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금·은·동·철의 네 시대로 구분한 것은 타락한 시대의 시인들이 만든 일이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최초의 그리스인들에게 황금시대라는 말을 부여했던 것은 이 시적인 황금인 곡식이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그 시대의 순수함이라고 말하는것은 폴리페모스의 극도에 달한 야만성에 불과했다. 이미 여러 차례 말했던 것처럼 [296, 338, 503] 플라톤은 그들을 최초의 가부장이라고 인식했다. 그들은 따로 떨어진 각자의 동굴에서 아내와 자식들과만 살았다. 호메로스에 따르면 폴리페모스가 오디세우스에게 말했던 것처럼 그들은 다른 사람들의 일에 간섭하지 않았던 것이다. - P430
씨족들의 자연법은 신의 섭리에 의해 민중들이 개별적으로 준수했던 것인데, 서로 접촉하면서 그들 모두가 공통적으로 지켜야 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146]. 즉 로마의 약초로 만든 관(冠)을 써서 신성하게 된 로마의 전령이 라티움의 다른 민족들로부터 해를 당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그들이 서로 몰랐다 할지라도 동일한 관습을 시행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것이다. [551] 이렇게 가부장들은 종교를 통해 그들 가족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즉 가족은 종교를 통해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이다. - P436
그 당시에 귀족들은 "법적 소유권자"였는데 이제 그러한 사실은 토지를 구입한 소유자가 그 토지에 대한 반환 청구를타인으로부터 받았을 경우 그들을 돕고 지켜줄 수 있는 "권위를인용할 수 있는"(laudatio auctoritatis) 형태로 남아 있게 되었다. 이제 그러한 공민적 소유권은 재산 반환의 소송에 의해 도움을 받을수 있는 사적인 사회적 소유권으로 남아 있게 되었다. 그것은 단지 소유하는 것만으로 유지되는 소작권과는 구분된다. [622] 이와 같은 방식으로 중세 돌아온 야만의 시대에 봉토의원한 본성도 돌아왔다. 프랑스 왕국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시 프랑스 왕국을 구성하는 여러 지역은 왕에게 복종하는 영주들의 자치권역이었으며, 그 영주들은 아무런 공적 채무도 갖지 않는 자신들의 재산을 소유하고 있었던 것이 확실하다. 그 뒤 계승이나 반역이나 후계자 단절로 인하여 그 모든 재산은 왕국의 소유로・병합되었으며, 영주들의 모든 재산은 "최고의 법에 따라"(ex iure - P514
optimo) 공적인 과세의 대상이 되었다. 왜냐하면 결혼이나 양도를 통해 봉신들의 수중으로 들어가게 된 왕의 집이나 땅도 과세나공납의 대상이 되기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렇듯 세습 왕국에서 "최고의 법에 따른" 소유권은 점차 공적인 채무의 대상이 된 사적소유권과 혼동이 되기에 이르렀고, 그것은 로마 황제의 가산이었던 왕실 재정이 점차 국고와 혼동되기에 이른 것과 마찬가지이다[1076]. - P515
부족이라는 단어인 "트리부"(tribu)로부터 "공납"을 뜻하는 말인 "트리부툼"(tributum)이 나왔다. 왜냐하면 도시 국가에서 평민은 부족을 뜻했는데, 그들은 지배하는 원로원으로부터 명령을 받기 위해 모였고, 가장 중요하고 가장 빈번한명령이 국고에 세금을 납부하라는 요구였기 때문이다. - P517
[764] 따라서 헤라클레스, 에반데르, 아이네이아스와 같은 이름들은 그리스로부터 라티움으로 들어왔으며 그것은 고대 민족들의다음과 같은 관습들을 설명해준다. [765] 먼저, 야만의 시대에는 민족들마다 그들 고유의 관습에애착을 갖지만 문명화가 시작되면서 그들은 외국의 상품이나 복장 - P631
은 물론 외국어도 좋아하게 된다. 따라서 로마인들은 그들의 신 피디우스를 그리스의 헤라클레스로 바꾸었고, "피디우스에 걸고"라는 원래의 맹세 대신에 "헤라클레스에 걸고!", "폴룩스에 걸고!", "카스토르에 걸고!" 같은 표현이 도입되었던 것이다. [766] 다음으로, 민족들마다 특히 자신의 기원이 야만적이었다고 믿을 이유가 있을 때 명성 높은 외국에 기원을 두고 싶어 한다는 민족의 자부심 때문에[125] 로마인들은 그들의 참된 창시자인피디우스를 그리스의 창시자인 헤라클레스로, 그들의 전원 시인들의 시적 인격체를 아르카디아의 에반데르로 자발적으로 바꿨다. 그와 비슷하게 중세의 돌아온 야만 시대에 조반니 빌라니는피에솔레를328) 아틀라스가 건설했고, 트로이의 왕 프리암이 게르마니아를 다스렸다고 말했던 것이다. 529)[767] 1번째로, 민족들마다 외국의 물건을 봤을 때 자국어로확실하게 표현할 수 없다면 필연적으로 외국어를 사용한다. [768] 마지막으로 네 번째, "시적 논리학"에서 논했던 것처럼[410] 최초의 인간은 대상으로부터 특성을 추상해내지 못했다. 추상적으로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특성을 말할 때 그 대상 자체를 말했다. 라틴어에는 이에 관한 명백한 사례가 많다. - P6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