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스부르크제국은 개방된 ‘야만의 프런티어’가 없는 유일한 제국이었다. 뿐만 아니라 이 제국에는 이민형 식민지도 없었다. - P1181

프랑스의 제국주의는 정치 방면에서 놀라울 정도로 보잘것없는 번식능력을 보여주었다. ‘시민’의 나라가 민주주의를 수출한 적이 없었다. 프랑스의 식민정권은 대부분 극단적으로 독재적인 정권이었다. 훗날 탈식민화 과정에서 서아프리카만 상대적으로 평온을 유지하며 많은 폭력사태가 일어나지 않았다. 초기 프랑스 확장사에서 프랑스가 겪은 실책의 사례는 영국보다 훨씬 더 많았다. 1882년, 영국은 프랑스인의 코앞에서 이집트를 빼앗아감으로써 프랑스에게 치욕의 일격을 날렸다. 프랑스의 확장이 낳은 최대의 문화적 효과는 프랑스어의 전파였다. 이 밖에도 식민지에서 새롭게 등장한 교육받은 소수 계층에게는 ‘동화’의 문이 열려 있었다. 종주국 프랑스는 이들 식민지 지식인을 통해 식민지의 급진적인 문화적 변혁을 기대했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로는 진정한 의미에서 응집력이 있는 제국문화를 만들어 낼 수 없었다. - P1192

독립 주권국이 최종적으로 지배권을 장악하고, 주로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권력이 방사됨으로써 작동하는 제국 형성의 모형을 ‘초보적’ 제국건설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제국건설은 장기적인 전략의 배경을 가진 경우가 거의 없었다. 역사학자 존 실리는 1883년—영국이 치밀한 계획 끝에 이집트를 점령한지 얼마되지 않은 시점—에 "영국의 정복은 ‘얼빠진 상태’에서 이루어졌다"는 유명한 논평을 내놓았다. 장기적인 계획이란 관점에서 본다면 실리의 평가는 결코 설득력이 없다고는 할 수 없으며 다른 유럽제국에도 같은 평가가 적용될 수 있다. - P1198

‘자발적인’ 복속은—삼각관계의 압박이든 종속관계의 직접적인 인정이든—제국의 확장 방식 가운데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었다. 심지어 2차 대전 뒤의 미국 패권체계 가운데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현대 노르웨이의 역사학자 게이르 룬데스타트의 말을 빌리자면 이것은 일종의 "초청받은 제국"이다. - P1199

대형 플랜테이션과 특허 회사의 활동 지역은 통상적으로 국가의 통제를 받지 않는 공간이었다. 이 지역에서는 엘베강 동쪽의 융커의 장원이 그랬던 것처럼 국가의 법률은 간접적으로만 작용했다. 선교사들의 영향력은 매우 커서 심지어 법률로 보호받는 영지를 세울 수 있는 권력을 갖고 있었다. 특허회사가 아시아에서 철저하게 몰락한 뒤로 아시아에는 새로운 반관영 식민 대리기구가 생겨났다.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남만주철도주식회사였다. - P1201

메이니그의 관점에 따르면 19세기 중엽의 미국은 네 가지 형태—지역사회의 집합체, 연방, 민족, 제국—를 한 몸에 갖춘 국가였다. - P1210

미국의 백인과 흑인은 어떤 의미에서는 모두가 ‘외래인’이자 ‘신참자’였다. 문화의 ‘용광로’란 신화는 현실과는 거리가 멀었고 민족 전체의 기본인식도 아니었다. 그러나 유럽 민족주의의 ‘우리’와 ‘그들’이란 이분법적 인식도 미국에서는 주류가 될 수 없었다. ‘우리’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통일된 목소리가 없었다. 19세기 미국인은 사회적 차이는 정밀한 계급제도에 의해 결정되면, 인종은 질서의 표준으로서 불가결하나 동시에 불안정하다는 확신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전형적인 제국주의적 세계관의 장벽이었으며 현실세계에서 각종 격리제도로 구체화되었다. - P12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