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영문판 2012년 2월 1면

굵은 글씨는 해석이 잘 안되는 부분.

-------------------------------------------

  15년 전, 르 몽드 디플로마티크는 처음으로 금융거래에 대한 세금을 언급했다.(1) 이 때에, 이런 거래의 가치는 전세계 연간 총 생산의 15배였다. 현재, 이는 거의 70배에 이른다. 그 때로 돌아가보면(Back then), 우리는 서브프라임 대출에 대해 거의 듣지 못하였고, 또한 국가부채위기(sovereign debt crisis)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상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대부분의 유럽 사회주의자들은, 토니 블레어의 영향 아래, "금융혁신(financial innovation)"에 완전히 찬성했다(were all for). 미국에서는, 빌 클린턴이 상업은행(deposit bank)들에게 자기 고객들의 돈을 투기(speculate)하도록 권장하는 일에 종사하였다(was about to encourage). 그리고 프랑스에서는, 미국식 모델에 심취한(besotted) 니콜라스 사르코지가 미국 연방준비위원회(the Federal Reserve)에 의해 설득당한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정책(2)을 찬양했고, 프랑스 스타일의 서브프라임 대출을 꿈꾸었다.


  토빈세를 지지했던(backed) 권력있는 사람은 1997년까지 거의 없었다 : 모든 것은 잘 돌아가고 있었다. 당시 프랑스 재무부 장관인 도미니크 스트로스-칸은 그것이 적합하지 않다고(would not work) 생각했다. 사르코지는 심지어 한 술 더 떴다(incisive). "토빈세 시행(business)은 불합리하다 ... 만약 우리가 여기에서 부의 창출에 벌칙을 매긴다면, 우리는 다른 국가의 부의 창출에 힘을 실어주게 될 것이다."(3) 그가 대통령이 되자마자, 그는 그의 재무부 장관인 크리스틴 라가르드(현재 국제통화기금IMF의 총재(head))에게 주식교환거래(stock exchange transactions)에 매기는 세금을 철회하도록 지시했다. 그녀는 "이 조치는 파리를 금융 중심지로서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 것이다."라고 설명했으며, 그리고 그녀는 이것이 취소되지 않는다면, "거래들은 이런 종류의 세금이 오래 전부터 폐지되어왔던(taxes of this kind have long since been abolished) 다른 외국 중심지들에서 만들어질 것이다."고 경고했다.(4)


  이제는, 정책입안자들이 세금감면으로부터 성장한 대부분의 "금융혁신"을 만들 것이라 기대했던 그 때에 그들이 무책임했다는 것이 명백하다. 미국은 은행들을 구조하였고 또한 그들에게 그들 스스로를 위해서 더 많은 이익을 만들 수 있을 때에만 돈을 돌려달라고 요청했다(asked them in return only to make even fatter profits for themselves). 그러나 금융통제에 대한 아무런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다; 그저 "세계를 지배하는 돈"에 대한 더욱 많은 불평만 있을 뿐이다. 미국에서는, 심지어 완전히 보수주의적인 공화당 후보조차도 지금은 "들어와서, 당신의 회사의 모든 돈을 가져서는, 그들이 수백만 달러와 함께 사라지는(go off) 동안 당신에게는 파산만 남긴"(5) "욕심쟁이(vultures)"들을 비판한다.


  그래서, 그의 대통령 임기가 끝나기 네 달 전, 사르코지가 이제 "금융정책은 그들이 가져온 상처를 복구하는 것을 돕도록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한 것은 전혀 놀랍지 않다. 아무도 금융거래에 매기는 세금의 "불합리성"이나, 거위-투기-가 그의 황금알을 다른 국가에서 낳을 수도 있다는 위험성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다.


  우리는, 경제학자 제임스 토빈이 오래전에 충고한 것처럼, 여전히 "우리의 무절제하지만 영향력있는 금융시장(money markets)에 한 줌 모래를 던지는" 것에 만족 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런 시장은 명백하게 그 주주들이 국가를 담보로 삼을 능력을 가진 핵심적인 공공 자산이라는 의미가 있기(represent) 때문에, 우리는 더 많은 것을 해야한다. 지금부터, 우리는 은행이 사적 이익의 손 안에 들어가는 것을 멈추라고 주장해야만 한다. - 영문번역 : 바바라 윌슨(Barbara Wilson), 한글중역 : 박효진



각주-

(1) 이브라힘 와드(Ibrahim Warde)의 "투기꾼이들이 싫어하길 좋아하는 세금(The tax which speculators love to hate)"과 이냐시오 라모네(Ignacio Ramonet)의 "시장을 무장해제함(Disarming the markets)"를 각각 보시오. 르 몽드 디플로마티크, 영문판, 1997년 2월과 1997년 12월.

(2) "만약 내가 누군가를 모범으로서 삼아야 핬다면, 그것은 아마도 앨런 그린스펀일 것이다." 그는 2004년 6월 23일 파리의 르 에코(Les Echos) 지에 실린 인터뷰에서 이렇게 설명했다. "그는 항상 실용주의와 인간성과 함께 행동해왔다."

(3) 1999년 6월 2일, 프랑스2 채널

(4) 프랑스 의회에서의 토론 중의 연설, 2007년 11월 23일

(5) 뉴트 깅그리치, NBC 오늘의 쇼(Today Show), 2012년 1월 9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33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 (양장)- 빈부격차는 어떻게 미래 세대를 파괴하는가
로버트 D. 퍼트넘 지음, 정태식 옮김 / 페이퍼로드 / 2016년 2월
22,000원 → 19,800원(10%할인) / 마일리지 1,100원(5% 적립)
2016년 02월 28일에 저장
절판

관료제 유토피아- 정부, 기업, 대학, 일상에 만연한 제도와 규제에 관하여
데이비드 그레이버 지음, 김영배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16년 3월
19,000원 → 17,100원(10%할인) / 마일리지 950원(5% 적립)
2016년 02월 28일에 저장
절판
사회주의, 생동하는 유토피아- '저 너머'를 향한 대담한 탐험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윤태준 옮김 / 오월의봄 / 2016년 2월
16,000원 → 14,400원(10%할인) / 마일리지 80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2월 11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6년 02월 28일에 저장

경제동학이론- 자본주의 경제에서 순환 및 장기 변화에 관한 에세이
미하우 칼레츠키 지음, 강기춘 옮김 / 한국문화사 / 2014년 2월
20,000원 → 20,000원(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6년 02월 22일에 저장



33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59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노이즈가든 - nOiZeGaRdEn 1992-1999 Deluxe Remastered Edition [3CD]- Noizegarden + But Not Least + Bonus('94 Demos)
노이즈가든 (nOiZeGaRdEn) 노래 / 미러볼뮤직 / 2014년 4월
46,300원 → 38,600원(17%할인) / 마일리지 390원(1% 적립)
2014년 04월 29일에 저장
품절
정차식 - 2집 격동하는 현재사
정차식 노래 / 미러볼뮤직 / 2012년 1월
14,700원 → 11,900원(19%할인) / 마일리지 120원(1% 적립)
2013년 07월 10일에 저장
절판
9와 숫자들 - 猶豫(유예)
9와 숫자들 노래 / 파고뮤직 / 2012년 11월
14,300원 → 11,400원(20%할인) / 마일리지 120원(1% 적립)
2013년 07월 10일에 저장
품절
이한철 - 작은 방
이한철 노래 / 미러볼뮤직 / 2012년 5월
11,000원 → 8,900원(19%할인) / 마일리지 90원(1% 적립)
2013년 07월 10일에 저장
절판


59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활동마감] 9기 신간평가단 마지막 도서를 발송했습니다.

신청할 때만 해도 이게 진짜 될까 하면서 조마조마했는데, 신간평가단으로 선정되고 나서 벌써 열 몇권에 달하는 책에 대해 리뷰를 썼습니다. 음, 저같은 경우 제가 선정한 책을 받아본 적은 딱 한 번 뿐이어서(^.^; 매니악한 취향) 많이 아쉽지만 어쨌든 이번 기수를 탈 없이 마무리한 것을 스스로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휴... 사실 10기에도 되길 바랐지만, 아무래도 새로 신청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제 글이 눈에 띌 수 있지만 이미 '키보드 좀 잡아보신' 분들 사이에서는 제가 눈에 띄지 않는 모양입니다. 이건 제가 글 쓰는 연습을 더 많이 해야한다는 뜻이겠지요. 

- 신간평가단 활동시 가장 기억에 남았던 책과 그 이유

  <인지자본주의> 

  가장 기억에 남는 책을 꼽으라 한다면 저는 단연 이 책을 꼽겠습니다. 신간평가 대상으로 선정된 도서 가운데 유일하게 다 읽지 못하고 '나 너한테 졌음.' 하면서 항복한 책이거든요. 언젠가는 이 책을 다 읽을 것이고, 또 그런 다음에 이 책의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을 남김없이 다 끄집어낼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사실 이 책을 다 읽지 못하고 항복했다는 데에 살짝 자존심도 상하고... 이래저래 저에게는 숙제만 안겨주었습니다.







- 신간평가단 도서 중 내맘대로 좋은 책 베스트 5

  1. 아렌트읽기 

  신간평가 대상중에 가장 재미있게 읽은 책이었습니다. 깊이가 있는 만큼 조금 어렵긴 했지만 그래도 소화하지 못할 수준은 아니었으니, 상당한 균형을 갖춘 책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 아렌트에 대해 좋은 책이 없냐고 물어본다면, 그가 직접 쓴 책을 읽어보는 것 이외에도 이 책을 망설임 없이 추천할 것입니다. 

 

 

 

  2. 사르트르와 카뮈 

  깊이와 상관없이 재미있게 읽었던 책을 꼽으라면 이게 1등이었습니다. 가장 단순하게는, 유명 인사의 사생활에 대한 여러 가지 소문과 해석을 보는 관음증적 성향에서 나오는 재미가 있는 책이고, 이론적으로는 두 사람 사이의 대립과 갈등이 진짜로 무엇이었나 알게 되는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재미가 있는 책입니다. 

 

 

 

  3. 언어의 감옥에서 

  저는 이 책을 읽기 전에 자이니치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었습니다. 이 책을 접하고 나서야 비로소 이런 문제가 있었구나 하는 것을 알게 되었지요. 그래서 제게는 매우 소중한 책입니다. 물론 평이하게 써진 것은 물론이거니와 깊이도 겸비하고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4. 데리다평전 

  어려운 걸로 치면 인지자본주의와 거의 동급인 책이었습니다. 대체 이것은 한글인가 번역된 영어인가 아니면 그냥 영어인가! 제 눈을 의심하게 만드는 책이었지요. 어쨌든 나름 꼼꼼하게 읽어서 많은 부분을 이해했다고는 생각합니다. 

 

 

 


  5. 인지자본주의 

  어려워도, 베스트는 베스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번째손]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네번째 손
존 어빙 지음, 이문희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알라딘 신간평가단 9월 주목신간> 

  단적으로 말해 그리 큰 감흥을 느끼지 못했다. 책을 읽는 내내 처음부터 끝까지, 이렇게 얽힌 이야기들을 대체 내 나름대로 풀어가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하는 것일까를 고민하게 만든, 그야말로 조금 이상한 소설이었다. 내가 그의 작품 스타일 또는 현재 미국에서 쓰여지는 소설의 경향에 익숙하지 않은 탓도 있고, 요즈음 소설 자체를 멀리한 탓도 있어서 그렇겠거니 생각하는게 자존심은 상해도 그만큼 마음이 편하다.

  제목에서 바로 보이는 바와는 다르게, 사실 이 소설 전체를 전개해나가는 힘은 손에 관련된 이야기라기보다는 주인공이 이런저런 여자와 겪어나가는 성관계들이다. 물론 소설에서 꼭 이해되는 것만 보여져야한다는 법은 없다. 그러나 그들은 왜 관계를 맺는가? 에 대한 적절한 대답은 결코 주어지지 않는다. 더군다나 이 소설의 가장 마지막 장면을 제외한 모든 국면에서 주인공은 수동적이다. 책에도 직접 그런 표현이 등장한다. ‘그는 여성의 말을 거절하지 않는다.’ 는 식으로. 그렇다면 반대로, 이런 사람과 관계를 맺고싶어하는 그들의 생각은 대체 무엇일까? 단지 그가 매우 겉보기에 매력적이라는 것만으로 설명이 되는 것일까?

  이 소설의 제목이 네번째 손인 관계로, 성관계보다는 훨씬 덜하지만 어쨌든 손 또한 중요한 소재이다. 주인공을 비롯한 거의 모든 등장인물은 특정한 페티시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특히 손에 대한 페티시즘이 강하다. 손이 없는 주인공은 물론이거니와, 그 없는 손에 대해 호기심을 표하는 많은 여성들이 그렇고(그래서 그들은 주인공을 볼 때마다 꼭 그 쪽을 건드려본다! 고 언급되어있다), 특히 남편의 손을 아이에게 느끼게 해주고싶다는 이유로 남편의 손을 기증한 도리스에게 이런 손 페티시즘은 아주 결정적이다.

  사실 그리 바람직한 생각은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이 소설을 보면서 내내 드는 생각은 이 사람이 이런 소재를 떠올리는 데 어떤 다른 문화상품을 소비했을까 하는 생각이었다. 미국 작가이기에 그럴 일은 없겠구나 싶으면서도, 그가 이 소설에서 보여주는 ‘나름의’ 성장과정은 일본의 미소녀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이른바 미연시에 등장하는 남자주인공들이 보여주는 정신적 변화과 크게 다르지 않다. 독자가 납득할 수 없는 이유들에 의해 주변의 여자들이 그에게 구애를 하고, 그것을 거절하지 않으면서 모든 이와 성관계를 맺다가 결국에는 엔딩 부분에서 한 여자에게 달려가는 식의 구도는 동급생 이후의 미연시에서 흔하다 못해 진부해 빠진 공식 같은 서사이다. 결정적으로 그것을 ‘긍정적 전환’, 또는 ‘성장’이라는 말로 포장하려 애쓴다는 점에서 미연시와 이 소설의 작가는 교집합을 형성한다. 이런 캐릭터를 그저 남자들의 성적 판타지로 보아야 할지. 그렇다면 이는 젠더 평등의 시각에서 보았을 때 크게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여튼 여러모로 바람직하지는 않아보였다.

  그리하여, 이 소설에 대해서는 크게 할 말도 없고 덧붙일 것도 없다. 모든 인물은 내가 전혀 납득할 수 없는 이유들로 예측할 수 없는 행동을 하며, 그래서 내 머리속에는 이 모든 사건들을 묶을 수 있는 몇 가지 유형화된 서사가 전혀 생각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나는 이 글에 대한 독해에 실패했음을 겸허하게 고백하는 바이며, 앞으로도 다시 이 작가의 소설을 볼 일이 없지 않을까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irlishheaven 2011-12-06 2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그냥 한번 들어와봤는데 와.. ㅋㅋ 리뷰 진짜 솔직하게 썼닼ㅋㅋㅋ 다시 볼 일이 없을거라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킁킁 어디서 쿨워터 냄새 나요 킁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