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렌 버핏처럼 분석하고 존 네프처럼 투자하라 - 한국형 가치투자 입문
이재완.구자혁.김범규 지음 / 국일증권경제연구소 / 2006년 12월
품절


기업을 분석하는 데 있어 순자산의 의미는 자산과 부채 사이의 차액을 의미한다. 자산은 기업이 소유하는 현금이나 상품, 토지건물 등과 같은 유형의 것과 외상매출금, 대여금 등과 같은 무형의 채권 등이 있다. 부채는 기업이 여러 가지 기업활동을 위해 외부에서 단기 또는 장기로 타인에게 빌려온 자본이다. 따라서 순자산은 대차대조표상의 자본금액(자본금+자본잉여금+이익잉여금)과 동일하다. -65쪽

현대적인 투자이론을 개척한 필립 피셔는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라는 책에서 주ㄱ는 세 가지 독립된 평가가 서로 융합되어 작용된다고 말했다.......1. 주식시장 전체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모든 회사의 주가에 있어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친다.....2. 성장을 고려한 투자는 특정 업종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지할 경우에만 기회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특정 업종에 대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때만이 성장에 대한 비싼 프리미엄을 지불하지 않고 해당 업종에 속한 성장 기업의 주식을 저가에 매입 할 수 있다는 말이다. 3. 특정 기업이 속해 있는 산업이나 업종에 대한 왜곡된 시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는 좋은 기업들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시장의 평가와 반대되는 시각을 유지해야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의 주식을 저가에 매입할 기회가 생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