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는 가장 먼 곳에 있다. 그리고 수많은 칸막이들이 그 사이에 놓여 있다! 거울 저편으로 가는 것. 그것은 전혀 다른 일이다. - P14

오로지 한 면만 갖고, 한 얼굴 한 방향만으로. 오로지 한 면에서. 늘 거울의 같은 쪽에서. 이 면은 각자를 자신의 다른 쪽에서 떼어내, 이 다른 쪽은 갑자기 전혀 다른 존재로 나타난다. 낯선 미지의 존재. 적, 불길한 존재. 냉혹한 타자로 나타난다. - P19

어쩔 수 없이 멈추지 않고 다른 쪽에서 오는 나는, 게다가 항상 그들이 투사되는 스크린의 이쪽에서 오기 때문에, 그들의 모습이 나타나는 면 위에 있는 셈인 나는 살 수 없다. 이 모든 이미지 담화들 환영들은 나를 마비시키고, 꼼짝 못하게 한다. 나는 그 자리에 얼어붙는다. 그들의 찬사, 듣기 좋은 말로 표현되는 나, 그들이 자기네들의 ‘사랑’이라고 부르는 나는 위축된다. 여러분들은 그들이 내게 결정적인 판단을 내린다는 것을 알았다. 자기들의 이익에 가장 적절하게 말이다. 그리하여 나는 어떠한 ‘내 자아’도 그들에 의해, 그들을 위해 적응된, 그들의 필요나 욕구에 따라 움직이는 ‘자아’의 다양성도 깨닫지 못한다. 그런데 이 자아는-나로부터-무엇을 원하는지를 드러내지 않는다. - P20

적어도 두 부류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그 이상이 필요할 것이다. 이것들이 저절로 분절되기 위해서. 서로 결합할 수 있기 위해서. 그렇다면 어느 순간에? 어느 지점에서? 여기에서 두번째가 첫번째의 유일한 뒷면은 아닐 것이다. 때때로, 매우 빈번하게 그것은 보충물이다. 다소 적합하게. 다소 연결될 수 있게. 결코 궁극적으로 유일한 것만이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단위는 반으로 나뉜다. 각자는 많은 부분을 지니거나, 적은 부분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시할 수 있는 부분이 있거나, 그렇지 않은 부분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쾌락의 가능성들을 모조리 다 써버릴 수도 없을 것이다. 아직 여분을 뒤에, 다음번을 위해서 남겨두기 때문이다. - P23

그녀는 어느 누구도 아니다. 두 사람 가운데 아무도 아니다. 모두이건 각자이건 더 이상은 이 두 사람이 아니다. 이 여자(들)가 뒤로, 예를 들면 집의 문을 통해서 그렇게 피해 가는 것을 어떻게 묵인할 수 있는가-"알아두세요. 당신은 나를 다시 볼 것이고, 나에 대해 말하는 것을 다시 듣게 될 것입니다. 커다란 기계들을 갖고 다시 와서 측량을 하고, 평평하게 만들고, 부술 것입니다. 집과 정원 전부 다." - P26

어떤 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사물들이 아직 완전히 굳어지지 않은, 죽지 않은 그 순간을 포착해야만 할 것이다. 그러나 모든 것은 잊혀진다.그것은 지금까지 소유의 한계들을 규정했고, 안과 밖을 구분했으며, 호평과 혹평을 대립시켰다. 것은 모든 것의 가치를 감상하고 인정할 수 있게 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거기에 적응할 수 있게 했다.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