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을 떠날 무렵, 칭기스칸은 종교인들이 자신의 광대한 제국의 통치에서 제한적인 역할만 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그들은 유용한 기술을 지녔지만, 말만 많고 거의 행동에 나서려 하지 않았다. 칭기스칸은상식을 추구한 반면에 그들은 깨우침을 추구했다. 몽골 궁정으로 데려온사제, 수도사, 율법학자, 샤먼 들은 칭기스칸에게 좌절감만 안겨주었다.
그들은 모든 문제에 대한 대답으로 강론과 가르침을 내세웠다. 그들 말대로 모든 문제가 더 많은 생각, 더 많은 연구, 더 많은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칭기스칸은 당면한 문제가 산적한 수백만 인구의 제국을 통치해야했고, 그러려면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즉각적인 해결책이 필요했다. - P357

몽골인들은 죽음이라는 단어를 기피하여 그 대신에 완곡하게 ‘신이 되었다‘라는 표현을 쓴다. 그리하여 1227년 여름에 칭기스칸은 신이 되었다. 예수이 카툰은 칭기스칸의 시신을 펠트로 감싸는 작업을 감독했으며 친위대는 황제를 고향으로 데려가 매장할 준비를 했다. 칭기스칸은불교, 이슬람교, 기독교, 도교, 그 외의 어떤 종교에도 소속되지 않은 채몽골인으로 죽었다. - P378

이제 외국 땅에 진출한 많은 몽골인은 칭기스 칸이 알아볼 수 있는부류의 몽골인이 아니었다. 그들은 도시인이 되어 있었다. 제국의 중심은 먼 도시로 이동했다. 훌레구는 바그다드와 타브리즈를 중시했고, 쿠빌라이는 새로운 수도 연경(오늘날의 베이징)으로 중심을 옮겼다. 몽골인들은 스텝을 버렸다. 카라코룸은 목초지로 전락했다. 한때 사절들이 칸 앞에 와서 몸을 떨고 포도주가 거대한 은빛 분수에서 흘러내리던 곳은 이제 염소와 소가 한가로이 풀을 뜯어 먹는 곳으로 변했다. 카라코룸의 사원, 모스크, 교회는 산산이 부서져 폐허가 되어 땅속으로 사라졌으며, 새로 자란 풀로 만들어진 카펫 밑에 묻혔다. 승려들의 염불 외는 소리, 무예진의 기도 시간 알리는 소리, 기독교인들이 찬송가 부르는 소리는 가뭇없이 사라져 울부짖는 바람 소리로 대체되었다. 유일하게 남은 기도 소리는 때때로 샤먼들이 찾아와 북을 두드리고, 밤에 빛나는 별 아래 모닥불옆에서 춤추며 노래 부를 때 나는 소리뿐이었다. - P439

토머스 제퍼슨은 당시 널리 퍼진 중국 관련 주제에 관심을 공유한 많은 지식인들 중 한 사람이었다. 1771년 8월 3일에 처남 로버트 스킵위드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칭기스칸을 다룬 머피와 볼테르의 연극에는신경 쓰지 말고 당시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던 원극의 대본을 읽어보라고 권했다. 제퍼슨은 칭기스칸을 다룬 페티스 드 라 크루아의 전기에서 크게 영향을 받았다. 제퍼슨 역시 모든 종교에는 일부 좋은 면이있지만 그것들 중 어느 하나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과거에 그는 프랑스어로 된 칭기스 칸 전기를 여러 부 구입했다. 그중 일부는 자신이 가졌고 나머지는 자기 딸을 포함해 다른 사람들에게 선물로 주었다. - P469

제퍼슨은 1777년에 종교적 자유에 관한 법안을 작성하기 시작했지만,
버지니아 식민지 의회가 1786년 1월 16일 법을 제정하기 전까지 알맞은단어를 찾는 데 고심했고 이 작업은 거의 10년이 걸렸다. 그의 제안은 치열한 논쟁·편집·수정의 대상이 되었지만, 최종 확정된 핵심적인 단어들은 칭기스 칸의 칙령에서 사용된 단어들과 유사했다. 제퍼슨의 새로운법은 이렇게 규정했다. "그 누구도 종교적 의견이나 신앙으로 고통을 겪어서는 안 된다. 모든 사람은 종교에 관하여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문장들은 중앙아시아에서 미국으로 전해졌 - P470

고, 몽골어에서 페르시아어로, 다시 터키어, 프랑스어를 거쳐 마침내 영어로 번역되었다. 번역된 문헌들에는 칭기스칸의 칙령에서 사용된 단어들이 사용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거기에는 신을 탐구하고자 하는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칭기스칸의 정신이 완벽하게 구현되어 있다. - P4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