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고다이 獨 GO DIE - 이기호 한 뼘 에세이
이기호 지음, 강지만 그림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가끔 내 독서량과 책보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때가 있다. 책 추천 부탁을 받는 때가 바로 그 때다. 사람마다 독서량이 다르고, 취향이 달라 입술 떼기가 쉽지 않다. 그럴 때 나는 어떤 책을 재미있게 봤냐는 가벼운 생각부터 앞으로는 어떻게 읽어야 하나, 나는 읽은 사람인가에 대한 성찰까지 가버린다. 그래서 정작 추천작은 최근에 읽은 베스트셀러 소개로 그치고 만다. 그리고 경험상 가장 신나게 읽은 책을 추천해 줘도, 상대와 취향이 다르면 나만 신나게 이야기 한 경우가 많았다. 차라리 상대와 같은 책을 읽고 그의 최근 관심사를 추측해 보는 쪽이 더 나았다.

책 추천이 아닌, 내 독서 취향에 대해 질문 받으면 입술에서 땀난다. ‘나는 한국 현대소설을 좋아한다.’를 시작으로 좋아하는 작가를 줄줄 읊는다. 공지영이나 이문열 정도의 유명인사가 아니면 못 알아듣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럴수록 혼자만 알고 있었다는 기분에 더 우쭐해진다.

어릴 때부터 책을 읽진 않았었다. 내가 책을 보기 시작한 때는 중학생 때였는데, 그 때 읽은 책들이 죄다 중고교생 추천도서였던 탓에 한국문학을 많이 접하게 됐다. 이광수의 <흙>에서부터 시작한 것이, 올해의 문학상까지 찾아보는 정도까지 온 것이다.

젊은 작가 이기호, 내가 책 나올 때 마다 챙겨보는 아끼는 작가다. 그의 소설을 읽으면 배꼽 잡다가 끝난다. 그 이가 이번엔 에세이를 냈다 길래 냉큼 사봤다. 재미있었다. 책 속에 엿보이는 그의 모습은 익살맞은 소설인물처럼 유쾌했다. 소시민의 일상을 이렇게 재미있게 쓸 수 있다니. 소설을 읽기 위해 독서실에 가서는 고시생 인터뷰를 하고 오고, 집에 가서는 아파트 소음에 짜증을 내고, 소설가의 부인으로 사는 아내의 기개에 흠칫 놀란다. 소소한 일상에 같이 공감하고 웃다보니 또 배꼽 잡다 끝났다.

책 검색을 하다가 그의 싸이 주소(http://www.cyworld.com/antigiho)를 알게 됐다. 그곳엔 에세이에 등장한 소재들이 사진으로 보관되어 있었다. 에세이와 같이 보면 재미있다. 소설가라고, 먼 곳에 있는 게 아니었다. 문인들과 같이 여행을 가고, 고등학교 제자들과 놀아주는 그는 가까운 이웃이었다.

그리고 내 취향은 이기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