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의 기본 구상은 유가증권의 과거 수익률 요인 및 지표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연구하는 것이었다. 우리가 고려한 수많은 기본적, 기술적 척도 가운데에는 이익수익 earnings yield로 불리는 주가수익비율 PER(이익수익률의 역수), 주가순자산비율 PBS(장부‘ 가치) 회사의 시가총액(규모) 등이 있다. 지금은 널리 알려져 폭넓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지만, 1979년 당시에는 모든 정보가 완전히 반영되어 조정된 것‘이 바로 시장가격이라고 믿는 수많은 학자들이 똘똘 뭉쳐 맹렬히 비난하던 지표들이다. 그러나 현역에서 일하는 많은 사람들은 학자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당시는 양질의 데이터베이스와 이를 탐색할 수 있는 강력한 신형 컴퓨터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기 시작한 때여서 우리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는 최적의 시기였다.

운 좋게도 우리 연구원 한 사람이 통계적 차익거래를 위한 기 본 구상을 거의 즉시 실행해냈다. 그는 과거 2주 동안의 손익을 기 준으로 종목의 순위를 매겼다. 크게 상승한 종목들은 다음 2주 동안 대개 시장수익률을 하회했고 크게 하락한 종목들은 반대로 시장을 상회했다. 하락률 상위 10퍼센트 종목을 매수하고 상승률 상위 10퍼센트 종목을 공매도한 과거 연간 수익률은 20퍼센트에 달했다. 우리는 이 시스템을 머드MUD라고 불렀다. 최대 상승 mostup, 최대 하락mostdown’한 종목들로 구성한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UC어바인 수학과 교수 윌리엄 도노휴Wiliam F. Donoghue가 농담처럼 한 조언대로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전략이었다. 롱포지션을 취한 포트폴리오는 시장과 연동해 움직이고 쇼트포지션 포트폴리오는 반대로움직여 시장의 변동을 거의 상쇄했다. 이렇게 해서 우리가 선호하는시장 중립적인 포트폴리오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투자와비교하면 여전히 가격 변동폭이 큰 포트폴리오라서 우리는 통계적차익거래를 당분간 배제하고 있다.

우리는 몰랐지만 2년 뒤 모건스탠리에서 어느 기발한 연구원이 우리의 것과 비슷하면서 변동성은 훨씬 적은 전략을 고안했다.
이 전략으로 매매를 시작한 것은 1983년이었을 것이다. 경험이 쌓이며 자신감이 커진 그는 투자 규모를 늘렸다. 통계적 차익거래는1985년까지 모건스탠리의 중요한 이익 창출원이 되었지만 공로에대한 인정과 보상이 주어진 대상은 전략을 고안한 게리 뱀버거 GerryBamberger가 아니었다. 직속상관인 눈지오 타타글리아가 계속해서 전략을 확대해 운영하는 것에 불만을 가진 뱀버거는 사직서를 제출했다. P3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