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관념과 그림자의 거울방을 깨고 나가서 실전으로 공부하는 방식을 묻는 일이다. ‘어떤 틈 속으로 스며든 우연찮은 타자성의 체험’에 자신을 넉넉히 노출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는 일이다. 자기체계의 안정화가 아니라 늘 새로운 변화에 기민하도록 탄력 있는 긴장의 상태로 스스로를 부단히 조율해 가는 일이다.

공부란 실로 돌이킬 수 없는 ‘변화’다. 이에 비하면 영리한 것은 ‘변화’가 아니거나 혹은 기껏 ‘변덕’이다. 아, 우리의 세속은 바잡*거나 반지빠른* 변덕의 세상이다! 물론 변덕은 몸이 아니라 생각이 주체일 경우에 가능한 삶의 태도인 것이다. 그러므로 공부가 변화의 비용이고 그것이 결국은 몸의 주체적 응답의 방식일 수밖에 없다면, 공부란 삶의 양식을 통한 충실성 속에 응결한 슬기와 근기일 수밖에 없다.

하루 종일 방 안에 틀어 박혀 생각만 하느니 다 쓸데없고 책 한 권이라도 제대로 읽는 게 낫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생각하되 배우지 않으면 위험하다(思而不學則殆)’는 말인데, 이 위험이란 곧 자기-생각을 ‘자연화’시키는 것을 가리킨다고 보아도 좋다. 그러나 무릇 인문학의 공부란 자기 자신의 생각들이 자연스럽지 않다는 사실을 사뭇 뼈아프게 깨치는 일련의 사건들이다. 혹은 괴델(K. G?del)을 원용해서 말하자면 그 생각의 일부로써 그 생각의 틀을 정당화할 수 없다는 사실에 부딪쳐서 자빠지는 일이다. 혹은 내 ‘생각’만으로는 영영 너의 ‘사실’에 접근할 수 없다는 사실, 그래서 내 생각의 막(膜)을 찢고 나가는 모종의 실천적 근기가 없이 들먹이는 관념적 상호소통의 이상이 종종 공소하다는 사실을 느리지만 지며리* 깨쳐 가는 과정들이다.

‘나’의 태초에 ‘너’가 있었다!

말할 것도 없이 인문학(人文學)은 문학(文學)을 그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문학은 일종의 문자학일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인문학 역시 그 문자학적 기반 위에서야 그 본령의 의미와 가치를 꽃피운다. 한글로 인문학 공부를 하는 이들이 한글을 익히고 쓰는 일은 모르스 부호나 에스페란토, 혹은 고대 중동의 어느 사어(死語)를 채집하고 배우는 일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 차이가 가리키는 언어적 심연을 정직하게 겪는 일은 인문학으로서의 공부길에서 놓칠 수 없는 알짜다.

우리 사회의 대화문화에 대한 비판은 이미 수위를 넘은 지 오래다. 그중에서도 사회적 약자들의 말에 먹통인 남성 기득권자들의 체계적 반(反)대화성은 우리 사회의 농축·급속·편파의 남성적 근대화나 군사주의와 맞물리는 현상으로 이른바 심층 근대화의 과제에서 우선순위다. 각종의 통계는, 특히 남자들의 비(非)대화성과 이와 관련된 여자들의 불만을 지목한다. 나는 1990년대에 일반 대중을 상대로 인문학운동을 벌이면서 ‘여자의 말을 배우기’라는 화두를 내걸고 생활인문학적 실천의 진장(振張)에 미력을 보탠 적이 있는데, 이것 역시 대화문화의 파행을 속으로부터 고쳐 보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긴 시간의 긴장은 필연적으로 공부의 슬럼프를 가져오게 되는데, 슬럼프의 양식을 살피면 바로 그 양식 속에 자신이 지닌 재능이나 기량의 한계와 조건이 투영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로써 공부라는 활동이 단지 인식론적 재능으로 환원될 수 없고 그것은 우선, 그리고 워낙 ‘사람의 일’이라는 발견(!)이 분명해진다. 그리고 이 발견에 근거해서 위기를 보다 슬금하게 넘어가는 실천적 미립*을 얻는 게 중요하다. 말하자면 우선 공부를 일종의 ‘순수 인식론주의’로 좁히는 태도를 지양하고, ‘공부도 사람의 일’이라는 지극히 평심한 이치를 명심하면서 매우 현실적으로 슬럼프의 출구를 모색하라는 제언이다. 여기에서 순수주의적 태도란, 예컨대 근기가 일천하고 공부의 이력이 짧은 상태에서 지나치게 무리한 정면승부를 고집하지 말라는 뜻과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