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미국은 남베트남에 1만 6000명의 고문관을 두었는데, 이는 케네디가취임할 당시 600명과 비교해 크게 늘어난 수였다. 남베트남의 모든주요 군부대에 미군 장교가 배속되었고, 미국 고문관은 베트남공산당이 통제하는 남부의 베트남민족해방전선이나 하노이를 상대로 하는 전투에 직접 참여하지 않기로 했지만, 남베트남의 전쟁에서 점차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가 되었다. 미국 항공기와 헬리콥터는 북베트남에 기습 공격하는 것을 비롯해, 베트남 병력을 수송했다. 또한 남베트남 반군과 그 지지자를 굶주리게 하려고 농작물을 파괴하는 데 제초제를 사용했고, 베트남민족해방전선의 통제에서 "구출한 농민이이주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웠다. - P451
베이징은 워싱턴에 미국이 북부를 침공하지 않는 한 자국 군대는 개입하지 않겠다는 신호를 보냈다. 국내외적으로 점점 혁명적 자세를 취했음에도 마오쩌둥은 미국의 힘을 적잖이 존중했다. 게다가 소련과 벌이는 대결이 악화하는 상황-대개마오쩌둥의 행동 때문이었음을 언급해야겠다-에서, 마오쩌둥은 인도차이나에서 전면전을 벌이고 싶은 생각이 없었다. 그러므로 중국은 북베트남과 남부의 베트남민족해방전선이 중국의 원조를 받아 미국에 맞서 "가차 없이 싸우면서 협상하지 못하도록 구워삶는 방침을 세웠다. 또한 베이징은 한반도에서 경험한 바로 모험을 삼가는 법을 배웠다. - P457
수카르노가 이끄는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는 미국이 해방의 조력자로 나선 가운데 1949년 네덜란드에서 독립했다. 워싱턴이 네덜란드에 옛 식민지가 완전히 독립하도록 압력을 가한 이유는 수카르노가 확고한 반공주의자로 보였기때문이다. 1948년 수카르노 군대는 강력한 인도네시아공산당(PartaiKomunis Indonesia, PKI)과 짧은 내전을 벌여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수카르노가 전 세계의 반식민 투쟁에 더 큰 관심을 보이며 국내 경제 정책을 급진적으로 바꾸자, 인도네시아는 미국이 총애하는 대상에서 떨어져 나갔다. - P463
1960년대 중반에 그토록 많은 제3세계 지도자가 전복된 것은제3세계 운동 전체의 위기를 의미했다. 1965년 가을 알제에서 열리기로 예정된 아시아·아프리카회의가 무산된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제3세계 이상이 외면되자, 베트남과 인도차이나에 접근하는 미국의 태도가 단호해졌다. - P467
미국에서 베트남의 진정한 비극은 그것이 양쪽이 모두 실패하는 촉매가 되었다는 것이다. 존슨이 바꾼 나라는 20세기 어느 때보다 국내에서 무엇을 이룰 수 있는 - P474
지에 관해 방향성을 잃고, 해외에서 벌어지는 사태에 어떻게 영향을미칠 수 있는지 확신하지 못하게 되었다. 베트남의 진정한 비극은 당연히 베트남 자체의 비극이다. 한반도처럼 베트남은 냉전으로 갈가리 찢어졌다. 베트남공산당의 잔인성과 발전 계획이 실패했기 때문이기도 했고, 미국의 점령과 폭격 때문이기도 했다. 한국과 차이가 있다면, 베트남은 베트남공산당이 민족주의 활동을 거의 독점하고, 남베트남 지도자들이 스스로 믿을 만한정부를 세울 능력이 없었다는 점이다. - P475
세계 냉전의 측면에서 보면, 미국의 인도차이나 개입은 소련이미국의 지배와 자본주의적 착취에 대한 보편적 대안으로, 다시 소련을 내세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헝가리 봉기에서 베를린 장벽과콩고 위기에 이르기까지 소련은 뒤처지는 듯 보였다. 미국의 힘만이아니라 동유럽의 불만, 중국과 단절, 제3세계의 탄생으로 도전을 받은소련과 그 체계는 세계가 돌아가는 방식과 어긋난 것처럼 보였다. 베트남은 소련이 힘을 되찾을 기회를 주었다. 이런 회복이 소련의 힘보다는 남의 실패를 통해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이 시점에서 별로 중요한 이야기가 아니다. 냉전 시기에 자주 그랬듯이 양극의 측면에서 보면, 별로 다르지 않은 결과다. 미국의 손해는 소련의 이득으로 보였다. - P4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