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국가와 대형 자선 재단이 국제개발 고유의 언어와 스타일, 문법을 통제하면서 여전히 담론 권력을 행사하고, 공여국으로 거듭난 후발 주자들이 근대의 성장·개발 중심성을 답습하고, 원조가 엘리트 권력의 지지 기반이 되는 관행은 사라지지 않았지만(Kumar and Brooks 2021: 324), 글로벌 빈곤레짐의 참여자들이 특정 국가, 특정 이념에 따라 구획되지 않고 다변화되면서 한편으론 새로운 마찰과 틈새가 생기기도 했다. - P210

글로벌 빈곤 레짐은 일관된 구조를 갖는다기보다지역적·상황적 실천과 개입에 열려 있다. 한국이 이 레짐과 접속 - P211

하는 과정에서 특징적인 것은 원조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나라의 위상을 널리 알리겠다는 국가주의적 사고가 팽배하다는점, 그리고 정부·대학·기업이 긴밀한 공조하에 (특히 대학생) 청년을 해외 자원봉사의 주요 주체로 구성해내면서 실업의 ‘위기‘를로벌 리더 창출이라는 ‘호기‘로 바꿔치기했다는 점이다. 저성장시대에도 경쟁력만 부르짖는 환경에서 실존의 결핍을 호소해온 청년들이 열정 노동과 창의 노동을 불태우며 글로벌 빈곤 퇴치를 위해싸우는 가장 역설적인 전사가 된 것이다. - P212

양식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나는 빈곤 문화의 신자유주의적 생산에 주목하는데, 이는 "위기가 반복되는 신자유주의 흐름에서 하향 이동이나 삶의 격동을 경험하는 시타의 한국인 이주자들이 자신의 ‘정상성‘을 증명하고, 스스로를 ‘찌질이‘ ‘루저‘와 구분 짓기 위해 자의적인 빈곤 문화의 표식arbitrary cultural markers of poverty을 동원하고 (재)생산하는 과정"을 일컫는다.(Cho 2018: 521) 빈곤-복지 연합, 그리고 이 구도에서 파생된 빈곤 문화나 의존성의 유령은 일국의 사회보장 정책 지형을 넘어, 한국과 중국 정부의 사회적 보호 외곽에서 살아가는 이주자들 사이 - P294

에서 적극적으로 소환됐다. 초국적 연결이 급증한 시대, 나락에 떨어질지 모른다는 불안이 빈곤 감각을 증폭시키는 시대에 빈곤·복지·노동 담론이 서로 맞물리면서 ‘빈민‘을 조립했던 문화 정치가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 (이주자, 난민 등) 정치적·경제적으로 취약한지위에 놓인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을 겨냥하는 낙인, 열악한 사람들이 서로를 구별 짓는 표식을 전방위적으로 확산해내는 것이다. 정상과 비정상은 특정 개인의 상태가 아닌 관점에 불과하지만(Goffman 1963: 137), 빈곤 전염의 공포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은관점을 인격화하는 데 몰입한다. - P295

프레카리아트는 Proletariat (프롤레타리아트)에 불안정한 위태로운‘이라는 뜻의 형용사 precarious가 결합된 단어다. 직장이 아닌 취업 ‘준비‘에 기약 없이 공을 들이는 청년도, 자국에서 잉여 취급을 받다 차이나 드림에 베팅한 중국의 한국인 이주자도 프레카리아트다. 이 단어는 신자유주의적 모델에 기반한 노동시장 유연화가 가속화되면서 노동조합과 사회보장 시스템의 보호 바깥에서 떠돌게 된 불안정 노동자들을 주로 지칭하지만, 여성, 청년, 노인, 소수 종족, 장애인, 범죄자, 이주민 복지 수급자 등 삶의 불안과 노동의 불안을 동시에 떠안은 다양한 집단도 포괄한다. 과거의 안정된노동계급과 달리 "사회적 기억"이 부재하고, 소외, 아노미, 불안, 분노 등에 휩싸이기 쉽다는 점에서 가이 스탠딩(2014 58-59)은 이들을 형성 중인) "새로운 위험한 계급으로 명명했다. - P310

불평등이 만인의 언어가 되고 겹겹의 불안이 다수의 피해자‘ 선언을 부추기는 시대이지만, 그럼에도 어떤 생명은 다른 생명보다 훨씬 더 취약하다. 폭우가 도시를 삼켰을 때 어떤 운전자는 물에 잠긴 승용차 때문에 골치가 아프지만, 어떤 인간은 반지하에서 속수무책으로 주검이 되고 만다. 서로 마주치고, 연결되고, 다른 불안을 들여다보려는 수고를 포기한 채 각자가 방공호를 파느라 분주한 시대에 인류학의 자리는 어디일까? - P353

발전의 꿈이 아무리 집요하고 중독성 강하다 한들 누구도 삶의 취약성과 유한성을 피해갈 수 없다면, 지금 우리한테 필요한 것은 취약성과 유한성을 개별 인간의 불행으로 남겨두기보다 지구생활자의 공통 인식과 감각으로 받아들이도록 돕는 제도, 교육, 운 - P386

동일 것이다. 기후변화와 팬데믹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위기를 논하는 공론장은 전례 없이 많아졌지만, 각자 알아서 방공호를 구축하던 사람들이 더 거대한 위기를 감지한다고 해서 곧바로 연결되는것은 아니다. - P3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