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치의 감정구조에 대하여

노무현 죽음 이후 한국 정치는 감정의 과잉으로 양 극단을 달리는 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는 주변 사람들에게 정치와 거리를 두라고 했다는데 그는 오히려 죽음으로써 정치에 끊임없이 이용되고 소환되는 아이러니가 발생되었다.

노무현은 어떤 큰 상징이었고, 노사모‘로 표현되는 대중의 지지 행동은 한국 대중민주주의사에서 새로운 문화이자 계기점임에 분명했다. 그는 한국 정치문화의 많은 것을 좋은 방향으로 바꾸고 있는 듯했다.
또 그의 승리는 그 자체로 대단한 변화이자 ‘역사의 진보‘처럼보였다. 당선되던 날 그가 "사람 사는 세상이 돌아와, 너와 내가부둥켜안을 때, 모순 덩어리, 억압과 착취, 저 붉은 태양에 녹아버리네"로 시작되는 노래를 불렀다던가…. 비주류의 승리, 민주화운동의 승리, 1980년대의 승리처럼 보였다. - P152

정치는 실로 감정과 정동의 영역이다. 노무현의 숙음 이후에 형성된 감정구조(structure of feelings)와 그에 따른 증상은2000년대 한국인의 정치감정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보인다. 그런 면에서 노무현의 죽음은 한 시대의 끝이 아니라, 이전에 없던 새로운 정치사의 시작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예상치 못한 거대한 추모의 물결로 시작되었다. 죽음은 대중의 마음에 일대 반전을 가져왔다. - P154

막스 베버는 유명한 직업으로서의 정치》에서, 정치란 "모든 폭력성에 잠복해 있는 악마적 힘들과 관계를 맺게 되는 것"
이기에 "자신의 영혼의 구원 또는 타인의 영혼의 구제를 원하는자는 이것을 정치라는 방법으로 달성하고자 해서는 안 된다고단언했다. 정치 자체가 폭력이나 악과 관계하는 일이라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 P158

또 노무현의 죽음을 둘러싼 한국 정치는 그야말로 칼 슈미트가 말한 ‘정치적인 것‘에 근접해 있다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슈미트는 여러 방면으로 영향을 끼친 책 《정치적인 것의 개념)에서, 정치란 결국 적과 동지를 구별하고 적대를 창출하는 행위라 주장했다. ‘적‘의 타자성과 이질성, 그리고 그와 반대되는 ‘우리‘의 동질성과 동지-됨은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행위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그것은 ‘우리‘를 형성하고 존재케 하기 위한작용이다. 칼 슈미트는 그래서 "동지와 적이라는 특수한 대립을다른 구별들로부터 분리시켜 독립적인 것으로서 파악할 수 있는 가능성 속에 이미 정치적인 것의 존재로서의 사실성과 독립성이 나타나는 것"이라 했다. - P162

한국이나 미국 같은 대통령중심제 국가에서 대통령은 단지 행정부의 수반이 아니라 정치적 상징이며, 문화정치의 핵심이다. 대통령은 그 자체로서 통치성의 중대한 구성요소이며 가부장-국가의 중심 기표다. - P164

이에 더하여 유교 전통을 가진 한국에서 대통령은 ‘주군‘
이나 ‘임금‘ 같은 봉건 군주의 표상으로 재현되고 또 실제로 그와 유사한 존재로 여겨진다. 흥미롭게도 이런 표상은 권위주의시대(1960-1980년대)와 김영삼·김대중 양 김의 보스정치 시대를지나며 오히려 더 강화된 면이 있다. - P166

원래 죽음 뒤의 뒤늦은 상실감과 고인에 대한 재발견은 모든 애도 과정의 필수적이고 보편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타자의 죽음에 대한 나-주체‘의 대응으로서, 대개 인륜성과 ’선‘이 작용한다. - P170

노무현의 죽음은 그와 그 가족이 뇌물과 비리에 연루되어서가아니라 ‘정치보복‘에 의한 것이라는 확실한 증거였다. 또한 그죽음은 노무현이 정권의 실패와 부패 혐의라는 불명예를 다 씻어버리고 그들의 마음에 완연히, 그리고 강하게, 친근하고 선하며 더 없이 훌륭한 ‘노짱‘과 ‘국민 대통령‘의 자리에 다시 등극하는 계기가 되었다. 폐족‘이었던 ‘친노‘는 정치적으로 부활하고 다시 뭉쳐 재기했다. 여기서 그들의 죄책감과 원한감정 (복수심)이 매개가 되었다. 장례 기간 동안 그 집합적 정동은 이미 응결되었다. - P173

윤리적 자살은 인간-동물의 자기보존의 원리라는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며, ‘성찰‘ 정도로 표상되는 상징계의 차원도 넘어버리는 것이다. 그런 초-상징계적 행위와 결부된 진리는 언어적 성찰이나 법에 의한 단죄보다 강하다. 그래서 자살은 상징계에 남을 수밖에 없는 산 자들에게 언제나 큰 충격을 야기한다.
자살한 이가 생전에 어떤 윤리적 존재였는지는 확신할 수 없다. 하지만 자살행동은 (결과적으로) 그에 관련된 유력한 증거가 된다. 그것이 어떤 자살‘들이 갖는 힘이자 진리성이다. - P176

죽음으로 인해 노무현은 비극 영웅의 면모를 갖게 되었다그러나 일부의 과도한 죄의식과 일방적인 긍정적 평가에 보통의 사람들은 공감하기 쉽지 않다. ‘친노‘ 정치세력은 노무현(의죽음)에 대한 죄의식, 이명박·박근혜에 대한 대중의 분노·증오따위의 감정을 노무현 우상화를 통해 역(逆)승화하려 하거나, 현실정치에서의 ‘세력‘으로 운용해왔다. - P187

문재인 정부는 출범하면서 ‘적폐 청산‘과 검찰 등의 권력기관 개혁을 제1의 국정과제로 삼았다. 일면 그것은 촛불항쟁의 명령을 이행하는 듯했으나 진정한 사회개혁과 연결되지 못했다. 칼끝은 주로 이명박·박근혜 정권의 핵심 인사 몇몇으로만향했을 뿐이었다. 일련의 ‘내로남불‘은 문재인 정부가 얼마나 한계가 많으며 ‘적폐‘ 세력과 결정적인 차이가 없는지를 반복해서보여주었다. - P190

약속했던 개혁의 실패와 함께 오히려 다시 스스로 증오의 정치와 진영 논리(감정)의 악순환의 굴로 들어갔다.
이 감정의 ‘악무한(惡無限)‘은 한편으론 극렬 지지자들을방패로 삼고, 다른 한편으론 ‘민주 대 반민주‘라든가 ‘친일 대 극일‘이라는 포장에 기댄다. 착각과 달리 진영정치는 ‘진보‘나 ‘보수의 이념에 제대로 근거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포장으로 한감정정치이며 비뚤어진 도덕정치다. 그것은 다른 진영에 속한자들과 그들의 당파가 가진 합리성과 공동체에 대한 진정성을인식 자체에서 배제하려 한다. (중략) 이 악무한은 진보적 제3지대나 중도, 그리고 ‘정책정당‘의 여지도 없애왔다. 양당 정치의 비루함과 악무한에 지친 사람은 너무나 많으나 대안은 아직 왜소하다. - P1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