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신경림 지음 / 우리교육 / 199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신경림 시인은 여는 글에서 이렇게 밝히고 있다.

‘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좋은 시를 찾아 읽을 수 있다면 얼마나 더 즐겁게 읽을 수 있겠는가 하는 생각에서, 나는 몇 차례 독자가 시에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해설서 비슷한 글을 썼었다. 그러면서 깨달은 것은 어떤 면에서 감정의 확대라 할 수 있는 시를 가장 잘 이해하려면 그 시인이 어떤 환경에서 자랐고, 어떤 조건 아래서 살았으며, 그 시를 쓸 당시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는가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여기에 모은 글들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이미 우리 시사에서 고전이 된 시들의 현장을 찾아 다니면서 쓴 글이다.’

여기에 나오는 시인들은
정지용, 조지훈, 신석정,
김종삼, 신동엽, 박용래,
박봉우, 임화, 권태응,
이육사, 오장환, 김영랑, 이한직,
윤동주, 박인환, 한용운,
백석, 신동문, 유치환,
박목월, 김수영, 천상병 시인이다.

이름이 널리 알려진 분도 있지만 우리 귀에 익숙지 않는 분도 있다.

작가가 일일이 시인들의 고향 및 시들의 현장을 발로 다니면서 쓴
글이기에 더욱더 우리의 가슴에 와 닿고 독자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어릴 때 가지고 있었던 심성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가 생각이 났다.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문화유산을 기행하면서 조국의 아름다움을 글로써 그렇게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구나! 하고 감탄을 가져오듯이

시인 한분 한분의 시속에 담겨져 있는 사상 및 시인이 밝히고자 하는 내용을 신경림 시인은 유기적으로 평론과 작자의 의견과 가족, 친지들과의 인터뷰, 동행을 통해 하나하나 실타래 풀 듯 아름답게 전개해 나가고 있다.

어렸을 적에 교과서에서 무작정 시험공부 때문에 외었던 ‘시’들을
시간을 두고 직접 읽어 보고 작가의 설명을 통해서 그 속에 담겨져 있는 뜻을 알아보니까 시의 탄생 배경이나 시인의 고민 등을 알 수 있었다.

작가가 아니었으면 그냥 지나칠 수 있었던 시의 내용들.
그렇지만 작가는 이런 독자의 마음을 아는지 아주 재미있게 그리고 감탄을 불러일으키도록 적어 내려가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여기에 나온 시인을 비롯하여 시를 한편 제대로 외우지 못한 것을 반성해 본다.

외국인들은 유명한 시인의 시는 기본적으로 잘 외우고 있고, 시인의 고향 및 집들을 잘 보존하고 있다고 한다.

갈수록 삭막해지는 시대에 작가는 우리에게 시를 읽으라고 이 책을 쓴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단 몇줄의 글로써 함축적으로 모든 것을 표현하는 시는
우리에게 기쁨과 희망과 정서의 안정을 가져다 준다.

어떤 아이디어가 생각이 안날 때 어떤 이는 시를 읽는다고 한다.
조용히 읽고 시를 외우다 보면 자연스럽게 새롭게 아이디어가 떠오른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