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은 유용하다. 바로 읽지 않아도 이 즈음에 이런 책을 들였구나 알 수 있다. 구매 목록을 뒤지지 않고도 설령 정리한 책이더라도 언제쯤 책장에 들어왔는지, 다시 구매해야 하는 책이라고 이때 샀었구나 알 수 있으니까. 어떤 책의 운명을 읽지 못하고 사라진다. 그러니까 읽다가 영 별로여서 그렇기도 하고 읽어야 하는데 때를 놓쳐서 그렇기도 하다. 읽었지만 리뷰를 남기지 못하는 책들이 그러하다. 어떤 책은 너무 좋아서 어떻게 써야 할지, 뭐라고 해야 할지 알지 못해서 남기지 못한다. 어떤 책은 읽었는데 바로 기록하지 않아서 내용도 생각이 안 나고 책도 곁에 없을 경우 기록을 할 수 없는 책으로 분류된다.
어쩌면 올해도 그런 책들이 많을지도 모른다. 읽은 책들에 대한 리뷰를 꼭 남기자고 다짐해도 그게 참 쉽지 않다. 쉬운 것 같은데 어렵다. 지속해왔던 일인데도 말이다. 능숙하다고 해도 할 때마다 두렵고 할 때마다 긴장해야 하는 게 맞다. 그러니 세상엔 쉬운 일이 하나도 없다. 다만 익숙해져서 설렘이 사라질 뿐이다.

여하튼 1월의 첫 책들은 소설과 에세이다. 엄마와 작가로 살아는 어려움과 고단함, 제목에서 어떤 내용일지 짐작이 되는 『쓰지 못한 몸으로 잠들었다』, 백신애를 검색하며 읽게 될 『우리는 천천히 오래오래』, 겨울이니까 『소설 보다 : 겨울 2022』도 곁에 둔다. 이번 소설 보다에서는 작가의 이름을 한 명도 알지 못했다. 검색도 하지 않았다. 신춘문예당선자를 검색하지 않는다. 천천히 그들의 글과 만나도 나쁘지 않고 설령 만나지 못한다고 해도 크게 속상할 일이 아니다.
올해에는 시집을 읽어야지 싶다. 그러니까 작년에 대충 둘러본 시들, 그 안에 얼마나 좋은 시가 가득할지 모르고 미뤄둔 시집들. 사들이는 일은 그래서 중요하다. 내가 사들인 시집이 있다는 걸 기억하게 만드니까. 내가 읽으려고 산 책들을 기록하는 일은 쓸모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