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 시각이야말로 모든 시각적 실천의 생성력에 대한 책임의 문제를 종결시킨다기보다 다시 촉발한다. 부분적 시점은 유망한 괴물과 파괴적 괴물 모두를 설명할 수 있다. 객관성에 관한 모든 서구의 문화적 서사들은, 페미니스트 과학의 문제에 각인되어 있는 우리가 정신과 몸, 거리 유지와 책임감이라고 부르는 것과 맺는 관계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알레고리다. 페미니스트 객관성은 한정된 위치(location)와 상황적 지식에 관한 것이지, 주체와 대상의 초월과 분「열에 관한 것이 아니다. 이런 방식으로, 우리는 보는 방법을 통해배운 것에 대해 책임질 수 있을 것이다. - P343
상대주의는 어디에도 없으면서도 동시에모든 곳에 똑같이 존재하는 방식이다. 입장의 ‘동등성‘은 책임과비판적 탐구를 부인하는 것이다. 상대주의는 객관성 이데올로기에 나타난 총체화와 완벽한 쌍둥이 거울이다. 상대주의와 총체화모두 위치, 체현, 부분적 시점과 관련된 이해관계를 부인한다. 양자 모두 잘 보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상대주의와 총체화는 동등하고 완벽하게 모든 곳에 있으면서도 어디에도 없는 ‘신적 요술‘이 약속하는 시각이자 동시에 대문자 과학을 둘러싼수사학에 공통된 신화다. 하지만 다름 아닌 이 부분적 시점의 정치학과 인식론이야말로 꾸준히 지속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구의 가능성이 자리한 곳이다. - P346
무엇이 세계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인가에 관한 투쟁은 보는 방법에 관한 투쟁이다. 그것은 시각의조건들인 식민주의에서 과학의 문제, 절멸주의(exterminism)에서과학의 문제(소풀리스, 1988) 그리고 페미니즘에서 과학의 문제등에 관한 투쟁이다. 정치적으로 다양한 경험주의, 환원주의 혹은 다른 과학적 권위를 가진 해석에 대한 공격에 가담하는 문제는 상대주의적으로접근하기보다 위치로 보아야 한다. - P351
상황적 지식은 지식의 대상이 텅빈 스크린, 토대, 자원이 아니라 행위자이자 행동가로서 형상화되어야 한다고 요구하며, ‘객관적인‘ 지식에 실린 고유한 행위자성과 저자성으로부터 변증법을 차단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주인과노예의 관계로 형상화해서는 결코 안 된다고 요구한다. - P359
객관성은 탈참여(dis-engagement)에 관한 것이 아니라 상호적이고 그리고 대체로 불공평한 구조화에 관한 것이며, 세계 속에서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다. 그런 세계에서 우리는 영원히 죽을수밖에 없는 인간이다. 말하자면 죽음이라는 ‘마지막‘ 통제는 불가능하다. 마지막까지 우리는 분명하고 뚜렷한 아이디어를 가지지 못한다. 다양하게 투쟁하는 생물학적인 몸은 생물학적인 연구조사와 글쓰기, 의료사업, 다른 사업 실천, 테크놀로지, 즉 이장에서 은유로 열거했던 시각화 기술의 교차로에서 출현한다. 하지만 교차로의 마디로 기꺼이 들어가는 것은 생생한 언어로 들어가는 것에 비견된다. 그런 언어는 문학적 가치의 생산에 적극적으로얽혀 들어가기 때문이다. 그것은 재치 있는 행위자와 행동가로서코요테와 프로테우스처럼 변화무쌍한 세계의 체현으로 얽혀들어가는 것이다. - P3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