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를 위한 전투는 초강대국 투쟁을 제3세계에 가져왔다. 이지역 전역에서 격렬한 충돌이 벌어지자 미국 지도자들은 세계 지배를 위한 공산주의자들의 노력을 목도하고 있다고 확신했다. 1949년10월부터 1950년 6월 사이의 몇 개월은 제3세계에서 냉전이 형성되는 데 핵심적인 기간이었다. 1949년 10월 중국이 공산주의 대국으로 등장하자 동아시아에서 힘의 균형이 뒤집혔고, 개발 도상 세계 전체 - P88

에서 마르크스주의 혁명의 가능성이 커졌다. 워싱턴과 모스크바의냉전 지도자들은 중국, 한국, 인도차이나에서 맹렬히 진행된 일련의아시아 혁명들을 두고 하나의 응집된 전선으로 결합해 전략적 계산을 수행했다. 한편 동쪽에서 공산주의가 승리하자 주저하던 소련 지도자들은 아시아 혁명가들을 지지하기 시작했다. 마오쩌둥과 동지들은 냉전 투쟁의 방향을 중부 유럽에서 동아시아의 포스트식민주의국경 지역과 그 너머로 돌렸다. - P89

마셜은 마오쩌둥과 장제스 사이에서 소련의영향력을 만주에서 몰아내고 중국 공산당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영속적인 합의를 중재하고자 했다. 마셜은 한 손으로는 장제스에 - P111

게 정치 개혁을 시행하라고 압박하는 한편, 다른 손을 이용해 국민당 정권을 군사적으로 지원했다. 이 지원으로 국민당은 만주에 대한통제권을 재천명할 수 있을 터였다. 총사령관은 마셜의 압박을 못 견뎌 했다. 제2차 세계대전의 4대 승전국 중 하나로서 장제스는 명령을 받기보다는 명령을 내리기를 기대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워싱턴은 중국에서 자신의 명령에 복종할 고분고분한 정권을 찾았다. 마셜의 개혁 프로그램에 대한 장제스의 저항은 원치 않는 분규를 일으켰다. 그러나 공산주의의 위협에 직면하여 장제스가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었다. - P112

마셜은 국민당은 워싱턴에 "군사 지도자들이 무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결심하면서 창출하고 있는 진공 속으로" "자금을 계속 쏟아붓기를 기대할 수 없다고 경고하며, 장제스에게개혁을 실행하라고 끊임없이 압박했다. 국민당은 공산주의자들을 물리치기 오래전에 스스로 무너질 것이라고 마셜은 완고한 총사령관에게 경고했다. 하지만 장제스는 군사력이 중국 공산당과의 투쟁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하며 경고를 무시했다. 1947년 1월 7일, 백악관은 마셜 장군이 미국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발표했다. 외교는실패했다. - P133

만주에서 중국이 승리함으로써 자원과 산업, 그리고 "한국과의 필수적인 전략적 연계"가 소련의 궤도 속으로 들어왔다. 중국 공산당은 "소련의 대중국 정책의 가장 효율적인 수단을 나타냈다. 내전이 계속되는 한, 중국 공산당은 모스크바와 여전히 동맹 관계에 있을 터였다. 그러므로 내전과 불안정의 지속은 궁극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소련의 정책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모스크바의 스탈린과 그의 동지들은 확실히 중국 공산당의 잠재적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6월에 스탈린은 ‘표도르 쿠즈네초프(전 붉은 군대 사령관)‘라는가명으로 글을 쓰면서, 옌안의 크렘린 요원에게 마오쩌둥과의 만남을 주선해 달라고 지시했다. 스탈린은 이 중국 지도자를 모스크바로 - P136

모셔 오기 위해 하얼빈에 비행기를 보내겠다고 제안했다. - P137

실제로 장제스의 옌안 점령은 피루스의 승리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최정예 부대를 버려진 중국 공산당 수도에 투입한 바로 그 순간에도 공산주의자들은 만주를 계속 방어했다. 만주는 장제스가 이 지역에 사단들을 마구 투입하면서 정부군의 ‘전략적 덫‘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공산군은 국민당 군을 만주로 더 깊숙이 끌어들임으로써 미약한 병참선을 길게 늘이고 난징의 예비 자원을 소모시키는 일련의 양동작전陽動作戰을 벌였다. 게릴라 전술에 의존하고 대규모 교전을 거부하는 공산군 사령관들은 수적으로 우월한 정부군 - P138

을 서서히 소모전으로 고사시키는 전략을 따랐다. 한 프랑스인 관찰자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공산주의자들은 허우마시를 점령하면서 200명의 사상자를 냈지만, 여단장을 비롯해 1800명을 포로로 잡았다. 신장시를 점령할 때 그들은 네 명이 다쳤으나, 도시를 방어하려고 했던 700명의 의용군 중에서 600명을 포로로 잡았다. 국민당 군2개 연대가 방어했으나 공산군 3개 연대의 공격을 받은 치워를 점령하면서 공산주의자들은 수비대 전체인 2000명을 사로잡는 전과를올렸다." - P139

1949년 1월 6일 중국 공산당 사령관들은 쉬저우 수비대에최후의 공격을 개시했고, 나흘 뒤 약 20만 명의 정부군이 항복했다. 화이허淮河 전투에서 공산주의자들의 결정적인 승리는 놀라운 속도로 다가왔다. 마오쩌둥과 그의 사령관들은 "기쁨에 넘쳤다." 그러나그들은 이제 자신들이 정복한 거대한 영토를 통치해야 하고, 혁명을농촌의 기원으로부터 도시의 미래로 옮겨야 하는 이중의 난제에 직면했다. 동북부에서의 패배 소식이 난징에 있던 장제스의 귀에 들어가자총사령관은 자신이 직면한 재앙의 규모를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그는 "패배한 전투들에 대한 보고가 눈보라처럼 휘몰아치며 들어온다"
고 탄식했다. "북중국과 만리장성 아래 지역은 붕괴 직전이다." 장제스는 이제 두 가지 과감한 행동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하나는 정부를 난징에서 타이완으로 옮기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사임하는 것이었다. - P153

마오쩌둥식 사회주의혁명은식민지 억압에 맞서 투쟁하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무기가 되었다. 마오쩌둥의 체계에서는 탈식민지화와 민족 해방에 대한 요구가 계급투쟁이라는 수사를 대신했다.
중국 공산당의 승리를 뒤쫓아 한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알제리,
중동, 라틴아메리카의 반식민주의 혁명가들은 전부 그들 자신의 무장투쟁을 위한 영감의 원천으로서 마오쩌둥의 게릴라 모델에 주목했다. 중국 공산당의 승리는 냉전 국제 시스템 주위에 크게 울려 퍼지면서, 주요 행위자로서 베이징의 등장을 나타내고 개발 도상 세계에들어맞는 새로운 방식의 사회주의혁명이 출현했음을 알렸다. 아시아의 남부 가장자리 전체에서 호 모양으로 발생한 일련의 포스트식민주의 해방전쟁은 중국에서 중국 공산당이 승리를 거두는 것으로시작했다. 마오쩌둥의 혁명 세력은 옌안에서 초라하게 시작했지만,
이 시작으로 이제 세계를 완전히 바꿔놓을 예정인 하나의 운동을 풀어놓았다. - P1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