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 서른 살에게 답하다 - 서른 살의 강을 현명하게 건너는 52가지 방법 서른 살 심리학
김혜남 지음 / 걷는나무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그녀의 전작<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를 1년 전에 읽었다. 인생의 큰 전환점을 서른 살로 보고, 서른은 어떤 과정을 겪는지, 앞으로의 뭘 준비는 해야 하는지 일러주는 심리서였다. 정신과답게 날카로웠으며, 여의사답게 비유와 은유가 많아 부드러웠다. 곧 서른을 맞을, 20대 후반의 나로썬 언니의 고민을 미리 체험해보는 유익한 책이다.

후에 인터뷰에서 저자는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는 참 쓰기 쉬웠다고 했다. ‘서른 살’은 그동안 써왔던 전작들을 정리 했더니 완성되어 있더라고 했다. 하지만 한 가지 어려웠던 점이 있었는데, 미래가 투명했던 당신의 서른과 지금의 서른들은 많이 다르더라는 거다. 그래서 치열한 경쟁사회와 불투명한 서른 살을 맞는 내담자가 자신을 찾아온다면 어떻게 말해줄까 상상하면서 썼다고 한다. 덕분에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는 독자들을 다독이고 위로한 책으로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하지만 어떻게 하라는 구체적 답변이 없어 답답하다는 비판도 있었단다.

원래 정신분석학은 직접 답을 일러주는 학문이 아니다. 답은 각자 안에 있고, 그 답은 개인마다 다르다고 보는 게 정신분석이다. 실질적인 행동지침을 찾는다면 자기계발서를 보지 왜 심리학책을 봤을 까. 빠르게 답만을 요구하는 모습이 지금 서른인가 싶어 씁쓸하다. 자기고민 없이 찾는 답은 억지뿐이란 걸 깨달았다. 그래서 나 같은 사람만, 심리책으로 되돌아오는 건지 모르겠다. 그리고 빨리 답을 찾았다고 해서 행동으로 옮기기는 또 쉽지 않은 일이다.

저자는 구체적 답변이 될까 싶어 <심리학이 서른 살에게 답하다>를 썼다고 했다. 그러나 이 책도 구체적 답변은 없다. 오히려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보다 감흥이 덜하다. 이건 내가 대중 심리학책을 많이 읽어서 그런 것인지, 에세이 같은 김혜남씨의 글이 더 이상 매력적이지 않아서인지 모르겠다. 차라리 김형경처럼 격하거나, 이철우처럼 담담한 게 내게 맞는 것 같다.

이번에도 같은 말이다. 못난 것도 나요, 잘난 것도 나다. 있는 그대로 인정하자가 내가 얻은 교훈이다. 심리학책을 많이 읽었다고 해서 삶이 명쾌해질까. 아니다. 서른이든, 지천명이든 살아있다면 평생을 고민하고 좌절한다. 지금 알고 있는 걸 좀 더 일찍 알았다면 더 깔끔하고 여유롭게 살고 있을 거란 생각이 든다. 그래서 지금 책을 읽고 있다.

몇 년 남지 않은 이십대를 위하여 파이팅.

만일 당신이 좋아하는 사람이 당신을 싫어한다면 그 이유를 찾아 관계를 개선하도록 노력하라. 그러나 당신이 좋아하지도 않는 사람이, 또는 당신과 별 상관없는 사람이 당신을 싫어한다면 신경을 꺼도 된다. 그들이 당신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그것은 그들의 마음일 뿐이다. 세상에는 서로 맞지 않는 사람들도 많은 법이다. (중략) 그들이 지금 당신을 사랑한다고 해서 앞으로도 계속 당신을 똑같이 사랑해 줄 것이라고 생각하지 마라. 노력하지 않는 관계는 결국 깨어지게 되어 있다. 무심한 태도를 끝없이 이해해 줄 사람은 없다. 그러니 이제는 당신을 싫어하는 사람에게 쓰고 있는 에너지를 거두어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아끼없이 써라. (p. 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