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의 새마을’ 원형이었던 만주국 농촌 사회
송석하, 신현준(=신봉균): 간도특설부대원 (친일인명사전)
-> 두 인물의 사례를 통해 만주국 국민운동과 간도특설대가 깊게 연계되어 있음을 들여다볼 수 있음
공비토벌=조선인 보호=민족주의 로 정당화
보갑연좌제 -> 감시체제의 조직 형태

일제의 만주지역 이주정책은 ‘식민지주의 이해‘와 ‘이념적 이해가 중첩된 만주국의 공간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 일제의 만주 지역 식민화 정책은 대소(對蘇) 군사안보 방침과 긴밀하게 맞물리며 진행되었다. 만주국 수립 직후부터 관동군은 일본인의 이주를 항일무장투쟁 세력의 발흥 속에서 농촌의 치안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자, 대소 국방의 방책으로 여겼다. - P47
젠다오(間島) 지역에서 조선총독부가 조선인을 대상으로 세운 ‘집단부락(集團部落)‘은 만주국 ‘비민분리공작‘의 모범적인 사례가 되었다. 만주사변 직후 조선총독부가 조선인 피난민의관리와 치안유지를 위해 ‘안전농촌(安全農村)‘과 집단부락을 건설했다. 1932~33년 건설된 안전농촌과 집단부락은 조선인 피난민을 관리하는 데 목적이 있었으나 1934년 이후부터 건설된 집단부락은 비민분리를 통해 항일유격대를 고립시키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 P51
일제는 젠다오 지역의 치외법권 철폐에 대비하려는 예비 조치로 공산조직 및 반만항일단체를 ‘근본적으로 파괴하고자 했고, 이를 위해 집단부락건설과 보갑제도 시행 이외에도 특무경찰이 관리하는 ‘특고망(特高網)이라는 사찰망을 운용했다. 젠다오성 특무경찰은 밀정뿐만 아니라 귀순자, 지역의 유력자, 청년들을 사찰망을 위해 활용했다. 특고망을 통해 요시찰 · 요주의 대상자에서부터 각종 결사(結社), 학교, 강습회, 연구회까지 잠재적인위협 요인으로 분류되어 사찰을 받았으니, 사실상 모든 조선인이 이중 삼중의 감시망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 P61
만주에 이주한 조선인 대다수는 열악한 생활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모범촌으로 분류된 조선인 집단부락조차도 자작농보다 자소작 또는 소작농이 대다수였기에 이주민에게 집단부락 건설비는 커다란 부담이었다. 빚이 빚을 부르는 악순환 속에서 소작농에서 출발한 조선인들이 자작농이 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열악한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조선인 집단부락은 안보불안 요소로 여겨져 해체와 강제이주의 대상이 되었다. - P71
일제는 만주국을 방공 최전선의 국방국가로 만들기 위한 국민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했다. 관동군은 반만항일투쟁을 주도하는 공산주의 세력의 영향력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국민생활양식을 근본적으로 개편하는 사회개혁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공산주의사상과 반만항일사상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방책을 강구하던 군사고문부는 장제스 정부가 농촌에서 공산주의의 영향력을 차단하고 ‘사상적 방공강화’를 위한 수단이자 전시 대중동원의 수단으로 삼은 신생활운동을 크게 주목했다. - P77
다양한 운동을 통해 만주국인에게 주입된 이념은 ‘일본주의’였다. - P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