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명 생산 수단은 발전했고, 기술도 발달했지만, 내 생각에 아버지가 생산자로서의 자기 권력에 확신을 갖고 자기 생산물에 자기 이름을 표시한 이래—사유 재산제와 가부장제 가족이 시작되었을 때부터—사회적 착취는 일어난 것 같다. 다시 말해서 ‘역사’에 나타난 모든 사회 체제들은 생산 ‘계급’에 대한 착취, 즉 여성의 착취를 기반으로 작용한다. - P226
여성의 (아이들과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능력에 대한 사용 가치와 이들의 교환 가치 구축은 상징적 질서를 보장한다. 이 ‘노동’을 제공하고도 여자들은 이 유통에서 아무런 대가도 받지 못한 채 말이다. 이것은 남성들-아버지들에 의한 고유 명사 독점(또 소유권으로서 이 독점화가 의미하는 것)의 분산인 교환의 이중 체계를 함축할 것이다. (중략) 한 여성을 소유한다는 것은 분명 이 여성이 표현하는 번식 용도라는 가치 때문에 남성에게는 필수 부가결하다. 그러나 그의 욕망은 모든 여성들을 소유하는 것이다. 반복적으로 하나씩 차례로 그리고 동시에 추가로 정복하고, 유혹하고 소유하면서 모든 여자들을 ‘축적’하는 것이다. 즉 남성은 종마(들)와 같다.
상대적 가치를 지니기 위해, 하나의 상품은 자신과 등등하게 작용하는 다른 상품과 맞서야만 한다. 결코 자신의 가치는 그녀 안에서 저절로 드러나지 않는다. (중략) 상품들, 여자들은 남성의 남성을 위한 가치를 내비치는 거울이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여자들은 반사 작용, 사색의 매체-질료인 자신들의 육체를 남성에게 내맡긴다. 여자들은 자신들의 자연적 사회적 가치를 남성 활동의 흔적 표시, 그리고 그에 대한 환상의 장소로 남성에게 내맡긴다. - P230
가치는 동등한 노동력, 동등한 에너지 소비, 동등한 고통을 나타낸다. 이러한 것들이 측정되려면, 이것들이 즉각적으로 모든 자연적 자질들로부터, 구체적인 개인으로부처 추상화되어야만 한다. 일반화 보편화 과정은 사회적 교환 기능 속에 부여된다. 거기에서 남성은 하나의 ‘개념’—남성 노동력이라는—으로 축수되고, 그의 산물은 이 개념의 분명하고 물질적 상관물인 하나의 ‘대상’으로 축소된다. - P238
여성의 위상을 가능케 하는 것, 그 기반을 보장하는 것, 그것은 여자들의 교환이다. 적어도 가부장제의 사회 기능이 정돈되는 것은 남자들 사이에서 여자들이 유통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것을 가정한다. 남성이 자연을 개조한다는 것, 오로지 남성들에 의해서 규정된 ‘인간적’ 기준에 따라 자연이 변화한다는 것, 자연은 노동에, 기술에 굴복한다는 것, 물질적 구체적 감각적 자질을 교환이라는 추상적 가치로 환원시킨다는 것, 게다가 모든 감각의 세계를 남성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활동으로 환원시킨다는 것, 여자들 사이에서는 여자들이 평등하지만 그들 외부에 있는 동등성의 법칙에 따른다는 것, 여자들을 남자들 사이의 관계를 구체화하는 ‘대상’으로 만든다는 것 등이다. - P239
어머니 처녀 창녀, 이것들이 여자들에게 주어진 사회적 역할들이다. (이른바) 여성 성욕의 특징들은 거기에서 비롯된다. 즉 번식 활동과 영양 공급에 대한 가치 부여, 정절, 정숙함, 무지, 게다가 쾌락에 대한 무관심, 남성들의 ‘활동’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태도, 소비자들의 욕망을 부추기 위한 유혹, 그러나 자신은 누리지 않으면서 이 욕망에 필요한 물질적 기반으로 자신을 바친다. 어머니도 처녀도 창녀도 아닌 여성에게는 자기 쾌락에 대한 권리가 없다. - P242
상품들이 자신들을 검사하는 주체들의 개입 없이 자기들끼리 교환될 수 없는 것처럼 여자들도 마찬가지이다. 사람들이 교환할 수 있다고 평가함에 따라 이들은 서로 구분도고, 분리되고, 따로 떨어져 있으면서 유사한 것이 되기도 하고 상이한 것이 되기도 한다. 무기력하게 서로 뒤엉켜 있는 그녀들 자신, 그녀들 사이에서 그들의 육체는 아마도 소비자에게는 자연적, 모성의, 유용한 것이지만, 거기에는 있을 수 있는 정체성도,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가치도 없다. - P2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