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다른 책에서 볼 수 없는 부분

제주는 육지의 정치 권력으로부터 많은 제한을 받아왔으며 특히 중앙에서 파견된 관료 위주의 행정력과 비공식적 지도자로서의 귀양 선비들의 활동은 제주도의 삶에 무시 못할영향력을 미쳐왔다. 16세기 이후부터 1900년 전후에 걸쳐 일어난 많은 민란에서 보여주듯이 제주는 외적 권력에서 부단히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역사를 보임과 동시에 외적 권력에 아부하는 역사의 이중적면을 보이고 있다. - P308

육지가 관개 수리 사업과 가축의 힘을 토대로 한 남성 노동 중심의미작(米) 농업을 발전시켜온 반면, 제주는 생태적으로 특히 토질과강우량 등에 있어 여성 노동 중심의 밭농사 위주로 생업을 발전시켜왔던 것이다. 여기에 해변 지역에서의 잠수업이 첨가되어 제주는 명실공히 여성 노동력 위주의 생산 체계를 이루어왔다. 이것이 제주 사회가 육지와 매우 다른 문화 구조를 형성케 된 주요 기반이라 하겠다. 또한 섬이라는 지형적 변수는 제주 문화의 또 다른 독자성의 근거가 되어왔다. 대중 교통이 편리해지기 전인 최근까지 육지와의 왕래가 매우 한정되어 있었으므로 제주는 외부에 대한 지향성과 폐쇄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문화를 형성해왔다. - P309

1970년대로 들어서면서 국가의 제주도 경제 개발 기본 방향은 3차산업 중심으로 바꾸어진다. 정부는 제주도를 국제 수준의 관광지로개발한다는 목표 아래 ‘관광 종합 개발 계획‘을 작성하고 특히 외국인 관광객의 유치로 외화 수입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따라서 1, 2차 산업 개발을 위한 투자는 3차 산업 위주로 재편되었으며, 동시에육지부와 외국의 대규모 자본이 제주에 들어오게 되었다. 이는 제주경제의 이중 구조적 특성을 창출하였는데, 즉 국내 자본과 국외 자본을 중심으로 한 관광 서비스 산업과 제주 자본과 노동에 근거한 1차산업의 이분화가 그것이다. 한편 1970년대 이후 이루어진 급격한 경제 성장은 제주의 고등 노동력을 대거 육지로 이동시킨 결과를 초래하였다. - P310

전통적으로 일부다처제는 여성의 낮은 지위와 관련이 있다고 하는학설이 있다. 특히 부권제 가족내의 여성의 불안한 위치와 남편의 재산을 갖기 위한 부인들간의 경쟁과 갈등 등의 주제로 일부다처제 사회에서의 무력하고 불행한 여성이 묘사되고 있다(D‘Andrade, 1966 - P328

Martin and Voorhies, 1975).
용마을의 경우, 이런 상식적 경우와는 반대의 특징을 보여준다. 여성들의 경제적 자립이 가능하고, 또 실제로 자립하고 있는 모중심적사회에서 오히려 무력하고 불안한 남편의 위치에 대한 해결책 또는보완책으로서의 일부다처제가 장려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 P329

자주성이 또한 이 마을 여성들의 특징이다. 이들은 상부상조하지만 남에게 의존하지 않는다. - P330

용마을의 유교는 윤리 체계라기보다는 남성 우위의 사상과 이를 뒷받침하는 부계 조상 제사의 복합체이다. 즉 토착화 과정에서, 유교는 윤리 체계에서 교조적 남존여비의 이데올로기로 변형.
전승되어오고 있음을 알게 된다. - P335

양편 비우세의 사회는 남녀에게 기회 균등이 이루어지는 평등의사회는 아니다. 남녀 불평등의 사회인 점에서 세계에 편재한 대부분의 남성 중심의 사회와 비슷하나, 남성 지배적이 아닌 점에서 특이하다. 이는 남녀의 세계가 분리되어 있으나 두 세계가 최소한의 자치권을 가진다는 점에서, 남성 지배적 사회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 P337

100년간의 근대화를 통하여, 특히 최근 10여 년간내, 경제적으로는 국가 주도적 자본주의 체제로의 편입으로, 사회 문화적으로는 도시화와 대중 교육 및 대중 매체의 보급에 따라 제주는급속히 육지 경제에 종속되고 육지의 지배 문화에 동화되어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제주의 경우는 기질적으로 여성들이 더욱 활달하고 ‘일‘ 중심적이어서 현대적 직업 활동에 적합한 면을 보이지만 이러한 기질과 역할의 상응성은 국가의, 그리고 육지형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의일방적 규제 속에서, 그리고 제주도 문화 자체의 독특한 남성 우위이데올로기로 인하여 무시되어왔다. - P375

제주 여성들의 강한 생활력과 높은 적응력은 1970년대까지는.
지나치게 여성 노동이 강요되기는 했으나 상당히 발휘되었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가부장적 권위주의에 바탕을 둔 체제 아래서 여성적자질은 본격적으로 억압되기 시작했으며 여성상은 왜곡되고 있다. - P3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