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들의 도서관
김중혁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머릿속은 어떻게 하면 책을 많이 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으로 가득 차있다. 한 달 단위로 나오는 스케줄에, 몇몇의 약속을 잡고 나면 나머지 날은 모두 책 보는 시간에 할애한다. 하루라도 책을 보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는 안중근 의사까지는 아니지만 오랜 시간 책 볼 시간을 못가지면 짜증이 난다. 한 달 중 며칠은 부스스한 머리로 나온 배를 벅벅 긁으며 책상에 앉아줘야 하는 거다. 덕분에 만남의 즐거움보다 책 읽을 때의 즐거움이 크면 난감하다. 누굴 만나다가 집에서 읽던 책이 생각나서 피곤한 척 한 적도 있다. <악기들의 도서관>을 읽을 땐, 나이트 근무 때문에 사람만나는 약속이 없었다. 거짓말 할 필요가  없어 다행이었다.

이 책이 왜 재미있을까, 뭣 때문에 날 웃게 만든 건지 생각해봤다. 첫째로 무거운 주제가 없었고, 둘째론 말도 안 되는 뻥이었지만 그렇게 맹랑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나도 혼자 뒤틀어보고 상상하는 때가 많다. 혼자 낄낄대던 걸 같이 낄낄댈 수 있게 쓰는 능력이 부럽다. 작가란 그런 게 아닐 까. 가소로이 보이는 공상도 그는 쓰고, 나는 쓰지 않는 거.

진지하고 의미 있는 대답을 요구할 때 농담으로 응수 하는 능청스러움도 빛난다. 그의 의뭉스러움에 태클도 걸어 보고 싶지만, 내가 어수룩해서 잘 모르겠다. 어라, 진짜 모르겠다. 이게 어수룩한 건지 어수룩 하는 척 거짓말 하는 것인지. 소설가야 거짓말로 먹고 사는 사람이니 알 수 없을 것 같다. 이럴 때, 독자는 되바라지고 싶다.

<무방향 버스>,<유리 방패>에는 음악이야기가 없지만 <악기들의 도서관>,<자동피아노>,<매뉴얼 제너레이션>,<엇박자 D>엔 음악에 대한 조예와 철학을 조금씩 보여준다. 그래서 [김중혁의 뮤직비디오 낭독회]가 더 기대된다. 어떤 모습을 보여 주실지, 6월 11일을 곱아 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