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워터십 다운의 열한 마리 토끼 1 ㅣ 사계절 1318 문고 21
리처드 애덤스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 사계절 / 2002년 10월
평점 :
품절
토끼들에게 모험이란 뭘까?
이 책을 보면서 가지는 물음이다. 사람에게 있어서 모험과 토끼에게 있어서의 모험은 의미적으로는 동일하지만 상황적으로는 절대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다. 책을 읽다보면 토끼의 시점으로 토끼의 몸으로 만나게 되는 주변을 보게된다. 토끼의 먹거리는 자연에 있고, 하루에도 몇 번이고 나가서 풀을 씹고 주변을 살펴야한다. 천의 적을 가진 토끼는 민감하게 공기의 냄새를 맡고 소리에 귀를 귀울여야한다. 그런 모습이 하나 하나 잡혀서 평소 느끼지 못했던 작은 사물과 물체를 하나 하나 놓치지 않게 된다
그들이 가진 두려움은 보지 못한 것, 경험하지 못한 것에 대한 예민함에서 나온다. 사람도 별다르지 않지 않을까? 단지 토끼에 비하여서 더 몸집이 크고 본 것이 많다는 것에서 쌓인 '안다' 는 지식이 두려움을 갖게 되는 상황의 가지 수를 줄여주고 있을 뿐, 일에 대한 전망, 미래의 삶, 인간관계 등..'예측하지 못 하는' 수많은 것들에 대한 두려움은 그대로 남아있다.
워터십의 다운의 토끼들이 대단한 건 자신들이 가진 두려움을 깨쳐나간다는 사실이다. 자신들의 기존의 경험과 편견들을 용기를 가지고 나선 여행길에서 알게된 사실들과 다른 토끼들의 삶의 모습의 다름을 관찰하고 때로는 받아들이며, 그리고 동료 토끼들에 대한 믿음으로써 부수면서 삶을 개청해 나가는 것이다.
자신의 틀을 깨는 모습을 보여주는 인상적인 장면중 하나로는 수토끼들이 굴을 파야한다는 결론을 내렸을 때였다. 이들이 깨쳐야 하는 건 토끼들이 가진 습성 '수토끼는 굴을 파지 않는다, 암토끼가 파는 것이다.' 이다란 상식이였다. 이러한 관념을 먼저, 토끼A가 이성적으로 굴을 필요한 상황이란 판단을 내리고, 토끼B가 '수토끼가 굴을 파지 않아 라는 생각을 하지 않으면 되'란 해결책을 내놓는다. 토끼A의 명령에 대부분의 토끼들은 놀라넘어갔지만, 그럼에도 A를 믿고 따르는 이들은 이 토끼 답지 않은 행동을 묵묵히(불쾌하고 이해가 안되는 상황이지만, 동료의 생각이 옳은 판단이었을 것이라 믿고) 실천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이 얻은 건 훌륭한 안식처였다.
결론적으로 아무리 옳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때에도 이미 가지고 있는 몸에 밴 관념을 버리고 행동하기란 얼마나 힘든 일인지. 이 책에서는 워터십 다운까지 오는 도중에 토끼들이 그 일을 자신들이 몸을 겪었던 경험과 용기로 자신을 깨쳐 나가는 모습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결국 그런 용기의 결과로 자신들의 보금자리를 찾아내고는 행복을 누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