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스피노자의 철학은 그것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17세기 말 이래 지속 - P233

적으로 영향을 끼쳐왔다. 그러나 모든 위대한 철학체계가 그렇듯이, 그가끼친 영향, 그에 대한 해석은 각 시대, 각 맥락에 따라 다른 얼굴로 나타났다. 계몽의 시대였던 18세기에 스피노자는 플라톤과 기독교로 대변되는 서구의 전통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세계를 연 철학자로서 각광받았고, 또 그만큼 반(反)계몽주의자들에게는 부정의 대상으로서 경원시되었다. 이후에도 그의 얼굴은 계속 달라지거니와, 그의 사유가 철학적으로 가장 심도 있는 뉘앙스를 띠게 되는 것은 18세기 말~19세기 초의 독일 고전 철학(과20세기 후반 이래의 프랑스 철학)에서였다. - P234

스피노자 비판자들이 그의 사유에서 초점을 맞춘 것은 ① 모든 것을 이성적으로 해명하고자 하는 그의 합리주의, ② 인격신/초월신을 부정한 그의67)신개념, 즉 범신론, ③ ‘숙명론‘으로 이해된 그의 결정론, ④ 그리고 기독교와 "성서"에 대한 그의 급진적 비판이었다. - P2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