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린이들의 세계에 들어가는 방법을 누구보다도 잘 안다.
중요한 것은 ‘첫 대화‘를 무사히 마치는 일이다. 대화를 주고받았다는 사실은 서로의 거리를 때에 따라서는 몇 년씩이나 당겨주는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꼬마들에게 던지는 첫마디는 반드시 대답을 구하는, 그리고 대답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만일 "얘, 너 이름이 뭐냐?"라는 첫마디를 던진다면 그들로서는 우선 대답해줄 필요를 느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놀림의 대상이 되었다는 불쾌감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뱅글뱅글 돌아가기만 할 뿐 결코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 P33

밟아도 솟아나는 보리싹처럼우리는 주먹 쥐고 힘차게 자란다.
배우며 일하는 젊은 용사들아동트는 새아침 태양보다 빛나게나가자 힘차게 청구용사들.

여기서 ‘주먹 쥐고‘라는 것은 국가 변란을 노리는 폭력과 파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심각한(?) 추궁을 받았다.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폭력의 준비를 암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끈질긴심문이었다.
내가 겪은 최대의 곤혹은 이번의 전 수사과정과 판결에 일관되고 있는 이러한 억지와 견강부회였다. 이러한 사례를 나는 법리해석의 문제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권력 그 자체의 가공할 일면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지만 이는 특정한 개인의 불행과 곤혹에 그칠 수 있는 사소한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성이 복재(伏在)하고 있는 것이다. - P51

강렬한 힘에 의하여 뒷받침되는 것이다. 개인의 생명이든 집단의생명이든 스스로를 지키고 지탱하는 힘은 자신의 내부에, 여러 가지의 형태로, 곳곳에 있으며 때때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믿는다. - P55

불모의 영토마다 자리 잡고 있는 과거라는 이름의 숲은 실상없이 목마른 것입니다. 그늘도, 샘물도, 기대앉을 따뜻한 바위도없습니다. 머물 수 있는 곳이 못 됩니다.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