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을 먹다 - 제13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김진규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미인도>는 연기력 없는 배우들, 옷 벗기는데 용 다 써버린 영화였다. 뒷맛은 쓰고, 오랫동안 헛헛했다. 그런데 그 저질 영화를 보던 중, 눈물을 흘렸다. 극장을 나오면서 얼굴이 상기됐던 사람은 나뿐이었다. 동행했던 이에게 왜 울었는지 이야기하지 않고선 오해받기 쉬웠다. 내가 운 이유는 딱 하나, 서로 사랑하는 걸 알면서도 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나중에야 서로를 인정하긴 하지만, 그 전의 상황은 안타까웠다.

<달을 먹다>를 읽다가, 이 부분에서 울었다.

-향아!
내 색시가 되길 소망했다고, 하지만 늙고 불쌍한 어머니를 거역할 용기가 없었다고, 아버지 최약국을 죽인 건 너를 자유롭게 해주고 싶어서였다고, 그렇다고 어미까지 잘못될 줄은 몰랐다고, 혼자이게 해서 미안하다고, 나도 너처럼 다리를 절고 싶다고, 그리고 힘들고 어렵겠지만 앞으로도 계속 얼굴을 보게 해달라고. 그렇게 말을 했어야 했다.
- 향아!
(p. 111)

눈물이 왈칵 쏟아졌다. <달을 먹다>는 사랑한다고 말할 수 없는 연인들이 대거 등장한다. 여문과 향이를 비롯해 희우와 난이, 나중엔 스님이 된 제현과 하연까지 거슬러 오른다. 문학동네 수상작인 <달을 먹다>와 저급 영화<미인도>가 연관됐던 건 순전히, 사랑한다고 말하지 못하는 애달음 때문이었다. 덧붙여 추가한다면 영 정조시대로 같은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내간체 소설이라 담백하게 쓰인 것 같지만, 속은 짜고 맵고 쓰다. 단맛이 나는 곳은 딱 두군데 뿐이다. 태겸이 아내 묘연의 말없음을 심심해하며 아내 방을 뒤지는 장면과 여훤이 소박맞은 아내, 설희를 데리고 오는 장면뿐이다. 그 외에는 근친상간을 건드려 죄다 불안하다. 후인과 최약국도 불편하다. 아내를 귀이 여기면서도 냉담함 속에 방치했던 최약국은 딸로 인해 살해당한다. 마지막에 희우와 난이가 만날 것임을 예고하는 장면이 있는데, 그쯤에서 소설이 적당히 끝을 맺어준다.

뒷 표지를 덮고 나니 ‘사랑이 왜들 이러냐? 좀 편안 사랑들도 많을 텐데, 왜 하필 그 놈이냐고!’ 버럭 소리치고 싶어졌다.

ps 등장인물 각각의 시선 속에 조합되는 이야기라 복잡하게 읽힐 수도 있지만, 그래서 더 좋았던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