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체 한 구가 더 있다 ㅣ 캐드펠 수사 시리즈 2
엘리스 피터스 지음, 김훈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8월
평점 :
엘리스 피터스는 『유골에 대한 기이한 취향』 을 통해 성녀 ‘이니프리드’의 유골을 차지하려는 인간의 추악한 욕망을 고발한다. 이어 캐드펠 수사 시리즈 두 번째 『시체 한 구가 더 있다』는 제목을 통해 살인이 일어났음을 알려준다. 시체 한 구가 복선일까. 아니면 전혀 다른 이야기일까. 기대를 안고 캐드펠 수사를 만나보자.
1138년 잉글랜드는 왕위를 놓고 모드 황후와 스티븐 왕 사이의 내전으로 전운이 가득하다. 슈루즈베리 성 베드로 성 바오로 수도원의 캐드펠 수사는 오늘도 세상과 상관없이 수도원의 정원에서 자신만의 텃밭을 가꾼다. 수도원 밖은 전쟁터 그 자체다. 수도원의 분위기도 심상치 않지만 캐드월은 자신이 해야 할 일에만 집중한다. 그런 캐드월에게 한 수사가 부모를 잃어 갈 곳 없는 어린 소년 고드릭을 부탁한다. 캐드월은 고드릭에게 잔심부름을 시키며 고드릭을 찬찬히 살핀다. 『시체 한 구가 더 있다』에서 고드릭이 중요한 인물이라는 게 느껴진다. 캐드웰 시리즈 두 번째에 나의 추리력이 상승한다고 할까. 음, 미리 말하자면 그건 아니었다.
캐드펠 수사는 슈루즈베리 성을 함락한 스티븐 왕의 명령으로 시체를 수습하고 매장하는 임무를 맡는다. 스티븐 왕이 승리했다는 건 모드 황후를 지지하던 이들의 패했다는 것. 누군가는 이 기회에 모드 황후를 배신하고 스티븐 왕에게 신임을 얻기로 하는데 ‘휴 베링어’도 그중 하나다. 그는 모드 황후를 지지하던 귀족의 딸 고디스의 약혼자로 왕에게 고디스의 찾아내 그녀의 아버지의 행방을 왕에게 보고할 계획이 있다.
시신을 수습하던 캐드펠은 시체의 숫자가 다르다는 걸 알게 된다. 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자에 따르며 수습할 시신은 ‘아흔넷’이라고 했는데 분명 하나가 더 있는 ‘아흔다섯’이었다. 누군가 살인을 저지른 후 시신의 무리에 몰래 갖다 놓은 것이다. 시신이 발견되지 않고 설사 발견되었다 해도 의심할 이가 없을 거라 자신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캐드펠 수사는 아니었다. 사건의 실체를 밝혀야만 했다. 다른 수사가 그 임무를 맡았다면 아무 일 없이 넘어가겠지만 살인자는 운이 나빴다. 캐드펠 수사에게 대충은 없으니까.
교묘하고 잔인한 계획을 세운 살인자는 누구일까. 자신이 승리했다고 자신만만한 표정을 지을 자, 누구인가. 우선 죽은 자의 신원을 알아야 했다. 캐드펠은 그가 모드 황후의 편에 선 행정 장관의 향사 ‘니컬러스’였다는 걸 알아냈다. 프랑스로 보물을 운반하는 임무를 수행 중이었고 그에게는 다른 일행도 있었다는 사실까지. 다행스럽게 캐드펠은 그 과정에 죽은 자의 다른 일행 토럴드가 다쳐서 숨어 있는 걸 발견한다. 고드릭와 함께 그를 치료하면서 살인 사건 전말에 대해 알게 된다. 그렇다면 스티븐 왕의 명령을 받은 이가 저지른 살인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시신을 처리한 방법을 보면 그건 아니다. 또 하나 의문점은 보물의 행방이다. 캐드펠은 범인이 노린 건 보물이라고 확신한다.
소설 초반에 등장한 소년 고드릭으로 돌아가 보자. 이쯤 되면 그가 누구인지 말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그는 휴 베어링이 찾아 나선 그의 약혼녀 고디스였다. 수도원에 숨어있지만 눈치 빠른 휴 베어링의 눈을 피할 수 없었다. 캐드펠은 고디스를 수도원에서 안전하게 내보내기 위해 치밀한 계획은 세운다. 캐드펠의 일거수일투족을 살피는 휴 베어링과의 대치 상황과 대결 구도는 이 소설의 백미라 할 수 있다. 휴 베어링이 캐드펠의 생각을 읽고 그의 계획을 망치는 건 아닐까 읽는 내내 마음 졸였다. 살짝 과장하면 심장이 터질 것 같다고 할까. 생대를 제압하는 눈빛 대결, 자신의 마음을 들키지 않으려는 포커페이스.
“모든 의문에는 반드시 답이 있기 마련이지.” 캐드펠은 경구 같은 말을 내뱉었다. “충분히 기다리기만 하면 말이오.” (131쪽)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그곳이 어디든 사람이 있는 곳이라면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 성스러운 신의 공간인 수도원도 마찬가지. 저마다의 욕망을 감춘 채 수도원을 오가는 사람들의 내면을 잘 보여주는 소설이다. 실제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수도원으로 모여든 인간 군상의 욕망을 보여주는 『시체 한 구가 더 있다』는 첫 번째 이야기인 『유골에 대한 기이한 취향』 보다 치밀한 구성으로 훨씬 더 매력적이다.
캐드펄의 인간적인 모습과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범인의 정체는 물론이고 고디스와 토럴드의 달달하고 풋풋한 로맨스까지 한층 재미있다. 다음 이야기 『수도사의 두건』에서는 어떤 사건이 일어날까. 벌써부터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