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리틀 아인슈타인을 이렇게 키웠다
진경혜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가 부존자원이 없는 가운데서 이렇게 성장한 것은 뛰어난 인적자원들과 그들 뒤에서 극성(?)을 떤 엄마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은 아니었을까?

쇼의 어머니께서 서문에서 밝혔듯이 공부 잘하는 아이를 소원하기 보다는 자녀들이 지닌 재능을 제대로 알고 그것을 개발해 주는 부모의 역할이 강조되는 사회풍토를 만드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글을 썼다고 한다.

즉 배움은 부모로부터 시작되고, 아이들의 배움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이 식지 않도록 자유롭고 평화스러운 교육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책 전반에 걸쳐 나온다

책읽기는 가장 소중하므로 부모가 어려서부터 습관을 들이고 같이 읽어주며 곁에서 지켜 봐주는 게 좋다고 한다.

쇼가 받은 최악의 벌이 무엇이냐고 하니까 그는 엄마가 하루종일 책을 못읽게 한것이라고 한다.

또한 음악을 통해 어려움을 당하거나 상처를 입었을 때 영혼을 달래주도록 자연스럽게 음악과 친한 분위기를 갖도록 했으며(실상 아인슈타인도 힘들때나 아이디어가 생각안날 때 바이올린을 키면서 아이디어를 창출했고, 쇼도 피아노 치는 솜씨가 수준급),

창의력 발달을 위해서는 박물관 미술관 방문, 핑거 페인팅 등 미술교육을 했다.

저자가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주장하는 것은
자녀 교육은 학원이나 교재를 통한 강압에 의한 교육이 아니라 ‘공부는 무척 즐거운 것’이란 것을 인식시켜 주기 위해 부모가 친구도 되고 스승도 되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모의 역할은 자녀들의 독특한 개성과 인격을 존중하며 자유스럽게 뛰놀며 배움에 대한 호기심을 지속시킬 수 있는 가정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한다.

자녀교육을 바쁘다는 핑계로 너무 외부에 의존한 우리에게 시사점을 주고 있다.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을 끌어주는 책으로 약3시간이면 읽을 수 있는 분량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