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3. wife-as-deputy

흠 대역부인 번역이 좀…

생태학적으로 제한된 공간에서는 농업생산물 증가에 의해서나 영확장을 통해서만 증가하는 인구에 대한 식량공급이 가능하다. 처음에는자발적으로 나중에는 전문적 차원에서, 전자는 엘리트의 발달을, 후자는군사주의의 발달을 가져왔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구조들이 사원도시의 형태를 취했으며 기원전 네번째 천년과 세번째 천년에발달하였다. 부족간 전쟁에서 도시의 존재는 일자리를 찾아서 혹은 전쟁과 기근 때문에 보호를 받기 위해 모여드는 주변마을의 인구를 끌어들이는 자석 역할을 한다. 그러한 인구는 대규모 역사(役事)에 동원되는노동자들이 되어 거대한 사원의 건설과 중앙집중화된 관개사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원은 복잡한 종교 · 정치·경제적 활동을 하였다. - P102

여왕 십투는 왕이 자주 궁궐을 비우는 동안 그의 대리역할을 했다. 그녀는 마리 시의 행정관들로부터 보고를 받았으며, 이웃도시 테르카(Terqa)의 총독은 ‘여주인‘인 여왕에게 사업에 관해 보고하고 그녀의 명령을 실행했다. 총독과 제후들은 대체로 통치자에게만 하기로 되어 있는용어로 그녀에게 신하로서의 예를 바쳤다. 또 십투는 희생제물을 바치고 신의 명령과 계시를 받는 것을 감독하였으며, 매우 중요한 행사들에관해 왕에게 정기적으로 조언을 하였는가 하면, 왕의 지시를 실행하기도하였다. - P122

지배엘리트들의 왕권찬탈자로서의 이해관계로 인해, 그들이 확립한권력의 형태는 이를 관찰한 어떤 사람이 쉽게 ‘세습적 관료주의‘
(patrimonial bureaucracy)라고 불렀던 형태를 갖게 되었다." 그들의권력이 얼마나 안정적일지 여부는 권력의 중요한 하급지위에 가족구성원들을 얼마나 많이 임명하느냐에 달려 있었다. 이 초기시대에 그런가족원들은 매우 종종 여성―부인, 첩, 딸들이었는데, 이를테면 이들은 남편/아버지/왕을 섬기는 최상위 신하들이 되었다. ‘대역부인‘(wife-as-deputy)의 역할은 이렇게 출현하였으며, 이 시기 이후 그런 역할을 맡는 여성들이 계속 등장하게 된다. - P128

엘리트 남성들은 스스로 다른 사람들이나 풍부한 물자, 노예와 하렘을 웨한 첩의 소유 같은 성적 서비스에 대해 권력을 가질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였다. 여성들은 가장 안전하고 고위층 출신이고 자신감에 차 있을지라도스스로 남성의 보호에 의존하는 존재로 생각하였다. 이것이 사회계약의 여성세계이다. 자율을 거부당한 여성들이 보호에 의존하고 자신과 자녀들을 위해 가능한 최선의 결과를 끌어내기 위해 투쟁하는. - P13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22-06-06 2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벌써 100페이지 읽으셨네요?^^

거리의화가 2022-06-07 06:58   좋아요 2 | URL
네 3장까지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