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균 쇠 (양장)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며칠동안 마음의 짐으로 붙잡고 있던 과제를 끝냈다. 그 이름의 유명세만큼 두께도 어마어마한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를 드디어 완독한 것이다! 양장의 압박, 자비없는 줄간격, 끊임없이 쏟아지는 정보에, 열 페이지 스무 페이지씩 읽은 뒤 덮어놓고는 한창 딴짓을 하다가 다시 펼쳐들기를 반복한지 벌써 한 달이나 지났다. 대여기간 연장까지 해놓았던 도서관에 이 책을 반납하려 하니, 카운터에 앉아있던 직원은 “연체하셔서 3일 뒤인 7월 7일부터 도서 대출 가능합니다.”라고 사무적으로 말했다.


두께나 정보량에 비해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 내용은 몇 문장으로 줄일 수 있다. 국가나 민족 간에 생겨나있는 현재의 차이는 생각보다 아주 오랜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는 것, 농사를 빨리 짓고 가축을 빨리 키우기 시작하면 식량생산성이 비약적으로 올라가 대규모의 인구부양이 가능해진다는 것, 그러면 식량 생산을 하지 않고 다른 일에만 종사할 수 있는 사람들이 생겨난다는것, 이들이 전문가 집단이 되어 “쓸데없는” 것들에 몰두하면서 문자와 기술과 정치가 고도화된다는 것, 이렇게 발달된 문명과 대규모 인구가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킨다는 것, 그 과정에서 동물에 있었던 각종 질병이 사람에게 옮겨가면서 새로운 방비/면역체계가 만들어진다는 것, 마지막으로 이 과정을 이미 거친 사회와 그렇지 않은 사회가 만났을 때, 전자가 항상 후자를 대체한다는(정복이든 융합이든) 것이다.


그런데 농경과 가축을 시작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은, 다른 어떤 것도 아닌 처음 자리잡은 지역의 기후다. 먹을만한 식물과 동물이 이미 있고 인간의 노력으로 적당히 개량할 수 있으면 된다. 쌀과 밀과 보리와 소와 돼지는 그렇게 먼 옛날에 인간에게 선택되었다. 아무리 개인이나 집단이 머리가 좋아도, 누군가의 아이디어로 시대를 뛰어넘는 엄청난 기술이 나와도, 농경과 가축의 벽을 넘지는 못한다. 또한 대부분의 기술은, 그 기술을 받쳐줄 다른 기술이 개발되어있지 않으면 놀이문화나 신기한 도구 정도로 간주되다 곧 잊혀지고 만다. 그래서 지역 또한 문화와 기술의 수준을 순차적으로 반영한다. 문제는, 안타깝게도 이 세상에 지금까지 태어났던 그 어떤 사람도, 그리고 앞으로 태어날 모든 사람도 자기가 태어날 곳을 골라서 태어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다.


취향에만 맞는다면, 이 책의 내용을 아주 재미있게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하나 있다. 바로 게임 <문명>을 하는 것이다. 문명은 국가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기원전 4000년에서 시작해 기원후 2050년에 끝나는데, 그 동안 플레이어는 지도 위에 도시를 건설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인구를 부양하고 군대를 양성해 세력을 확장하거나 생존해야 한다. 이들 중 하나라도 빼먹고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발전이 지체된 상태로 엔딩을 맞이하거나 아니면 전쟁을 선포해오는 다른 세력에게 멸망당하고 만다. 반대로 승리 조건도 다양하다. 문화적으로 번성한 국가가 돼서 다른 세력의 도시를 빼앗아올 수도 있고, 2050년이 되기 전에 모든 경쟁자들을 멸망시켜서 승리할 수도 있으며, 처음으로 우주선을 만들어 쏘아올려 승리할 수도 있고, 마지막 턴이 끝난 뒤에 가장 인구가 많거나 번성한 도시가 많아도 승리한다.


그런데 잘 성장하는 세력이 되기 위해 제일 중요한 것은 최초의 입지다. 쌀, 밀, 소, 돼지, 양 등 식량에 보탬이 되는 특수자원과 가까운 적당한 언덕, 적당한 평지에 먼저 자리를 잡으면, 경쟁자들보다 더 빨리 성장할 수 있다. 반면 사막에 떨어지면 식량이 없어서 성장할 수가 없다. 정글 한 가운데 떨어지면 주변을 개발하기 위해 나무를 벨 수가 없어서, 철기 기술을 발명할 때까지 기다릴 수 밖에 없다. 섬에 자리잡으면 내가 사는 땅에는 자원이 얼마 없고, 배를 만들어 주변으로 진출할 때까지 발전을 기다려야만 한다.


문제는, 내가 부모를 골라서 태어나는 게 아니듯, 내가 어느 곳에 자리를 잡을지 초기에 선택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지도의 특성과 자원분포를 평준화시킨 뒤에 시작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편집하는 등의 방법이 있긴 하지만, 공정하지도 않고 우리의 삶과 비슷하지도 않으므로 제쳐둔다). 그렇다고 원하는 곳을 오랜 시간 찾아 헤메다보면 동물에게 잡아먹히는 일도 생기고, 최초의 도시를 너무 늦게 세우게 되면 경쟁자들에 비해 시작시점이 뒤쳐지니 그걸 따라잡는 노력도 만만치 않다. 특히 게임 플레이 초기의 기술격차는 곧바로 군대의 격차로 이어지기 때문에, 빨리 자리를 잡지 못하면 초기에 컴퓨터 경쟁자에게 정복당해 게임오버당하기가 너무 쉽다. 운나쁜 곳에 자리잡고 열심히 해봤자, 나는 이제 막 중세시대 왕정에 들어서서 말 탄 기사를 겨우 만들기 시작할 때 저 멀리서 미국 해병대와 탱크가 공격해오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총, 균, 쇠』는 이렇게 게임에서나 나올법한 ‘문명 사이의 충돌’이 벌어졌던, 또는 벌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는 역사적 사건들을 계속 보여준다. 농경을 시작한 남중국 지역의 사람들이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를 거쳐 태평양의 섬 전역으로 퍼진 과정, 농경과 문자와 관료제를 가장 처음 만든 서남아시아 사람들이 주변으로 기술과 정치제도를 전파하는 과정, 그리고 이런 사건의 정점에 있는 유럽인의 아메리카 정복 과정까지. 제일 마지막 사건을 제외한 나머지는 역사 시대 이전에 벌어진 사건이기 때문에, 그 과정을 합리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고고학/지리학/생물학/언어학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동원했다. 책을 쓴 다이아몬드는 이것을 “역사의 과학적 연구”라고 부르고 있었다.


아주 재미있게도, 우리는 그 “과학적 역사연구”를 현대과학기술이 집약된 컴퓨터를 통해 게임으로 접할 수 있게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게임 속 장면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대체로 내가 패배하던 순간의 화 나는 장면이긴 했지만. 그렇다면, 역사에 관한 과학적 연구성과를 알기 위해서 우리에게 놓인 선택지는 두 가지인 것 같다. 하나는 700페이지에 달하는 책을 한 달 동안 붙들고 있는 것. 다른 하나는 스팀에서 문명을 다운받고 한 달 동안 “문명하시는” 것.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이크 2022-07-31 0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리하시는 글솜씨와 해박함이 놀라워요. 혹시 왓챠피디아나 인스타그램 등으로 독서록 남기시는 계정이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박효진 2022-08-02 21:38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이 블로그가 제 독서록을 만드는 계정이고, 다른 곳은 이용하고 있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