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서방세계가 본격적으로 문화적 도약을 이룬 것은 12~13세기를 거치면서였다. 여기에는 몇 가지의 내적 추동력과 두 가지의 중요한외적 추동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우선 이 시대에 이르러 새로운 농법(3포제 등), 다양한 건축물들의 구축(처음에는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그후에는 고딕 양식으로), 인구의 증가(1000년이 지나면서 인구가 비약적으로증가해, 1300년 정도가 되면 5000만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여러도시들의 성장과 대학들의 건설, 화폐 사용과 은행 설립, 수공업의 발달과 유통 증가(‘한자 동맹‘ 등) 같은 여러 현상들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 P689

중세의 철학은 그리스의 철학이 이슬람으로 전달되면서 그 기초가 마련되었다. 이슬람의 경우 철학과 신학이 매우 분명하게 구분되었는데,
이는 철학을 위해서는 다행이었고 또 과학적 작업들을 위해서도 좋은배경이 되었다. 이븐 시나와 이븐 루쉬드는 이런 과학적-철학적 탐구의절정을 이루었다. 서방세계는 이슬람에서 그리스 철학의 보고(寶庫)를발견함으로써 새로운 사유에 눈을 떴고 특히 12세기 이후 알베르투스마그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둔스 스코투스, 윌리엄 오컴 등을 비롯해 많은 거장들을 낳을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이런 흐름은 플로티노스에서 아리스토텔레스로의 이행을 보여주었으며, 중세라는 시대가 지적으로 점점 정교화해간 궤적을 보여준다. - P750

르네상스 시대 도식적으로 말한다면 15세기(‘콰트로첸토‘), 16세기(‘칭쿠에첸토‘)는 탄생의 시대였다. 이 시대에 오늘날까지도 우리의(지중해세계만이 아니라 다른 지역들까지 포함해) 삶을 주도하고 있는 여러 방식들-국민국가, 자본주의, 인본주의, 과학기술 등이 탄생했다. 이런삶의 양식들은 지중해세계에서 만들어졌지만 점차 전 세계의 주류가 되었고, 때문에 이 양식들을 반추해보는 것은 곧 우리 삶의 중요한 한 실마리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생들을 관류하고 있는 핵심은 무엇인가? 그것은 아마도 ‘인간적인 것의 (재)발견‘일 것이다. 국민국가의 탄생은 권력의 중심을 신과 교회로부터 왕과 국가로 이전시켰다. 자본주의의 탄생은 인간의 물질적 욕망을 긍정함으로써 새로운 생활을 도래시켰 - P753

다. 인본주의의 탄생과 인간의 자기 탐구의 시작은 이데아와 신으로 대변되는 전통적인 형이상학을 인간중심주의로 바꾸어놓았다. 과학기술의탄생은 인간을 자연의 노예가 아니라 주인으로 바꾸어놓음으로써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오래도록 파급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이 모든 변화들의중심에는 인간적인 것의 (재)발견, 더 정확히 말해 근대적 주체의 탄생이놓여 있다. - P754

기계론이란 세계를 하나의 기계로서-근대 철학자들이 즐겨 든 비유로 하면 하나의 정교한 시계로서 파악하는 것을 뜻한다. 달리 말해, 우리가 기계를 설명하기 위해 동원하는 개념들연장(延長), 무게, 힘, 속도 등 -만을 동원해서 설명하는 것을 뜻한다. 데카르트는 이런 설명을 극단적으로 단순화하기 위해, 즉 세계를 기하학으로 온전히 환원하기 위해, 모든 사물들을 ‘res extensa (extended thing)‘
로 파악했다. 이른바 범기하학화(pangeometrization)의 세계관이다. 질적인 것들은 모두 이 ‘res extensa‘로 환원되어 설명된다. 이렇게 극단적인환원주의로 파악된 세계에서 두 가지만이 전혀 다른 실체들로서 이해되는데, ‘res cogitans (thinking thing)‘와 신(神)이 그 둘이다. 신은 무한실체요 영혼(사유하는 실체)과 물질(연장을 가진 실체)은 유한실체들이다. - P832

신과 영혼을 제외한 모든 사물들은 같은 실체로서 파악된다. 이렇게 데카르트의 세계에서는 세 종류의 실체만이 인정된다. 숱한 종류의 실체들이 존재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와는 판이한 세계이다. 풍성한 질들로 가득 차 있던 아리스토텔레스적 세계는 갑자기 (신과 영혼만을 예외로한다면) 오로지 연장=외연으로만 구성된 기하학적 세계로 바뀌어버렸다. 데카르트의 기계론이야말로 자연에 대한 상(像)을, 더 나아가 세계에대한 철학적 파악 전반을, 아니 서구 문명 (뿐만 아니라 인류 문명) 전체의존립 근거 자체를 송두리째 바꾸어놓은 결정적인 지도리이다. - P833

하나의 개념이 탄생했던 조건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x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이해는 그 개념의 탄생 조건들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 하나의 탄생은 가름/변별화이다. 거기에는 늘 어떤 대립성이 작동한다. 대립, 갈등, 부정, 모순의 장에서 무엇인가가 탄생한다.
‘philosophia‘의 탄생에도 이런 대립성들이 작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 P841

지중해세계에서 자연에 대한 상이한 이해 그리고 그것과 맞물려 나타
‘난 인간관과 가치관에서의 상이한 정향들은 결국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움직이는 사유의 운동이었다. 어떤 형태가 되었든, 지중해세계에서 등장해 숙성했던 대다수의 철학사상들은 현실과 이상,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움직이면서 초월과 자연, 인간의 운명, 도덕적/윤리적 실천을 사유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흐름에서 이상에의 지향이 때로 강박으로 흘러가곤 했다는 것은 사실이고, 근대 이래의 철학자들은 이 때문에 내재적이고 경험적인 사유의 정향을 취하게 된다. - P8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