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파트먼트
테디 웨인 지음, 서제인 옮김 / 엘리 / 2021년 10월
평점 :
말하기 전에 드러내기 전에 나의 내면을 알아봐 주는 이를 만나는 일은 특별한 경험이다. 그 순간을 오래 이어가고 싶어 만나 친구가 된다. 상대도 나와 같다고 여기면서 말이다. 그 계기가 글이라면 더욱 놓치고 싶지 않을 것이다. 테디 웨인의 장편소설 『아파트먼트』 화자 ‘나’가 ‘빌리’를 향한 간절함도 그렇게 시작되었다. 소설 합평 시간에 모두가 단점을 나열할 때 오직 단 한 사람, 빌리만이 나의 장점을 말해주었다. 그것은 마치 나의 가능성을 알아본 것과 같았다.
『아파트먼트』의 두 주인공 ‘나’와 ‘빌리’는 1996년 컬럼비아대학 문예 창작 수업에서 만났다. 소설가가 되고 싶은 갈망을 놓지 못하는 나에겐 안타깝게도 재능은 없는 듯하다. 그런 나에게 빌리는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 이를 계기로 둘은 급속도로 친해진다. 그러는 과정에 빌리가 얼마나 힘든 상황에서 학업을 이어가고 있는지 알게 된다. 대고모의 아파트에서 거주하며 학비에 대한 걱정도 없었던 나는 빌리에게 아파트에서 같이 살자고 말한다. 미안한 빌리는 청소와 음식을 하겠다며 짐을 챙겨 나의 아파트로 들어온다.
각자의 방에서 글을 쓰며 서로의 글을 읽고 조언을 해주는 멋진 사이, 함께 영화나 TV를 보면서 둘의 우정은 깊고 단단해진다. 거기다 이혼 가정으로 아버지의 부재와 엄마와 살아온 경험은 서로를 더욱 끈끈하게 만드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나와 빌리는 같거나 비슷한 사람이 아니라 완전히 다른 성향의 사람이었다. 소심한 나는 스포츠를 즐겨 하지 않았고 사람들과의 잘 어울리지 못했다. 어쩔 수 없이 사람들 속에 있었고 즐거운 척 연기했다. 빌리는 처음 보는 이들과도 손쉽게 대화를 이어갔고 금세 친해졌다. 파티나 모임에서 만난 여자들과도 그랬다. 나에게 없는 것들이 빌리에겐 있었다. 그건 글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한 번도 배우지 않고 쓴 빌리의 글은 모두에게 칭찬을 받았고 그건 진짜 소설이었다.
빌리에 비하면 나는 너무도 하찮은 존재였다. 부유한 아버지 덕분에 돈 걱정을 하지 않는 게 유일하게 나았다. 빌리는 장학금으로 학비를, 바텐더로 생활비를 스스로 벌어서 충당해야 했고 그 와중에 글도 너무 잘 썼다. 나는 빌리의 재능을 질투했다. 그것은 빌리와의 사이에 틈이 생겼고 간극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아파트에서 살게 해주고 경제적으로 지지해 준 나만이 빌리의 유일한 친구였어야 했는데 그렇지 않았다. 빌리는 점점 나에 대한 고마움을 잊었고 다른 친구들을 사귀었다. 대고모의 아파트에서 자신들이 산다는 건 공식적인 비밀이었는데 빌리는 그 조차도 신경 쓰지 않았다.
부질없는 나의 열등감은 빌리를 곤경에 빠트리는 계획으로 이어졌고 결국은 그 사건으로 인해 대고모의 아파트에서 쫓겨내야 했다. 어떻게 해서든 아파트를 지키고 싶었던 나와는 다르게 빌리는 벌써 거주할 곳을 알아두었다. 단호하게 “넌 정말 네 인생 전부를 여기서 보내고 싶냐?”(281쪽)고 말하는 빌리에게는 아파트도 나도 잠시 머무르는 공간이었을 뿐 정착지는 아니었다. 어쩌면 나는 그게 제일 힘들고 아팠을지도 모른다. 그 시절에는 그게 전부라고 여길 수 있으니까.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면서 다른 경험으로 채워진 삶도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믿을 수 있었던 시절이니까.
타인의 경계가 그려내는 특별한 윤곽선은 우리 자신의 그것과 충돌하고, 남은 평생 동안 사라지지 않을 커다란 구멍을 남긴다. (286쪽)
누구에게나 그런 시절과 그런 공간이 있다. 절교하듯 헤어진 친구와 함께 사라진 그 시절. 각자의 자리에서 서로의 삶을 살아간다. 사라졌다고 믿었지만 한 번씩 떠오르는 기억들이 더 이상 통증을 불러오지 않는 순간과 마주했을 때 아무렇지 않아 문득 서글퍼진다. 나의 존재를 각인시키기 위해 몸부림치던 날들을 회상하는 것처럼 쓸쓸한 일도 없지만 소설을 읽으면서 문득 누군가와 함께 머물렀던 공간이 그리운 것 어쩔 수 없다. 완벽하고 영원한 교집합을 원했지만 결국엔 서로에게 차집합으로 남는 게 인생인지도 모르겠다. 작게나마 겹쳤던 그 부분을 다른 누군가의 무엇으로 채우면서 살아가는 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