 대상을 명확히 했다.
4. 불퇴군, 불회군의 정신으로 똘똘 뭉쳤고, 팔기를 근간으로 전체 조직에 강력한 리더십이 발휘됐다. 이는 현장에서 강력한 전투력의 우위로 나타났다.
5. 만주에 몰아닥친 여진사회 내부통일 기운과 더불어 조선의 임진왜란 등 각국의 위기환경이 역으로 큰 기회를 제공했다. 이 시기에 여진사회는 내부통일을 이루고 관심을 신속히 밖으로 돌릴 수 있었다.
6. 정복을 가능하게 하는 경제력과 마필, 군수 무기를 적극 활용했으며, 뛰어난 전략과 전술이 뒤따랐다.
-96쪽

7. 국제정세를 바라보는 예리한 안목과 시의적절한 전략으로 이민족의 중국 인수합병전을 성공리에 수행한 탁월한 CEO가 있었따. 누르하치의 탁월함은 만주족 경쟁력의 핵심요소였다. -96쪽

누르하치 성공의 11가지 비결

1. 가진 것 없이 출발했다. 누르하치는 물려받은 병력도 미약했고, 심지어 일족들마저도 우호적이지 않았다. 나아가 작은 기득권을 지키고자 적극적으로 방행하는 자마저 생겨났다. 이 같은 고충 속에서도 누르하치는 인내와 끈기, 그리고 교모한 책략을 써서 추종하는 자들을 늘렸고, 적을 서서히 압도해 나갔다.

2. 혼인과 정복이란 양면 정책으로 여진 내부를 완전히 통일해냄으로써 단결된 힘을 외부로 뻗칠 수 있었다. 내부의 통합이란, 힘의 방향을 한곳으로 모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해법이었다.

3. 강력한 군사조직인 팔기제를 만들어 이를 활용했다. 팔기제는 1601년 누르하치가 개발한 만주족의 독자적인 제도로 호구통계, 징집, 징세, 병력 동원 등을 위한 행정제도이다. 동시에 국민개병적 성격의 군사제도였다. 이러한 사냥과 숫자가 어우러진 전통적 제도를 혁신해 누르하치는 새로운 제도를 만들었고, 이를 십분 활용했다.
-132쪽

4. 극복 대상인 중국의 역사,정치,경제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다. 나아가 동북아시아의 힘의 패권이 이동하는 것에 대해 항시 안테나를 세우고 있었고, 감지되는 거대한 기회 속에서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했다.

5. 경제적 기반을 확고히 마련했다. 누르하치의 중국 M&A 프로젝트는 사실상 경재행위의 정치,군사적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경제력은 한 국강도 인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적절한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6. 누르하치는 중국의 권위나 화려한 생활, 나아가 중화주의에 물들지 않았다. 여진부족 중 유일하게 통일을 이루고 중국 M&A까지 성공시킬 수 있었던 건주여진은 더 이상 소고삐에 묶인 소의 형국이 아니었다. 그들은 결코 주눅 들지 않았다. 나아가 야생의 기질을 가진 대담한 사람들답게 과괌하게 투쟁해서 마침내 목표를 이뤘다.

-132쪽

7. 목표를 높게 세웠다. 교역문제를 해결하는 차원이 아닌, 궁극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 결과 작은 경제적 실리를 얻는 데 국한된 것이 아니라, 끝내 중국을 M&A 하는데 성공했다.

8. 정복전에 나섰던 팔긱의 군사들은 물론이고, 모든 민과 병을 통일 시켰고, 멀티형 인간으로 훈련시켰다. 그들에게는 결코 어설픈 아마추어리즘이란 없었다.

9. 만주족은 무엇보다도 트릭에 대해 많이 알고 있었다. 거대한 명분으로 포장한 명 왕조의 허상을 간판했고, 그런 까닭에 한족보다 훨씬 더 교활하게 행동할 수 있었다. 그들은 사냥을 통해 정말 많은 것을 배웠다. -133쪽

10 전략적 제휴를 통해 힘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만주족에게는 성공을 위해서라면 제휴하지 못할 대상이라곤 하나도 없었다. 몽골한테도 그랬고, 한족 내부의 인사들에게도 마찬가지였다.

11. 적의 방식으로 적을 굴복시켰다. 한족의 이이제이, 기미정책을 써서 오히려 한족의 심장을 겨누어 적을 무력화시켰다. -133쪽

만주족의 중국 M&A 완성의 의의

1. 문명과 야성이라는 이질의 문화가 결합하여 복합 시너지를 낸 중국 역사상 최대의 윈윈 게임이었다. 피인수 과정을 통해 한족은 젋은 피, 즉 야생의 생명력을 얻을 수 있었고, 만주족은 중국 경영권을 획득할 수 있었다.

2. 만주족은 피인수 대상인 한족의 중국에 대해 희생과 헌신을 다했다. 나아가 이를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상대를 연구하고, 빈틈없이 준비했다.

3. 사업 승계의 원칙과 일관성을 한결같이 견지했다. 중국 M&A 프로젝트는 3대에 걸친 프로젝트였다. 이는 사업의 지속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해준다.

4. 누르하치의 만주족이 중국을 M&A한 것은 성공적인 국가통합 사례이며, 통합 이후에도 청 왕조의 경영층은 200여 년간 중국을 지배했다. -150쪽

5. 한족은 만주족을 중국 경영권을 인수하고자 하는 일종의 리에더스(raiders)로 인식했을 것이다. 그러나 M&A 후 만주족은 중국을 가장 뛰어난 국가로 키워 나갔으며, 근대 중국을 있게 한 순기능적 역할을 수행해냈다.

6. 누르하치의 건주여진이 합달부를 병합한 것은 기업 M&A에서 마친 팩맨식 방어전략(Pac Man Defence)을 취한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즉 명의 사주에 의해 여진 내부의 분열을 꾀하며 건주여진을 공략한 합달부는 역으로 누르하치의 건주여진에 의해 M&A된 것과 같다. 이는 다양한 방식의 정치,군사행위가 경제,경영 행위와 유사한 측면이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15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