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는 만큼 성공한다 - 김정운교수가 제안하는 주5일시대 일과 놀이의 심리학
김정운 지음 / 21세기북스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 재미난 책을 발견했다.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가 그것이다. 문화심리학자인 저자가 자신에 대한 잡설과 중년남성의 심리적 고찰을 적절히 섞어 엮은 책인데 정말 재미있게 봤다. 리뷰를 쓰지 않은 통에 내용의 절반은 기억에서 휘발돼 버렸지만, 재미있었다는 느낌은 아직도 남아있다. 그래서 전작 <노는 만큼 성공한다>도 읽어 봤다. ‘노는 만큼 성공한다’라니, 상식에 반하는 표제는 호기심을 더욱 자극했다.

놀게 생긴(?) 김정운 교수가 ‘논다’에 더 초점을 두고 쓴 성공학 이야기는 결론적으로 행복학 책이었다. 책의 핵심은 풍부한 행복감 느끼기에 초점이 가있다. 놀이없이 성공한 사람들, 휴식없이 일만했던 사람들이 은퇴해서는 우울증 환자가 되는 이유를 언급하며 ‘놀 것’을 권한다. 룸 싸롱과 노래방에서 노는 게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몰두하라고 한다.
 
자신을 둘러싼 모든 환경에 지쳐 있을 때 자신를 구원해 줄 수 있는 것은 바로 그만이 즐길 수 있는 사소한 재미뿐이다. 나이가 들수록 내 존재는 내가 즐기는 취미를 통해 확인된다고 한다. <남자 심리학>을 비롯 여타 심리학 책에서 봤던 내용인데 <노는 만큼 성공한다>가 좀 더 자세하고 진지하다. 놀이의 공감력에서 부터 놀이가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저자 개인의 놀이작업까지 신나게 써놓았다. 저자의 놀이는 ‘뻥과 구라’란다.

사람들은 일에 반대되는 말을 여가나 놀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여가는 일의 반대말이 아니다. 일의 반대말은 나태다. 사람들이 헷갈리는 이유는 지금까지 일은 남이 시켜서 하는 행위로만 여겨왔기 때문이다. (중략) 일의 반대 말은 여가나 놀이가 아니라 나태가 된다. 자신이 하는 일의 주인은 놀 듯이 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의  주인이 아닌 사람에게 일의 반대말은 여가다. 일은 재미없고 여가나 놀이만 재미있다고 생각한다. (p.46)
 
일과 놀이가 하나라면 좋겠다만, 그러질 못하니 씁쓸하긴 하다. 그래도 책 속에서 ‘행복’은  확실히 얻어가는 것 같아 만족이다.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커너먼 교수가 제안하는 행복의 조건은 너무 간단하다. '좋은 느낌을 가질 수 있는 일에 시간을 보다 많이 투자하라'는 것이다 (p. 269)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를 목에 걸고 살아야 했던 시대는 지났다. 열매가 단 걸 알아야 인내를 하는 시대다. 더 이상의 죄책감은 날려버리고 놀자. 나는 놈 위에는 노는 놈이 있다. 프롤로그에 대책 없이 늘어난 여가시간의 폐해를 써놓았다. 이혼률과 노령화, 노동의 브라질화, 여가소외 현상등을 가져온단다. 잘 놀면 개인의 발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거다.

김정운씨의 문체가 거드름 피우는 것 같다고 싫어하는 사람들이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난 이런 거드름 충만한 글이 좋더라. 이런 건방져 보이는 글을 찾아 읽는 것도 나만의 재미 찾기라는 걸 알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