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이데올로기는 이데올로기로서 자신의 형태를 보존하면서도변화한다(하지만 이는 어떠한 감각조차 가능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 이데올로기는 철학 자체에 대해 헤겔이 지적했듯, 자신의 시간으로부터 전혀 튀어오르지는 않으면서도(왜냐하면 이데올로기는 거울반영의 포획 내에 사로잡힌 그래서 바 - P584

로 인간들이 그 안에 사로잡히게 되는 것인데 이 시간 그 자체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역사 내에서 일어나는 바를 반영하고 표현하는 부동의 운동이다. 바로 이러한 본질적 이유로 인해 1917년 러시아혁명의메아리로부터 만들어진 혁명적 인간주의가 오늘날 다양한 정치적 혹은 이데올로기적 관심사들이 관심사들 중 한편은 이 혁명적 인간주의의 기원들과 여전히 관계를 맺고 있으며, 다른 한편은 이 기원들로부터 다소간 멀어져 낯선 상태로 존재해 있다의 이데올로기적반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 P585

인식론적이고 비판적인독해 내에서, 우리는 이 말해진 단어 아래에서 이 단어가 감추고 있는침묵을 듣지 않을 수 없으며, 텍스트의 검게 칠해진 부분noir [충만함혹은 종이 위의 ‘글자] 속에서 거의 섬광 같은 짧은 시간 동안 매달려있는 엄밀한 의미의 하얀 부분blanc[공백 혹은 (‘글자‘를 제외한) 종이의 여백]을 보지 않을 수 없다. 이와 상관적으로, 외양적으로는 연속적인, 하지만 사실은 하나의 억압적 담론의 위협적 침입에 의해 중단되고 복속된 이러한 담론하에서 우리는 참된 담론의 침묵하는 목소리를 듣지 않을 수 없으며, 우리는 그 심원한 연속성을 복원하기 위해이 참된 담론의 텍스트를 복원하지 않을 수 없다. - P589

엥겔스의 정식 안에서 우리는 최초로, 그리고 아마도 고전적 텍스트들 전체에서 유일하게, 마르크스의 정식에 대한 설명을 명료하게 발견하게된다. "머리로 걷던 화학을 두 발로 서게 다시 돌려놓기"는 엥겔스의텍스트에서 그 어떤 잠재적 모호성 없이 다음을 의미한다. 이론적 토대를 변화시키기, 화학의 이론적 문제설정을 변화시키기, 이전의 [날은] 문제설정을 하나의 새로운 문제설정으로 대체하기. 이것이 바로그 유명한 ‘전도‘가 의미하는 것이다. - P612

명료히 확립된 하나의 과학이 급격한 변화à-coups 없 - P618

이 발전할 때, (인식)대상의 변형은 연속적이고 진보적인 하나의 형태를 띠게 된다. 대상의 변형은 대상 내에서 이전에는 조금도 가시적이지 않았던 ‘새로운 양상들‘을 가시적인 것으로 만든다. 그래서 이 대상은 아직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우리가 탐험하게 되는 그러한 지역들에 대한 지리학 지도와 같은 것이다. 지도 안의 빈 부분들은 새로운 세부지점들 그리고 설명들로 채워지지만, 지역의 이미 인지되고인식된 경계contour 일반을 수정하지는 않는다. - P619

정치경제학의 고유한 이론적 구조는, 주어진 현상들의 동질적 공간과 이데올로기적 인간학-이 정치경제학의 공간의 현상들이 취하는 경제적 특징을 욕구의 주체로서의 인간(호모 에코노미쿠스라는 소여) 내에 정초하는사이의 무매개적이고 직접적인 관계 맺음에 달려 있다. - P635

소비는 주어진 한 사회의 인간들의 개인적 소비는 물론, 욕구 개념의 보편적 활용에 할애하기 위해 우리가 생산의 욕구를 충족하는 소비로 정의해야 할 그러한 생산적 소비 또한 포함한다. - P641

마르크스는 고전 정치경제학에는 부재한, 절대적으로 본질적인 두 가지 구별을 이끌어냈다. 불변자본과 가변자본 사이의 구별, 그리고 두 가지 생산부문 즉단순재생산의 토대 혹은 확대재생산의 토대 위에서 생산조건의 재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1부문과 개인적 소비의 대상에 대한 생산을 목적 - P641

으로 하는 2부문 사이의 구별이 그것이다. - P642

이 "주어진 한 사회 내 생산행위자들 간 고정된 관계가 바로 생산관계이며, 이 생산관계에 대한 마르크스의 고찰 ‘본능적‘instinctif예감이라는 형태하에서가 아니라, 다시 말해 ‘모르는 상태‘insu라는태하에서가 아니라, 개념과 그 결론들이라는 형태하에서의 고찰은 고전파 경제학의 대상을, 그리고 이 대상과 함께 [대문자]정치경제학자체로서의 과학 자체를 전복한다.
마르크스의 고유성은 생산의 우위를 주장했으며 심지어 이를 보여주었다는 점에 있는 것이 아니라(리카도 또한 자신의 방식으로 이미 - P650

이를 행했다), 생산이라는 개념에 예전의 개념이 지시했던 대상과는발본적으로 다른 하나의 대상을 지정함으로써 생산이라는 개념을 변형했다는 점이다. - P651

경제적 생산 내에서 이루어지는 변형에 종속된 외부적 자연 [자연이라는 외부]의 ‘공격 양식‘ [자연을 이용하는 양식]을 고정시킴으로써, 이 ‘노동수단‘은 마르크스주의적 분석 경제학만이 아니라 역사학에서도의 기본 범주인 생산양식을 결정한다. 그리고 동시에 이 ‘노동수단‘은 생산적 노동의 생산성 정도를 확정한다. - P658

마르크스에게서 생산의 사회적 관계는 인간들만 무대 위에 등장시키는 것이 아니며, 특수한 ‘결합들‘combinaisons내에서 생산과정의 행위자들과 생산과정의 물질적 조건 또한 무대 위에 오르게 만든다. - P660

자본주의적 생산의 세계 내 경제적 ‘소여‘의 육중한massives
‘명증성‘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바로 이 물신화된 ‘명증성들‘의 ‘육중함‘이라는 특징 때문에, 경제적인 것의 본질에 대한 접근은 이 경제적인 것이라는 개념의 구축을 통해서만, 다시 말해 경제적인 것의 지역이 전체 구조 내에서 차지하고 있는 장소의 명증화를 통해서만, 따라서 이러한 지역과 다른 지역들(법-정치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상부구조) 사이에 존재하는 절합의 명증화를 통해, 그리고 경제적 지역 자체에서 다른 지역들의 현존(혹은 효과성) 정도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 P670

어떠한 개념을 수단으로 하여 우리는, 특정 지 - P685

역의 구조에 의해 주어진 이 지역의 현상들에 대한 결정으로 식별된, 그러한 새로운 결정형태를 사고할 수 있을 것인가? 더욱 일반적인 방식으로 말하자면, 어떠한 개념을 수단으로 하여 우리는, 혹은 어떠한 개념들의 집합을 수단으로 하여 우리는, 하나의 구조가 지니는 요소들에대한 결정을, 그리고 이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는 구조적 관계들을, 그리고 이 구조의 효과성 efficace에 의한 이 관계들의 효과들effets 전체를 사고할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더욱이, 어떠한 개념을 수단으로 하여 우리는, 혹은 어떠한 개념들의 집합을 수단으로 하여 우리는, 하나의 지배적 구조에 의해 종속된 하나의 구조의 결정을 사고할 수 있는가? 달리말해, 어떻게 구조적 인과성이라는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가? - P686

단지 우리는 인식의 추상 내부에서, 구조라는 개념과 이 구조의 가장 일반적인 효과들의 개념으로부터 이 구조의 개별적particuliers 효과들의 개념들로이행하는 것일 뿐이다. 그 어떤 순간에도 우리는 개념의 ‘전개‘ 혹은특수화spécification를 사물의 전개와 개별성 particularité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절대적으로 넘어설 수 없는 경계를 뛰어넘는 것이 전혀 아니다. 그리고 이는 다음과 같은 정당한 이유에서 그렇다. 이러한 경계는 당연히 넘어설 수 없는 것인데, 왜냐하면 이 경계는 전혀 경계가니기 때문이며, 왜냐하면 이 경계는 하나의 경계일 수 없기 때문이며,
왜냐하면 이 경계는 하나의 사물에 대한 개념의 추상과 이 사물의 경험적 구체(경계라는 개념의 사용을 우리에게 허락해줄 수 있는) 사이의 (정신적인esprit 혹은 현실적인réel) 공통의 동질적 공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P695

마르크스는, 의지vertu가 아니라 강제force에 의해 본질과 현상이라는고전적 쌍의 모호성을 떠맡음으로써, 그리고 ‘현실적 운동과 외양적 운동‘의 현실적인 것이 취하는 ‘내부와 외부‘라는 형태하에서, 그리고 ‘내밀한 본질‘과 구체적이고 현상적인 주체들에 의해 지각되고 조작된 - P696

manipulées) 결정들이라는 형태하에서, 현실에 대한 인식과 이 현실 자체 사이의 인식론적 차이를 현실réalité 속으로 위치전환함으로써,
질과 현상이라는 고전적 쌍에 대한 (솔직하게 말하자면 거의 불가피했던) 활용으로 빠져버릴 수밖에 없었다. 이는 당연히도 마르크스의 전임자들이 발견했거나 발견하지 못했던 바에 대한 개념을, 혹은 마르크스를 자신의 전임자들로부터 구별해주는 차이의 개념을 제공하는것이 마르크스에게서 문제가 될 때 우리가 지각할 수 있었듯, 마르크스의 과학에 대한 개념화에 모두가 예상할 수 있듯 결론들 [이론적 변형]을 초래했다. - P6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