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공포 영화(<에일리언>, <괴물>, <신체 강탈자의 침입>, <상태개조)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다른 형태의 성교나 생식에 대한 상상력 속에서 출산장면과 같은 원초적 장면을 재가공하는 것이다. - P47

어머니의 형태로 존재하는 어머니라는 존재 역시 중요하다. 원초적 어머니는 단위생식을 하며, 근원적인 혼돈으로서의 어머니이자 시작과 끝의 장소다. - P48

프로이트에 따르면 모든 아이들은 부모님의 성교장면을 목격하거나 그 행위에 대한 판타지를 가지고 있다. 이 판타지는 기원에 대한것이다. 원초적 장면은 아이에게 부모의 성교 안에 존재하는 자신의기원을 의미하며, 이 유혹의 판타지는 성적 욕망의 기원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거세판타지는 성적 차이의 기원을 보여준다. - P48

<에일리언>은 원초적 장면의 다양한 재현을 보여준다. 이 각각의장면 뒤에 원초적 어머니, 즉 모든 삶의 유일한 기원으로서의 어머니에대한 이미지가 숨어 있다. - P49

비록 <에일리언>에서 원초적 어머니가 가시적으로 등장하지는 않지만, 그녀의 존재는 모든 사건의 발생에 광범위한 배경을 제공한다.
원초적 어머니는 출산의 이미지들과 원초적 장면의 재현들, 자궁과 같은 형상과 내부의 방들로 연결되는 길고 구불구불한 터널들, 부화되고있는 알들, 모선의 선체, 생명유지시스템의 목소리, 그리고 에일리언의탄생에 존재한다. 그녀는 생식하는 어머니이자 전 남근적 어머니이며,
남근에 대한 지식에 앞서 존재한다. 이 원초적 어머니는 크리스테바가설정했던 기호계의, 코라의 어머니와는 다소 다르다. 기호계적 코라의어머니는 가족과 상징계적 질서와의 관계 안에 존재하는 전 오이디푸스적 어머니이다. 단위 생식하는 원초적 어머니의 개념은 어머니의 모습에 또 다른 차원을 추가하며, 우리에게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어떻게여성의 영화적 재현 안에서 여성의 차이‘를 부인해 왔는지를 이해할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 P52

드라큘라 영화 속에서 드러나는 원초적 어머니의 징후는 다음과 같다. 매우 작고 폐쇄적인 마을, 마치 탯줄처럼 성으로 연결되는 좁은 숲속의 길. 그리고 그 성은 구불구불한 계단과 거미줄, 어두운 회랑, 벌레 먹은 계단, 먼지투성이에 축축한바닥으로 이루어진 폐쇄된 중심공간이다. 이런 것들은 모두 악독한 원초적 어머니의 이마고와 연결되어 있는 요소들이다. 이 한 가운데서드라큘라 자신이 현실화된다. 검은 망토와 뾰족한 이, (발기한 성기 같은 단단한 몸, 날카로운 눈과 꿰뚫을 것 같은 시선 등으로 치장된 그는페티시이다. 즉 ‘어머니의 페니스 대용‘인 것이다(bid, 52-5). - P53

『꿈의 해석』에서 프로이트는 계속해서 페니스 상징을 복제하는 것이 어떻게 거세불안을 없애려는 시도와 연결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
줄리엣 미첼은 이런 페니스 상징의 복제가 여성 거세콤플렉스의 징후라고 말한다. 계속해서 아이 - "작은 것들" - 를 낳는 꿈은 같은 의미를내포하기 때문에, 이것이 여성에게 지니는 중요성을 알 수 있다(미첼,
1985, 84). 이런 맥락에서, 여성 페티시즘의 한 국면은 상징계 안에서결정적인 위치를 점함으로써 남근을 계속해서 ‘가지고 있으려는 여성주체의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 P56

에일리언의 변화하는 모습은페티시 기획의 작용을 지시하는 남근의 복제 혹은 증식의 형태를 의미한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에일리언의 카멜레온 같은 성질은 또한 외부인(에일리언)‘ 혹은 외래적 형태로 드러나는 어머니의 페티시 대상을지시한다. 이것이 여성 주인공의 육체가 영화의 끝에서 그렇게 중요해지는 이유이다. - P58

크리스테바는 주체를 어머니의 환영과 같은 힘, 주체를 제거하겠다고 위협하는 그 힘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비옥한 여성육체를 비체로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불결하고 비옥한 (여성) 육체와 상징계적(남성) 육체와 연결된 순수한 발화사이에 대립항이 형성된다. - P62

신화는 <에일리언>에서도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문제가 분명하게 풀리지 않는다고 해도 오이디푸스 신화는 ‘하나로부터 태어났느냐아니면 둘에서 태어났느냐‘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다른 것으로부터 태어났느냐 같은 것으로부터 태어났느냐라는 파생적인 질문에 연결하는일종의 논리적 방법을 제공한다(레비스트로스, 1963, 216). 가부장제의상징 관습, 특히 공포영화 안에서 모든 생명의 원천인 여성의 신화적존재를 살펴보면서 발견할 수 있는 가장 흥미로운 점은, 그녀가 자신이출산한 생명을 다시 빨아들이겠다고 위협하는, 모든 것을 결합해버리는검은 구멍이자 심연으로만 독해되는 생식하는 어머니에 대한 공포와연결된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그녀는 부정적인 존재로 재구성되거나재현된다.
원초적 어머니의 중요한 특징은 출산과 생식의 원칙에만 몰두한다.
는 것이다. 그녀는 모든 것을 혼자 수태하는 어머니이며, 독자적인 부모이고, 모든 번식의 신성이자, 생식의 기원이다. 그녀는 도덕과 법 외부에존재한다. - P64

원초적 어머니는 모든 공포영화에서 소멸의 암흑, 즉 죽음으로 등장한다. 자신이 출산한 것들과 재결합하겠다고 위협하는 힘인 원초적 어머니에 의해 깨어난 욕망과 공포는 죽음이 변함없이 그곳에 존재하기때문에 호러 텍스트에서 언제나 설득력이 있으며 포괄적으로 등장한다.
사물의 원초적인 단일성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욕망, 어머니/자궁으로돌아가고자 하는 욕망은 기본적으로 미분화에 대한 욕망이다. - P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