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민은 반식민 민족주의와 혁명적 사회주의의 조합을 지지하며, 프랑스 - P251

식민주의와 일본의 점령, 베트남에서의 농민-지주 농촌 정치를 거부했다. 일본이 직접 통제한 5개월 동안(1945년 3~8월), 베트민 전사들과 미국은 동맹이 되었다. 전략사무국 요원들이 저항 활동을 조율하고 격추당한 미군 조종사들을 구출하기 위해 베트민과 함께 일했다.
‘OSS 요원 제19호‘라는 이름이 부여된 호찌민은 그들에게 "정말 사랑스러운 녀석으로 통했다. - P252

베트민이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축하하던 바로 그 순간, (미국의 지지를 받은) 프랑스는 인도차이나에서 잃어버린 제국을 복구할 준비를 했다. 이 결정에 대해 미국은 의구심을 가졌다. 1943년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스탈린에게 설명했듯이, 미국은 프랑스 제국의옹호자가 아니었다. "100년 동안 프랑스가 인도차이나를 통치했는데, 그 후 주민들은 이전보다 더 궁색해졌죠." 하지만 일본이 항복한 - P253

후 워싱턴은 프랑스의 권리 주장을 지지하는 쪽으로 기울었다. 막 발발하고 있던 소련과의 냉전, 서방의 냉전 동맹(북대서양조약기구‘, 즉 나토"가 될 터였다)에 프랑스가 참여하는 것을 확실히 할 필요, 프랑스본국 내에서 공산당의 힘이 커져가는 데 대한 우려 때문에 트루먼행정부는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 지배를 회복시키는 쪽으로 밀고나갈 터였다. - P254

프랑스 기지는 서쪽으로는 라오스, 북쪽으로는 중국 - P261

으로 가는 산길을 통제했다. 기지 그 자체는 기복이 심한 고지대로둘러싸인 계곡 바닥에 자리잡았다. 소수인종인 타이족의 고향인이 계곡은 이 지방을 통과하는 아편 거래 루트에서 중요한 연결 고리였으며, 베트민은 이 아편 거래로 자금을 충당했다. 1939년에 건설된 간이 활주로는 반일본 저항 활동에 도움을 주었고, 지금은 프랑스가 베트민을 상대로 대반란 작전을 벌이는 비행장으로 기능했다.
석회석 산들이 계곡을 둘러쌌고, 산봉우리들은 프랑스군 요새와 인접한 마을을 내려다보았다. 주변의 고지는 활주로에서 충분히 멀리떨어져 있었다. 그래서 기지를 마주 보고 있는 구릉의 어느 지점에서든 적군 포대가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고, 게다가 설치되더라도 그 지점은 공격에 매우 취약했다. - P262

베이징과 모스크바 사이의 균열이 깊어지면서 개발 도상 세계에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쿠바 미사일 위기 동안미국과 최후의 대결을 벌이면서 의기소침해진 흐루쇼프는 포스트식민주의 세계에서 소련의 자세를 더욱 행동주의적으로 취함으로써 제3세계 동맹자들에게 모스크바의 신뢰를 회복시킬 필요에 직면했다.
한편 중국 지도자들은 처참한 대약진운동의 경험을 잊어버리고 제3세계 혁명 프로젝트의 리더십에 대한 그들의 권리 주장을 강화하기를 바랐다. 1960년대라는 새로운 10년이 시작되면서 베이징도, 모스크바도 비서방 세계에서 자신들의 위상을 드높이기 위해 교묘하게움직였다. 둘 다 새로운 혁명적 폭력이 또 한 차례 시작되기 직전이었던 동남아시아에서 그렇게 할 이상적인 기회를 발견할 터였다. - P280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전쟁과 제네바협정으로 두 개의 급진화된 정권이 양분된 베트남을 지배하게 되었다. 하노이의 공산주의 정권이 피비린내 나는 사회주의혁명을 개시해 수천 명에 이르는 정권의 적들을 처형하며 나라에 대한 장악력을 공고히 하는 동안, 사이공의 친서방 정권은 중국의 국민당과 남한의 이승만 정권을 괴롭혔던 많은문제들에 똑같이 시달렸다. 부패, 무능, 인기 없음, 권위주의가 사이공 지도부를 괴롭혔다. 1954년 이후 거의 6년 동안 지속된 충돌의 - P289

소강상태는 모스크바와 베이징 사이의 경쟁이 적지 않게 부채질한한바탕의 새로운 냉전폭력의 장을 마련해주었다. 그러나 주도권을쥔 쪽은 지역 세력이었다. 사이공도, 하노이도 나라의 분단을 베트남의 문제들에 대한 영구적인 해결책으로 보지 않았다. 양쪽 모두 평화적 수단, 또는 필요하다면 폭력적 수단을 통해 궁극적인 재통일을 희망했다. - P290

응오딘지엠은 미국에서 몇몇보수주의 그룹과 개발 도상 세계의 냉전 동맹을 열심히 찾았던 일부정부 관리들의 이목을 끌게 되었다. 응오딘지엠이 강연 순회를 계속하자 미국 지도자들도 그를 주목하게 되었다. 베트민에 대한 비판, 그가 프랑스 및 일본과의 협력이라는 오점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사실, 그리고 근대화에 대한 그의 요구 때문에 응오딘지엠은 프랑스 이후의 남베트남에서 친미 지도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점점 더 매력 - P292

적인 후보가 되었다. 한편 응오딘지엠의 동생인 응오딘뉴는 다양한지역의 정파 및 정치적 네트워크 사이에 동맹을 형성하며 베트남 내부에서 정치적 지지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애썼다. - P293

역사가 제시카 채프먼Jessica Chapman은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야생의 베트남 남부는 서로 경쟁하는 작은 무장 행정 단위로 분열하는 것으로 프랑스 식민통치와 일본 점령이 야기한 혼란에 대응했다." 대부분의 농촌 지역에서 공산주의 반란자들은 얼마간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불만과 혁명적 불안의 씨앗을 뿌렸다. 공산주의자들 외에도 경쟁하는 종교 분파인 까오다이교와 호아하오교가 사설 군사 단체를 지휘했는데, 이들은 메콩강 삼각주 지역에서 베트남공화국의 통제에 도전했다. 도시에서는 조직범죄 집단인 빈쑤옌"이 국가경찰에 대해 상당 정도 통제력을 발휘하 - P294

면서 매춘 집단, 카지노, 아편굴을 운영하고 갈취 공갈로 돈을 벌었다. 빈쑤옌은 사이공강의 맹그로브 습지를 돌아다니던 해적들에서유래했다. 미국 외교관들은 이 상황을 "시카고시가 알 카포네"가 전성기를 누릴 때 그의 수중에 경찰력을 쥐어 준 꼴"이라고 비유했다.
CIA 분소 소장은 응오딘지엠은 그 "자신의 관저 공간만 통제했을뿐"이라고 개탄했다. - P295

하노이의 지도자들은 지역의 마을 사람들을 중앙의 당에 더욱 종속시키는 한편으로, 농촌 지주들의 권 - P298

력을 약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 운동은 마을 사람들이 이웃을 고발하고 강화된 정부 통제에 반발해 산발적으로 봉기를 일으키면서, 곧 농촌 지역 전체에 공포시대를 열어젖혔다. 1956년에 국가의토지개혁 운동에 반대하는 폭력적 움직임이 군대를 동원해 진압해야 하는 광범위한 반란의 물결로 비화했다. 처참한 토지개혁 운동의결과 수천 명이 사망했다. 8월에 호찌민은 운동의 실수를 공식적으로 인정했으나, 이미 피해가 막심했다. 토지개혁 정책을 밀어붙였던하노이의 지배 집단(즉 쯔엉찐, 호찌민, 팜반동, 응우옌잡)은 심각한타격을 받고 이제 이전의 이 "오류들을 바로잡는 "교정" 운동을 벌였다. 이 운동은 하노이의 권력이 호찌민과 응우옌잡에서 당내의 새로운 인사들로 크게 이동하는 사태를 낳았다. - P299

1960년에 하노이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결성을 발표했다.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공식적으로는 반란 그룹들의 광범위한 연합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대체로 공산당의 부속물로 기능했다.
조직 회원의 많은 부분은 남부 혁명가들로 이루어졌으나, 그 지도부는 보통 하노이의 지시대로 움직였다. - P301

남베트남에서 게릴라 전쟁이 격화하자 냉전 초강대국들은 더욱깊숙이 관여하기 시작했고, 충격적으로 익숙한 양상이 베트남에서다시 등장했다. 중국과 한국에서도 그랬듯이, 미국은 협소한 대중적지지 기반을 가진 억압적 반공산주의 정권을 뒷받침하기로 한 반면,
소련은 무자비하긴 하지만 좀 더 폭넓은 대중의 추종을 누리고 훨씬더 효율적인 권력 구조를 가진 토착 공산주의 세력을 지지했던 것이다. 중국과 한국에서처럼 다가올 베트남에서의 투쟁은 엄청난 유혈사태를 낳을 터였다. 그러나 중국과 한국을 생각나게 하는 양상을베트남에서 식별할 수 있다면, 개발 도상 세계에서 미국의 냉전에 나타난 새로운 역동성도 마찬가지로 식별 가능했다. 그것은 동남아시아에서 근대화를 실행하는 과제에 미국의 사회과학적 지식을 쏟아붓겠다는 결의였다. - P306

"우리는 쿠데타를 고무하지 않기를 바라지만, 또한 미국이 정부의변화에 반대한다는 인상을 남기거나, 혹은 새로운 정권이 [베트남공화국의 군사적 노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이 정권에 경제적·군사적 지원을 하지 않을 거라는 인상을 남기는 것도바라지 않는다." 케네디 행정부는 음모가들의 계획을 승인했다."
쿠데타는 1963년 11월 1일 오후 일찍 시작했다. - P316

1963년 11월 말, 북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사이공과의 투쟁에서 급변하는 상황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고찰하기 위해 제9차 총회를 소집했다. 그 결과물인
‘결의안 제9호‘는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을 재통일하기 위해 당의 전쟁을 더욱 치열하게 전개하고, 또 중국에 경도한다는 중요한 결정을 내렸음을 암시했다. 하노이의 결정은 미국과 긴장 완화를 모색하던 소련 정책과 충돌했다. 북베트남 지도자들은 만일 순전히 크렘린의 지지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었더라면, 아마도 자제했을 것이다. 소련 지도자들은 하노이가 조금이라도 공격적인 움직임을 보이면 미국이 남베트남에서 전쟁을 확대하고 냉전 긴장을 고조시킬 것 같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소 분열은 하노이에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었다. - P317

통킹만 사건은 존슨에게 하노이에 보복할 구실을 주었다. 미국 관리들은 보복 문제를 두고 한동안 논의를 진행했다. 존슨의 위태로운정치적 입지는 대통령 재임 첫해에 베트남에 대한 강경한 접근법을형성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존슨은 케네디가 암살된 덕분에권좌에 올랐고, 동남아시아에서 전임 대통령이 취한 정책을 계속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게다가 존슨은 1964년에 현대 미국 보수주의의 - P322

대부이자 열렬한 냉전 전사인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 배리 모리스 골드워터와 치열한 전투에 직면했다. 하지만 11월 선거에서 압도적인승리를 거둔 뒤 존슨은 더는 자신에게 주어진 정치적 신임을 의심할이유가 없었다. 그럼에도 1964~1965년 겨울에 대통령은 동남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 P3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