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중국의 근대사는 두 개의 커다란 드라마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국제 교역과 전쟁을 무기로 팽창을 거듭해온 서구 문명과 농업과 관료주의를 무기로 이에 끈질기게 저항한 중국 문명 사이의 문화적 충돌이며, 이러한 충돌의 와중에서 미증유의혁명을 거치며 이루어진 중국의 전면적 변화가 다른 하나이다. - P24

중국이 하나로 통일되어 있으며 동질적이라는 느낌을 갖게 된 것은 중국적 생활양식이 특이할 정도로 오랫동안 지속되어온데서도 기인했는데, 그것은 역사의 여명기 이전 신석기 시대부터 부단히 이어져 내려온 것이었다. 정착촌을 이루어 사는 가족 집단이 괭이로 경작하는 농경법은 BC 5000년경 황허의 지류인 웨이수이 유 - P37

역(즉 시안 부근의 반포 마을과 같은 지역)에서 이미 출현했다.
전사-통치자들의 간헐적인 침입에도 불구하고 중국인의 촌락 생활은외관상 사회적·기술적으로 갑작스런 변화에 의해 중단되는 일 없이이때부터 지속성을 유지한 채 꾸준히 발전해온 것 같다. 촌락 공동체사이의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는 것 또한 오랜 전통을 지닌 중국 지배층의 특별한 관심사였다. 왕조는 계속 바뀌었지만 이들 지배층은 점차 복잡한 관료주의 통치 조직을 창조해냈다. 1800년 이후까지 이처럼 농업-관료주의에 기반한 중국 제국은 유럽의 상업적 군사적 사회보다 훨씬 오래된 그리고 그것과는 전혀 다른 사회 질서를 유지해오고 있었다. 중국의 농업 공동체에서는 폭력의 사용을 포함해 개인의 용기와 적극적인 태도가 해상 활동, 전쟁, 탐험, 해외 이민 등을 추구하는 유럽 사회에서와는 달리 그리 중시되지 않았다. - P38

전통 중국은 지방 차원에서는 확대 가족, 즉 가문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는데, 다름 아니라 가문은 혈연관계에 관한 유교 경전의 가르침이 요구하는 위계적 역할 구조를지탱하는 주요한 토대였기 때문이다. 아버지든 남편이든 또는 신사든관리든 유교는 윗사람에 대한 복종을 가르쳤다. 각종 정치적 통제 수단을 가진 관료 집단은 통치자를 대신하는 존재로서 사람들을 통치자에게 복종시키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관료들은 일반 서민들의 삶 속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으며, 친족 구조가 주요한 역할을 맡았다. 근대 혁명 시기에 그러한 균형이 무너져 관료들이 지배하는 사회가 되었고 가족친족 구조는 크게 파괴되었다. 그러나 1800년대 초의 청조 국가는 구체제의 기반 위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 - P62

중국 중심의 중화사상 속에는 천자가 천하를 통치한다 ㅡ 다시 그렇기 때문에 천자가 비한족 왕조들의 통치를 승인할 수있었다는 고대의 이념이 보존되어 있었다. 17세기에 진행된 만주족의 중국 정복은 13세기에 있었던 몽골족의 중국 정복이라는 선례로 - P75

인해 한층 더 용이해진 측면도 없지 않다. 그들 모두 계속하여 천하를다스리는 천자의 역할을 강조했으며, 정부의 성격을 한족이 계속 중국을 통치했을 경우보다 훨씬 더 전제적으로 만드는 동시에 민족주의적 성향은 약화시켰다. 물론전제통치의 강화가 전적으로 이러한 논리만으로 전부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전제주의는 그저 행정 수단과통제력의 진보에 따른 자연스런 결과였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합된 소수 민족 집단으로서의 정복왕조는 연장자 우선라는 중국적 관례가 아니라 무용과 개인의 역량을 따르는 부족적 관습에따라 지도자를 선택했다. 따라서 정복자들은 놀라울 정도로 정력적인 지도자들을 갖게 되었다. - P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