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갈리아의 딸들
게르드 브란튼베르그 지음, 히스테리아 옮김 / 황금가지 / 199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는 단순하다. 이갈리아라는 나라에서 남자로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지를 말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에서는 이갈리아가 없다. 과거에도 없었고, 현재는 물론이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이갈리아에는 차별이 엄연히 존재한다는 것이 이 나라의 커다란 특징이다. 남과여의 차별, 성차별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이갈리아는 다르다.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나라들의 그 차별하고. 바로 여성 우월, 남성 열등한 존재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이 지구의 남자들이 누리고 있는 모든 혜택과 자유가 이갈리아에선 고스란히 여자들의 차지이다. 남자로 태어난 이갈리아인은 살 가치조차 찾기 힘들다. 이갈리아에서 남자로 태어난 주인공은 번민하고 번민하고 또 번민한다. 자신을, 자신이 왜 차별을 받아야하는지, 자신이 왜 숨죽여 살아야하는지를 말이다. 이 이야기를 읽고 통쾌해 하는 지구의 여자들이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현실에서 여자가 차별받든, 이갈리아에서 남자가 차별을 받든 그 뒷맛은 똑같이 씁쓸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미치 앨봄 지음, 공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전 중앙일보에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전농구선수에 관한 기사가 연재된 적이 있다. 근육세포는 죽어가는데 모든 감각은 살아있어서 고통이 느껴져도 아무런 손을 쓸 수 없으며 모기가 자신의 피를 빨아먹고 있어도 모기를 쫓을 수도 없어 그저 바라만 봐야 한다는. 세상에서 가장 고통스런 병이 바로 루게릭병이라니 병의 고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거라 생각한다. 모리교수는 이미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느꼈을 고통을 생각하면 다시 한번 숙연해지는 감정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작가 앨봄은 모리교수와의 만남을 통해 분명 많고, 깊은 것을 느꼈고 그 느낌을 많은 독자들에게 전달해 주었다. 화요일마다의 만남은 산사람이 어떻게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지를 새삼 일깨워준다. 지금 자신의 삶이 고통스럽고, 의미없다고 생각되는 많은 사람들은 모리교수와 화요일마다 만나보았으면 한다. 분명 깨우침이 있을 것이다. 사람은 사람에게 느끼고 배워야함을 모리교수에게 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 교양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디트리히 슈바니츠 지음, 인성기 옮김 / 들녘 / 2001년 11월
평점 :
품절


사람의 지적 갈망은 끝이없다. 그래서 사람은 끊임없이 묻고 대답하고, 생각한다. 이러한 열망를 미끼삼은 '교양'이란 제목은 탁월하다고 생각한다. 그럼 그 내용도 그러한 것들을 충족시켜 주는지. 결과부터 말한다면 대답은 '아니다'이다. 일반적인 교양을 원해 책을 선택했다면 돌아오는 것은 분명 허탈감과 배신감일 것이다. 독일인인 작가는 '교양'의 범주를 유럽과 독일로 국한시켰다. 다분히 독일인의 시선으로 '교양'을 풀어낸 것이다. 처음엔 신화와 유럽인들의 뿌리부터 건드린다. 그래서 아직까진 거부감을 느끼지 못한다. 차차 일반적인 상식, 즉 나의 지적 넓이를 †혀 줄 '교양'들이 쏟아지겠지라는 기대감으로 점점 페이지를 넘길 수록 일반적인 것관 달리 그 폭이 좁아져 '독일'로 향한다. 그 내용이 생소하고 동떨어진 느낌이 강해 처음의 기대감은 배신감으로 바뀌고 만다. 독일에 대해 좀더 심층적으로 알고 싶었던 사람에겐 반가운 글이 될 수 있겠지만, 일반적인 '교양'을 기대했던 사람에겐 그렇지 않은 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햄버거에 대한 명상 민음 오늘의 시인 총서 22
장정일 지음 / 민음사 / 2002년 4월
장바구니담기


쓸쓸하여도 오늘은 죽지 말자
앞으로 살아야 할 많은 날들은
지금껏 살았던 날에 대한
말없는 찬사이므로.-2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실의 시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유유정 옮김 / 문학사상사 / 2000년 10월
장바구니담기


"더 멋진 말을 해줘요."
"네가 너무 좋아, 미도리."
"얼마만큼 좋아?"
"봄철의 곰만큼."
"봄철의 곰?"하고 미도리가 또 얼굴을 들엇다.
"그게 무슨 말이야, 봄철의 곰이라니?"
"봄철의 들판을 네가 혼자 거닐고 있으면 말이지, 저쪽에서 벨벳같이 털이 부드럽고 눈이 똘망똘망한 새끼곰이 다가오는 거야. 그리고 네게 이러는 거야. '안녕하세요, 아가씨. 나와 함께 뒹굴기 안하겠어요?'하고. 그래서 너와 새끼곰은 부둥켜안고 클로버가 무성한 언덕을 데굴데굴 구르면서 온종일 노는 거야. 그거 참 멋지지?"
"정말 멋져"
"그만큼 네가 좋아."
미도리는 깊숙이 내 품에 안겨 왔다.-38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