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도 사람이 좋다
장성숙 지음 / 나무생각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요즈음의 경제한파는 심각한 것 같다.
수많은 가정이 붕괴되어 가고 있다. 그런데 정작 사람을 고통스럽게 하는 것은 경제 그 자체가 아니라 그문제의 여파다.
여유를 잃은 상태에서 사람들은 조야한 자신의 단면을 마구 드러내거나 서로 상처내는 언행을 쉽게 범하기 때문이다.
상황이 어려운 때일수록 휘둘리지 않도록 자신의 고삐를 잘 쥐어야만 할 것이다.
삶의 주인은 바로 나 자신이기에 세상살이를 고통으로 지각할 것이냐, 아니면 그래도 살아볼만한 곳으로 지각할 것이냐는 전적으로 나의 선택에 달렸다.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장 세상은 아름답다
제 2장 이 세상 나들이
제 3장 당당하고도 재미있는 사람
제 4장 생명체의 슬픔
작가는 특히 부모님의 사랑, 가족, 인간관계에 대해서 내담자의 상담 등의 사례를 많이 실고 있다.
<苦와 悲>에 나오는 내용이다.
그해 겨울 굶주리다 못해 나란히 손잡고 강물속으로 들어갔었지.
우리는 천천히 강 한가운데로 들어갔었지. 내가 앞서고 너는 뒤에서 따랐지.
물이 내 배 네 가슴까지 찼을 때 너는 멈취서서 울며 외쳤다.
“ 형 죽지 말자! 이 물이 너무 차…”
우리는 다시 손을 잡고 되돌아 나왔지. 내가 앞서고 내가 뒤따랐어.
우리는 몸을 팔았지. 몸을 팔아 다른 집의 ‘아들’이 되었지.
너는 ‘숙부’ 나는 ‘조카’가 된거야.
해방을 맞아서 다시 형제간이 되었지. 너는 간부가 되었다.
그런데 결국 다시 강에 몸을 던지다니, 넌 물이 차갑지 않더냐?
왜 나한테 한마디 말도 없었어?
위의 구절은 중국 작가 다이호우잉의 <사람아 아 사람아!>라는 소설에 나오는 한 부분을 인용한 것이다.
사람으로 태어나는 것은 인간의 고(苦)를 받아들이면서 그속에서 ‘자기’의 근원을 되찾아 간다는 의미일 터이다.
그러면 집착하던 마음이 놓여지고 모든 것이 그냥 말끄러미 보여진다.
적어도 그 순간 나와 너라는 상대적 상태를 넘어서 하나인 전체로서 체험된다.
그러고 나면 다시 심신은 추스려져 내가 너와 함께 존재하는 ‘우리’라는 관계속에 다시금 되돌아 오는 것이다.
인간관계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자,
가족 및 부모님과의 관계에 어려움이 있는자
사는게 어렵다고 생각하는자
나의 존재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고 생각하는자
삶의 기쁨을 얻고자 하는자 등
한번 책을 펴보시기 바랍니다.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