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딸에게는 여자도 트럭 운전기사가 될 수 있다고, 아들에게는 인형 놀이를 하는 건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고 가르친다. 부모 스스로 자녀에게 모범을 보이려고도 한다. 북미와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는 아버지도 기저귀를 갈고 어머니도 운전대를 잡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의 남녀관은 여전히 구시대적이다. 어른들의 생각은 바뀌고 있지만 우리 아이들은 그렇지 않다. 지난 세기 동안 어른들의 문화는 성평등을 향해 가고 있었지만 아이들은 여전히 성차별적이다.2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AwEUHJgYh4GGQQMF8

남성과 여성이 45개의 공통된 염색체를 갖고 있는 이유는 복제가 창조보다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모두 작은 Y 염색체 하나로 촉발되고 결정된다. 그밖의 염색체들은 성별에 관계없이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UabdswGqoqAPNGnE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국은 장자상속법 규정으로 인해 장자가 아닌 자식들은 어른이 되면서 점차 “열등한 자식”이 된다. 그들은 자신이 다닌 사립학교에 자식을 보낼 여유가 없어지고 결과적으로 그들의 자식은 낮은 계층으로 내려가기 시작한다. 글린 경은 말한다. “그들의 말과 억양에서는 귀족적 언어의 흔적을 찾아내기가 힘들어졌습니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bU4atm8NqRATDxzF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민 가정의 아이들은 친구와 공유하는 문화를 부모 앞에서 내보이는 일은 있어도 기본적으로 부모의 문화를 친구들 앞에서 드러내는 경우는 없다. 앞서 언급한 영국인 심리언어학자의 딸은 집에서는 흑인 영어를 사용했지만 유치원에서 만나는 친구들에게 영국 억양으로 말하는 일은 없었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dfefZXxxfPkRsUjZ7

집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밖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일치하지 않는 아이들은, 집 밖에서 사용하는 언어 구사 능력은 계속해서 나아지는 데 반해 집 안에서 쓰는 언어는 부모와 일상적 대화가 가능한 정도에서 멈춰버린다. 캐나다에서 일본인 부모들 아래서 자란 언어학자 S. I. 하야카와는 자신이 “아이 수준의 어휘를 가지고 미숙하게 일본어를 사용한다”고 고백했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tGSnpS1j1r9TSJBY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힘이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한 도대체 어느 말이 수레를 끌어가고 있는지 구별할 수 없다. 우리는 아이들에게 작용하는 힘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경우를 살펴보아야 한다.
심리학자나 인류학자들은 이런 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았고, 그 필요성도 깨닫지 못했다. 그들은 그저 직관에 근거하여—즉 당대에 유행하는 양육가설 형태에 근거하여—어떤 환경적 요인이 중요한지를 공표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그들이 자신의 입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내세운 근거들은 다양한 변인들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다지 쓸모가 없다.
환경적 요인들 중 무엇이 작용했는지를 가려내기 위해 사용 가능한 유일한 방법은 여러 요인이 함께 작용하지 않는 경우를 살펴보는 것뿐인데, 그것이 내가 계속해서 이민 가정을 관찰 대상으로 삼는 이유다. 지역 공동체의 문화와 부모의 문화가 서로 다르다면, 부모의 영향과 가족 외적인 영향을 구별할 수 있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ak1nm1AHkT1dYjMm6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라야 한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아이들이 로마에 가면 한걸음 더 나아가 로마인이 된다. 부모가 영국인이든 중국인이든 메스콰키 인디언이든 상관없이 말이다. 집 밖의 문화와 집 안의 문화가 서로 다를 때는 집 밖의 문화가 승리한다.
드디어 우리는 문화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 것을 부모의 양육방식이나 부모 행동의 모방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VymaJG46yz5udCir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들은 부모를 맹목적으로 따라 하지 않으며, 매우 신중하게 모방한다. 아이들은 부모가 정상적이고 전형적으로, 즉 다른 사회 구성원들과 동일한 행동을 한다고 여겨질 때만 부모를 모방한다 - <양육가설>, 주디스 리치 해리스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qntFqxSafiTuBDPV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