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두사의 머리: 바기나 덴타타와 프로이트의 이론

‘[성적으로 가장 두려운 것]?… 바기나 덴타타, 이빨달린 질이지. 여자와 사랑을 나눌 때 그것이 갑자기 입을 닫고 너의 페니스를 잘라 버리는 거야. 그래 버리는 거지.’ 스티븐 킹, <말라깽이들>

바기나 덴타타에 대한 접근은 두 가지다.
첫 번째는 구강 가학적인 어머니의 상징적 표현으로 해석하는 것
구강 가학적 어머니가 그들을 먹어치우고자 하는 욕망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욕망 속의 두려움으로 묘사되는 어머니다.
두 번째는 삼켜져서 없어질 것에 대한 공포이다.

질의 어둡고 신비한 심연 속에서 영웅이 질 이빨을 파괴하는 것은 헤라클레스가 지하 세계로 내려가 이빨이 날카로운 지옥견 케르베로스를 길들였던 영웅적 여행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어둠, 심연, 죽음, 그리고 여성. 그들은 하나이다. (레데레, 1968, 49)거세자로서의 여성에 관한 미신은, 남자들을 집어삼키고 조각조각내버리겠다고 위협하는 함정이자 검은 구멍인 여성 성기에 대한 그들의공포와 판타지를 분명하게 지시하고 있다. 이빨 달린 질은 지옥으로통하는 입이다. 악마의 통로인 여성에 대한 공포스러운 상징인 것이다. - P204

바기나 덴타타는 거세와 사지절단에 대한 두려움을 활용하는 이미지들로 가득한 공포영화의 도상학과 특히 관계가 있다. 거세에 대한두려움은 다음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거세는 (어머니의몸이나 가슴의 상실, 정체성 상실 등) 남성과 여성 모두가 경험할 수있는 상징적 거세를 말할 수도 있고, 실제 성기의 거세를 의미할 수도있다. - P205

빗장이 질러지고 위험한 문이라는 주제에는 많은 변형들이 존재한다. 소녀의 집 문이 그 안으로 들어가려는 모든 이들을 죽인다. 그것은 자기멋대로 문을 빠르게 여닫을 수 있다. 마치 아르고호가 지나가야만 하는심플레가데스의 공포스러운 바위처럼 말이다. 심플레가데스는 배가 그사이를 지나가려고만 하면 서로 붙어버려서 배를 난파시켰다. 위험한 동물이 문을 지키고 있을 수도 있다. 혹은 그 상징은 누구든 그 안에 잡히기만 하면 부셔버리는 거대한 쌍각류일 수도 있다. (레데레, 1968, 47)위험한 문이나 통로라는 테마는 공포영화에서도 흔하게 다루어진다. - P207

바기나 덴타타는 입이다. 식인 어머니가 그녀아이를 먹어버리고, 이자적 어머니는 상징적으로 아이를 합체해 버린다. 바기나 덴타타에 대한 두려움과 구강 가학적 어머니에 대한 두려움은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특히 입과 여성 성기 사이에 존재하는복합적인 신화적, 언어적 연상 관계를 고려하면 그 연결을 이해할 수있다(워커, 1983, 1035). - P209

프로이트에 따르면 어머니의 육체는 거세 공포를 환기시키지만 그녀의 성기 자체가 거세하겠다고 위협하는 것은 아니다. 어머니의 성기가 소극적인 관점에서 공포스럽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공포는 그들의 외관에서 비롯되며, 이는 이미 어떤 일이벌어졌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우리가 꼬마 한스 이야기에서 보았듯이프로이트는 거세 콤플렉스를 문화의 전달을 가져오는 메커니즘으로 이해했다.

프로이트를 재해석하면서 라캉은 여성의 거세라는 개념을 더욱 강조한다. 라캉의 이론에서 페니스를 인간의 완전함의 기호로 구성하고남근을 상징적 존재로 구성하는 것은 바로 여성의 결핍이다. - P210

우리가 상상력을 펼친다면 메두사의 머리에 있는 뱀 상징의 증식은 여성의 상상적 남근의증식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그들은 성기의 거세하는 특징을 더욱분명히 표현하고 있다. 입/질 속에 꼬리/남근을 물고서 동그랗게 몸을말고 있는 뱀의 재현은 모든 문화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양성성에 대한편재하는 상징이다. 프로이트는 성적 상징으로서의 뱀에서 남근성을분리하고 질의 중요성은 무시했다. 메두사의 잘린 머리가 거세된 여성성기를 상징하며, 뱀이 물신화되고 위안을 주는 상징적 남근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자신의 소망을 훌륭하게 달성하기 위한 행위에 불과하다.
프로이트의 해석은 여성 성기의 활동적이고 공포스러운 특징, 즉 그들이 거세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숨긴다. - P213

프로이트와 달리 댈리는 월경의 후각적 자극을 공포스러운 국면으로 본 것을 중요하게 강조했다.
월경 트라우마에서 어머니의 출혈의 시각적 증거는 가장 깊은 공포와혐오를 야기한다. 부분적으로는 부패와 가지는 연관성 때문에 (여기에서는 부정적이고 불쾌한 냄새 또한 무의식에 죽음에 대한 좀 더 깊은 생각을 전달하는 한편, 피를 흘리는 것은 거세와 잡아먹힘에 대한 두려움을강화시킨다. 이런 부정적인 냄새는 월경 전과 주기 중간의 긍정적이고매력적인 냄새와 혼동되지 않으며, 콤플렉스의 불쾌한 속성에 속하면서근친상간을 막는 장벽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aly, 1943, 160) - P214

젖먹이 아이가 돌보는 어머니와 맺는 관계는 이 기간 모든 다른 관계의 모델을 제공한다. 먹고 먹히는 개념이 이 시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어머니의 육체가 드러내는 합체에 대한 위협은 이와 관련된 두 가지부분에 가장 집중되어 있다. 즉 어머니의 얼굴에 있는 입과 성기에 있는입이다. - P215

소년이 여성 성기를 처음 흘끗 보게 되는 경험에 대한 프로이트의설명은 소년의 반응이 그가 어떤 여성을 보았는가, 즉 어린 소녀를 보았는가 성인 여성을 보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있다. 메두사의 머리에서 프로이트는 소년이 어머니의 성기를 보았을때 경험하게 되는 끔찍한 공포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유아의 생식기 형성」에서는 소년이 처음 어린 소녀의 성기를 보았을 때에는 무관심하다고 설명한다. - P216

프로이트는 「유아의 생식기 형성에서 여성성과 남성성의 적절한형태에 대해 정의하면서 결론을 내리고 있다. 남성성은 주체, 활동성,
그리고 페니스의 소유라는 <요소들>을 겸비하고 있다. 여성성은 객체와 수동성의 <요소들>을 지닌다. 질은 이제 페니스의 은신처로 평가된다. 그것은 자궁의 유산의 일부가 된다‘(145). - P219

기괴하고 정신적 충격을 주는 것 직전, 마지막 인상이 페티시로 남는 것 같다. 따라서 발이나 신발은 호기심 많은 소년이 여성의 성기를 아래로부터, 즉 다리에서부터 위로 훔쳐보게 된다는 상황 덕분에 페티시, 혹은페티시의 일부분로서 구성되기 쉽다. 털과 벨벳은 (오랫동안 의심되어온 것처럼) 음모를 본 것의 고착이다. 자주 페티시로 선택되는 속옷은탈의의 순간을 결정화시킨다. (155)따라서 우리는 소프트 포르노 잡지에서 페티시적으로 털 코트를아무렇게나 걸치고 긴 다리와 하이힐이 전시된 여성의 이미지를 보게된다. 때때로 그녀는 남근적인 물체로 꾸며져 있다. 그리고 채찍이나총을 든 채로 가죽 옷을 입고서 두 다리를 벌리고 오토바이 위에 앉아있곤 하는 것이다. 남근적 여성이란 여성에게는 페니스가 없다는 사실을 믿지 않으려는 물신주의자의 거부 속에서 만들어진다. 프로이트는거세 콤플렉스의 존재를 의심하거나 여성 성기를 보는 것이 주는 공포가 다른 이유를 가지고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페티시에 대해서 연구해 보라고 권한다(ibid) - P221

나는 치아를 잡아 뽑는 행위는 삼중의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하고 싶다. 즉 꿈꾸는 사람이 이빨 달린 질 안에 들어가기만 하면 잡아 뽑히pulled out 거나 거세당할 것이라고 두려워하는 것은 바로 페니스이며,
성교 혹은 자위 시 질의 벽에 의해서 만족스럽게 잡아당겨지는 pulled것도 바로 페니스이다. 그리고 성교 후에 질로부터 안전하게 빠져나오는 것 pulled out‘ 역시 페니스인 것이다. 치아/페니스는 거세되면서도또 거세되지 않는 것이다. 성교 전에 꿈꾸는 사람은 불안한 상태에 놓여있다. 그러나 이후에 그는 그의 두려움이 근거가 없었음을 깨닫게 된다. - P225

여성들의 모순적인 반응의 핵심적인 이유는 남성에 대한 여성의 적대적인 신랄함을야기하는 페니스 선망이며, 이것들은 성별 사이의 관계 안에서 절대로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는 "해방된 여성들의 분투와 문학작품 안에서 분명하게 설명된다(205). 프로이트는 위의 모든 이유를활용해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미성숙하고 남성에 대한 뿌리 깊은 적대감, 특히 그녀의 처녀성을 빼앗은 남성에 대한 뿌리 깊은 적대감에근거하고 있다고 결론 내린다. 그녀는 심지어 그를 거세하고 싶을 수도있으며 이는, 프로이트에 따르면, ‘처녀막 파열에 대한 복수를 하고 싶어 하는 처녀들에게 특히 부합한다. 그런 욕망들은 심지어 문명화된여성들의 정신적 삶 속에 존재한다(200). - P2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