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적 정치 참여 대 표현적 정치 참여



『열림 대 닫힘』에서 존스턴, 페데리코, 러빈은 정치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수준과 다양한 심리적 경향성을 시험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R7jJLDq57JigQ94q9

우리가 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에 참여할 때, 거래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하지만 우리가 우리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정치에 참여할 때, 정치는 정체성이 된다. 그리고 그때 우리가 정치와 맺는 관계, 그리고 서로와 맺는 관계가 변한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2eJwiGvLappseGNX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권법에 따른 양극화의 시작



제프리 카바서비스Geoffrey Kabaservice는 『규칙과 파멸Rule and Ruin』에서 공화당의 온건주의적 역사를 보여준다. “하원 공화당 의원들의 80%가 민권 법안을 지지했지만, 하원 민주당 의원들은 60%가 지지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T8wGkHWgF2c7qR1g9

카바서비스는 “결국 하원 투표에서와 마찬가지로 상원에서도 민주당 의원들보다 공화당 의원들이 훨씬 더 높은 비율로 민권법의 토론 종결과 통과에 찬성표를 던졌다. 공화당의 경우 5분의 4가 넘었지만, 민주당의 경우 3분의 2에 불과했다”라고 썼다.

그런데 왜 민주당이 민권법을 통과시킨 정당으로 여겨지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간단하다. 왜냐하면 그들이 민권법을 통과시킨 당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상원과 하원 모두에서 다수당이었고, 대통령도 민주당 소속이었다. 그들은 정의를 추구하기 위해 딕시크랫과의 동맹을 끝내기로 했다. 존슨의 특별 보좌관으로 일했던 빌 모이어스Bill Moyers는 존슨이 민권법에 서명한 날 밤 침실에서 골똘히 생각에 잠긴 대통령을 보았던 일을 회상했다. 존슨이 “난 우리가 앞으로 오랫동안 남부를 공화당에 넘겨주게 되었다고 생각하네”라고 말했다고 모이어스는 기억한다. 15 상원 다수당 원내 대표 시절 남부 민주당에 의한 인종적 평등 봉쇄를 시행했던 존슨의 말이 옳았다. 민주당의 남부 지역에 대한 장악력이 사라지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렸지만, 바로 그때가 약해지기 시작한 순간이었다.

그러면 왜 공화당은 민권을 대표하는 당이 되지 못했을까? 카바서비스는 골드워터 때문이 크다고 주장한다. “1964년 민권법에 대한 공화당의 지지를 두고 그 당이 누렸어야 할 공적은(심지어 명예도) 대통령 후보가 될 것으로 추정되던 인물이 반대표를 던지면서 사실상 무효가 되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PYsjHiuT22EeR3MQ8

민권법의 통과는 딕시크랫의 종말을 예고했다. 딕시크랫의 종말은 남부 보수주의자들에게는 공화당에 합류할 수 있는 길을, 북부 진보주의자들에게는 민주당에 합류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이로 인해 정당들이 이념에 따라 스스로 분류되게 되었고, 더는 공화당 의원보다 보수적인 민주당 의원이나 민주당 의원보다 진보적인 공화당 의원이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정당들은 사실상 다른 모든 것에 관련해서도 분류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비슷하게 생겼고, 비슷한 삶을 살았으며, 조금 다르게 생각하는 연합체였던 양당을 서로 다르게 생겼고, 다른 장소에서 다른 삶을 살며, 점점 더 깊은 의견 불일치 상태에 빠지는 두 진영으로 변하게 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tCCnDqucp9zc5tvK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극화와 분류


대마초 정책을 예로 들어 양극화인지 분류인지를 알아보자. 미국에 100명이 살고 있다고 상상해보라. 40명은 대마초가 불법화되기를 원하고, 40명은 합법화되기를 원하며, 20명은 확실한 생각이 없다. 만일 민주당과 공화당에 속하는 사람의 수가 집단별로 똑같다면, 미국은 완전히 분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제 대마초를 합법화하려는 모든 사람이 민주당으로 옮겨가고, 대마초를 불법화하려는 모든 사람이 공화당에 입당하며, 결정을 내리지 못한 사람들은 두 정당 중 고르도록 나뉜 상황을 상상해보라. 이제 정당은 완벽하게 분류되었다. 여기서 핵심은 누구의 의견도 실제로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 어느 사례든, 미국에는 대마초와 관련한 혼재된 믿음이 존재한다. 단지 두 번째 예에서는 그러한 신념이 정당에 따라 분류되어 있을 뿐이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BhnTPSkAFEuBLokR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세기 초반 남부민주당과 전국 민주당의 타협
- 하지만 20세기 후반 민권법으로 이 타협은 붕괴된다


남부와 민주당의 연합은 결코 순수하게 이기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그들은 정말로 민주당원이었고, 당에 대한 충성은 지역 정체성으로 굳건하게 자리 잡혀 있었다. 에이브러햄 링컨은 최초의 공화당 출신 대통령이었다. 따라서 공화당에 대한 남부의 적대감은 뼈에 새겨진 것처럼 확고했다. 민주당은 부자에게서 가난한 사람에게로 부를 재분배하는 것을 지지했다(북부는 부유했고 남부는 가난했다).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하워드 로젠탈Howard Rosenthal은 “20세기가 될 무렵, 남부 민주당은 민주당 내부의 좌파를 대표했습니다”라고 말한다. “그들은 기본적으로 포퓰리스트였습니다. 당시 부의 재분배는 상대적으로 부유한 북부에서 걷어서 가난한 남부에 주는 것이었습니다. 의회에서 인종 문제는 의견 불일치의 영역으로서 논의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z3moGCqY9NdMwfUW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80년 당시 유권자들은 상대 당의 온도를 45도로 측정했다. 자신이 속한 정당에 준 72도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꽤 괜찮은 수치였다. 그러나 1980년 이후 온도는 떨어지기 시작했다. 1992년이 되면 상대 당의 온도는 40도로 내려갔다. 1998년에는 38도로 떨어졌고, 2016년에는 29도로 떨어졌다. 한편, 당원들의 자기 당에 대한 느낌 온도는 1980년 72도에서 2016년 65도로 떨어졌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ouZb1pk8V7UyQ4u67

어떻게 유권자들이 투표는 이전보다 당파적으로 하면서 당에서는 더 멀어질 수 있을까? 정당에 대한 일관된 지지와 정당에 대한 충성도는 연결되어야 하는 게 아닌가?

여기서 고려해야 하는 핵심적 개념은 ‘부정적인 당파성’이다. 이것은 지지하는 당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아니라 반대하는 당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에서 기인하는 당파적 행동을 말한다. 만약 당신이 지지하는 후보가 썩 마음에 들진 않지만, 단순 무식하거나 사회주의자인 상대 후보의 당선이 두려워서 투표해본 적이 있다면, 당신은 부정적인 열성 당원이었던 것이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QcBK2tPLqAHdwQMn7

지난 50년 동안의 미국 정치를 요약하자면 이렇다. 우리는 투표에서 특정 정당을 더욱 일관적으로 지지하게 되었다. 이것은 우리가 투표하는 정당을 더 좋아하게 되었기 때문이 아니라(사실 우리는 우리가 투표하는 정당을 덜 좋아하게 되었다), 반대편 정당을 더 싫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희망과 변화가 미약해지는 순간에도 두려움과 혐오는 계속된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SupffzTAQzJFsAec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