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상식 오류 사전 - 의사는 절대로 가르쳐주지 않는 당신의 건강과 웰빙에 관한 진실과 오해
우도 폴머 외 지음, 이혜원 옮김 / 경당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건강상식에 관한 오류 몇가지를 소개하는 것으로 리뷰를 시작하고자 한다.

- 노화를 막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인간의 성장호르몬은 노화는 막을지 몰라도, 호르몬 수치가 높을 수록 수명은 짧아지게 된다. 

- 거세하면 진짜 남자에 비해 평균수명이 15년까지 늘어난다. 

- 한사회의 암 발생비율이 높아질수록 평균 수명이 연장된다.

- 에너지 음료 등에는 각종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그중 세제의 원료인 타우린은 레모네이드 1리터당 4밀리그램이나 들어있다.

- 60명의 남성의학자에게 만약 당신이 여성이라면 유방암 검사를 위한 방사선 촬영에 임하겠느냐는 질문에 55명이 하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했고, 단지 5명만이 결정을 유보했다. 의사들 자신은 절대로 하지 않는 방사선 촬영을 자신의 환자들에게 권하고 있는 것이다!

- 키토산을 먹으면 장속의 지방 성분을 스펀지처럼 빨아들여 배설시켜주는 성분이라는데.....키토산은 실제로 특정 화학물질과 강하게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그러나 과학적 실험에 의해....입증된 바가 없다. 키토산의 결합능력은 시험관 속에서는 아주 선명하게 들어나지만, 유감스럽게도 실제 생활에서는 그러한 기능이 제대로 드러나지 못한다.

가나다 순서로 편찬된 사전식 도서를 재미있게 읽는 방법이 과연 있을까? 이 책, 건강상식 오류사전을 읽으면서 재미있게 읽는 방법을 발견했다. 그건 다름 아닌 하이퍼 텍스트 방식으로 읽는 것이다.

사전식 구성으로 되어 있는 책은 그냥 그냥 관심있는 부분만을 띄엄띄엄 읽어도 좋고, 아무 곳이나 펼쳐진 부분을 읽는 것도 나름 쏠쏠한 재미를 볼 수 있는 방법이겠지만...책이란 아무래도 첫장부터 마지막장까지 정독해야 한다고 평소 생각하고 있는 나에겐 그닥 활용도가 높은 방법은 아니었다. 그렇다고 사전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는 것은 지루하기도 할뿐더러, 속도가 나지 않아 더욱 활용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관심있는 사전의 어느 한 항목에서 시작해서 관련 항목을 하이퍼 링크식으로 읽어나가는 것이야말로 사전을 재미나게 읽는 방법임을 이 책을 통해 하나 배우게되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상식은 과연 무엇일까? 그것도 관련 정보가 쏟아질뿐 아니라, 넘치는 지경인 건강이란 부분이라면 내가 알고 있는 상식은 과연 상식일까 아니면 그럴듯한 앎에 불과한 것일까? 건상상식 오류는 그러한 점에서 나름대로의 미덕을 지녔다. 사전식 편찬임에도 불구하고 각 항목 말미에 관련 항목을 찾아 읽을 수 있는 하이퍼링크(웹처럼 누르면 실제 페이지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랍니다. 관련 항목의 페이지가 나와있어 찾아 읽으셔야 한답니다)가 있다는 점, 과학이나 의학적으로 검증된 사실만으로 상식의 오류를 수정한다는 점 등에서 나름 미덕을 가지고 있다 할 것이다. 소개된 사례들이 대부분 실생활에서 접하기 힘든 독일 사례라는 점은 태생적 한계일 것이고,  번역이 그닥 매끄럽지 못해 거칠게 읽히는 점은 아쉬운 점일 것이다(그래서 별 1개를 깎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